
000 | 00585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573315 | |
005 | 20100805044754 | |
007 | ta | |
008 | 091109s2009 ggk 001c kor | |
020 | ▼a 9788972782797 ▼g 03600 | |
035 | ▼a (KERIS)BIB000011840434 | |
040 | ▼a 241018 ▼c 241018 ▼d 211009 | |
082 | 0 4 | ▼a 700.103 ▼2 22 |
090 | ▼a 700.103 ▼b 2009 | |
100 | 1 | ▼a 최열 , ▼d 1956-. ▼0 AUTH(211009)44724 |
245 | 1 0 | ▼a 미술과 사회 : ▼b 최열 비평전서 : ▼b 1976~2008 / ▼d 지은이: 최열. |
260 | ▼a 파주 : ▼b 청년사 , ▼c 2009. | |
300 | ▼a 468 p.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103 2009 | 등록번호 111565669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전후 미술계의 시대정신 회복을 위해 울림 있는 목소리를 내온 미술비평가 최열의 33년의 비평 활동을 한데 묶은 비평서이다.1976~2008년의 한국 현대미술에 대한 저자의 비평을 방대하게 담았다. 전후 미술계가 걸어온 길을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 제1세대 활동가의 눈으로, 또 재야산림 학인의 정신과 태도를 견지해 온 미술사가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미술계와 사회 현장을 두루 경험한 저자의 미술과 사회, 미술과 정치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이 면면이 녹아 있다. 아울러 미술 작품과 유통 과정에 영향을 주는 문화 정책과 미술 정책의 아쉬운 점을 살피고 지적하여 한국 미술 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짚어보았다.
미술과 사회_최열 비평전서 1976~2008
전후 미술계가 상실했던 시대정신 회복을 성취한 미술 비평,
최열 비평 활동 33년(1976~2008)의 총 결산
-미술과 사회, 미술과 정치 문제를 화두삼아 초지일관 30년을 활동해 온 비평가의 성찰
-재야산림(在野山林)의 정신과 태도를 오로지 지켜 온 비평가의 목소리
-미술계 내부(전시장) 및 현장(공장, 농촌, 대학, 광장)을 무대로 활동해 온 비평가의 비평 세계
전후 미술계가 상실했던 시대정신 회복을 성취한 미술비평
전후 미술계의 시대정신 회복을 위해 울림 있는 목소리를 내온 미술비평가 최열의 33년의 비평 활동을 한데 묶은 비평서이다. 1976~2008년의 한국 현대미술에 대한 저자의 비평을 방대하게 담았다. 전후 미술계가 걸어온 길을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 제1세대 활동가의 눈으로, 또 재야산림 학인의 정신과 태도를 견지해 온 미술사가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1980년대 민중미술운동은 전후 한국사회 미술의 개념과 성격을 전환시킨 거대한 변혁의 과정이었다. 미술평론가 최열은 그 복판에서 활동하였고 미술계는 물론 미술계 밖 사회 현장에서 미술운동을 전개해 온 거의 유일한 조직 활동가이다. 이처럼 미술계와 사회현장을 두루 경험한 미술운동 실천을 통해 미술과 사회, 미술과 정치를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해 왔다. 이 책에는 그 면면이 고스란히 녹아 있다.
아울러 미술 작품과 유통 과정에 영향을 주는 문화 정책과 미술 정책의 아쉬운 점을 살피거나 지적하면서 한국 미술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짚어 보고 있다.
전시장과 삶의 현장의 목소리가 그대로 녹아 있는 비평 세계
이 책은 총 11개 장의 큰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것은 세분화하여 시대별로 나뉘어 구성되었다.
<1976-1979 역사의 물결과 순수성비판>은 대학시절 무등산모임 그리고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활동의 산물로 저자의 초기 비평 활동을 보여준다. <1981-1982 변동사회와 현실비판>과 함께 <1981 한국근대사회미술론>의 글은 모두 병영(兵營)에서 집필하여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로 전달한 글이다. 그 저술은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동료들이 일천 부를 인쇄해서 전국에 배포한 첫 저작물이다. <1983-1985 미술과 민중>은 미술운동의 이념과 노선을 확립하고자 하는 조직활동의 산물이다. <1986-1988 민족민중미술론>과 <1989-1991 변혁기의 미술>은 공장, 농촌, 대학, 광장과 같은 미술회로(美術回路) 외부의 사회 회로(社會回路)에서 전개되는 미술운동의 산물로서 그 복판에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이 자리 잡고 있거니와 한 시대의 실상과 허상을 아울러 보여주는 시대의 산물이다. <1992-1995 90년대 민족미술운동>과 <1994-1997 민중미술운동 이후>는 민족민중미술운동전국연합 해소 이후 변화한 시대를 살아가면서 수행한 고뇌와 모색의 산물이다. <1998-2002 다음 NEXT 리얼리즘>과 <2003-2009 시장의 풍요, 정책의 빈곤>은 김대중 정부, 노무현 정부 시절에 쓴 글로 민주정부 수립 이후 재야산림(在野山林)으로 살아가면서 정부의 미술정책을 지적하고 비판하고 나아갈 길에 대한 모색과 방향을 담았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최열(지은이)
미술평론가, 미술사학자. 덕유산의 무주 안성에서 태어났고 부친의 직장을 따라 전주, 서울, 수원, 대전, 광주를 전전하며 성장했다. 살레시오고등학교, 조선대학교, 중앙대학교 예술대를 다녔으나 정관 김복진 문하생임을 자처하고 있다. 미술운동가로 소명을 다한 뒤 학인의 길을 선택해 1993년 한국근대미술사학회를 창립했다. 이후 월간 《가나아트》 편집장, 가나아트센터 기획실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2005년 인물미술사학회를 창립한 뒤 회장을 지냈다. 2004년부터 대학 강의를 시작하여 2021년 현재 고려대학교, 동국대학교, 서울대학교 강사로 나가고 있다. 김복진, 정현웅, 하인두, 이경성 선생을 기리는 일을 하고 있으며, 지은 책으로는 『한국근대사회미술론』, 『한국현대미술운동사』, 『민족미술의 이론과 실천』, 『한국근대미술의 역사』,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한국근대미술 비평사』, 『한국현대미술 비평사』, 『한국근현대미술사학』, 『미술과 사회』, 『한국 만화의 역사』, 『근대 수묵 채색화 감상법』, 『사군자 감상법』, 『화전』, 『옛 그림 따라 걷는 서울길』, 『옛 그림 따라 걷는 제주길』, 『미술사 입문자를 위한 대화』(홍지석과 공저), 『옛 그림으로 본 서울』, 『옛 그림으로 본 제주』가 있고 특히 미술가 전기로 『김복진』, 『권진규』, 『박수근 평전』, 『이중섭 평전』이 있다. 또한 『김복진 전집』, 『우현 고유섭 전집』, 『근원 김용준 전집』, 『정현웅 전집』을 기획·편찬했다. 그중 다수의 책이 대한민국학술원·문예진흥원·문화관광부 우수도서로 선정되었으며, 이상의 저작물을 토대로 한국미술저작상·간행물문화대상·월간미술대상·정현웅연구기금을 수상하기도 했다.

목차
목차 머리말 1976-1979 역사의 물결과 순수성 비판 = 11 1976 역사의 물결과 순수성 비판 - 시대, 현실, 접근 1977 지속과 극복의 논리 - 해방 이후의 회화와 그 운동을 중심으로 1978 우리시대 미술에의 질문 1979 순수와의 결별 한국미술의 반성 민족적 리얼리즘 문제 1981-1982 변동사회와 현실비판 = 34 1981 타락사회와 미술 변동사회와 미술 1982 현란과 고통의 삶 / 노원희 ; 홍성담 ; 오윤 ; 김정헌 1981 한국근대사회미술론 = 43 1981 위상비평서론 - 기본구조 현실비판의 위상, 그 등장 - 1980, 81년 80년대 비구상회화의 검증과 전망 80년대 사실회화의 검증과 전망 1983-1985 미술과 민중 = 58 1983 새로운 미술을 위하여 창작과 수용의 갈등구조, 그 극복 1984 80년대 미술의 성찰적 전망 - 삶의 의미전에 즈음하여 생활의 기본매체로서의 미술 미술운동의 새로운 국면 80년대 미술운동의 한계와 극복 1985 우리시대의 미술운동 민중미술론의 전개 정치권력에 의한 예술탄압 - 힘전 사건에서 1983-1985 전시평 = 101 1985 분단시대의 미술 - 해방 40년 역사전 1986-1988 민족민중미술론 = 104 1986 민중미술의 논리 1 세계관의 전환과 민중사실, 그 서사적 실현 - 80년대 민중미술운동의 논리와 실천 판화 - 해방의 힘으로서의 판화 매체 - 문예운동의 대중화논의를 살핀다 벽보 - 탁월한 선전매체로서의 역할 회복해야 탈 - 삶판에서 비롯된 조형 생산물 벽화 - 일상성 속에서 살펴본 현단계 벽화운동 제3세계 - 미술운동 민중미술운동의 점검 비평 - 비평을 한다는 것 노동미술 - 민족, 민중 그리고 노동미술의 전망 현단계 민중미술의 위상 1987 민중미술의 어제와 오늘 분단극복과 민족문화의 과제 1988 반외세 자주화 문학 예술운동 - 다양한 매체로 미술의 응전력 높여야 걸개그림과 벽화 민족 자주 미술의 건설 민중미술의 논리와 전망 선전성의 회복과 시각매체운동 83-87 1986-1988 전시평 = 165 1987 이념이 뚜렷한 집단들이 갖는 의미 전통미술의 이해를 위하여 1 전통미술의 이해를 위하여 2 미술사에 나타난 고문 - 반고문전 일본미술, 친일미술 여성해방과 미술 - 여성과 현실, 무엇을 보는가전 1986-1988 정책 = 177 1986 인식과 여론의 조작 제도미술의 오류 1987 제도문화의 극복을 위하여 1988 문화예술의 지배전략과 전망 1989-1991 변혁기의 미술 = 184 1989 문예운동의 조직화 문제 미술가조직체계의 발전과 당면한 기본 사업체계를 꾸리는 문제 통일촉진운동과 미술운동 안기부 '고문대'에 오른 미술가들 80년대 미술문화 발전사 고찰 민족미술의 자주적전통론 현단계 민족미술운동의 고찰 및 방향성 정립을 위해 살아있는 '현장벽화'의 활기 1990 민중미술 80년대 결산과 90년대 전망 한국사회 미술계의 현황과 민족미술운동의 현단계 변혁기 민족미술가론 / 홍성담 ; 정하수 ; 차일환 ; 송만규 ; 오윤 90년대 민족미술운동의 전망과 제언 한국현대 미학의 제문제 - 80년대 민중예술론을 중심으로 1991 디자인 에세이 1989-1991 전시평 = 246 1989 중국 농민화가들의 아름다운 그림 - 중국농민화가전 변혁기 미술의 이념과 방법, 내용과 형식의 질곡 - '88년 문제 작가 작품전 1991 사실주의 미술의 미래 - 부산 사람들의 일 싸움 놀이, 민중의 힘전 1989 - 1991 정책 = 251 1989 중등미술교과서의 한계와 비판 미수록 1988-1991 민족미술의 이론과 실펀 1988 전환기의 민중미술운동 민족미술운도의 이론과 논쟁의 전개 민족미술의 양식과 자주적 전통론 1989 1980년대 사실주의 미술의 반성과 새로운 전망 진보적 미술가의 과제와 임무 1990 사실주의 미술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민중적 사실주의 창작방법 한국현대 사실주의 미술의 제문제 조직창작의 역사 대중활동론 노동현장 미술활동의 발자취 민주적 미술가 조직론 1991 창작단과 교육선전대의 조직과 활동 1992-1993 90년대 민족미술운동 = 253 1992 민족미술, 그 흔들림과 굳건함 1993 민족미술의 오늘과 내일 민미련 해소의 뜻 - 90년대 민족미술의 전망 조국통일미술운동의 발자취 민족미술운동의 미래와 새구상 사실주의와 미술대중활동의 미래 민중미술의 발생과 역사 새로운 전통 창작 문제들 1992-1995 전시평 = 299 1993 주목작가전에 부쳐 1994-1997 민중미술운동 이후 = 300 1994 복합매체 안의 미술, 밖의 미술 뉴미디어시대의 전통매체 민중미술 15년 발자취 1995 5ㆍ18광주민중항쟁 이후 1994-1997 전시평 = 311 1994 민중미술의 향방 - 민중미술 15년전 아름다운 상처와 억센 희망 - 갑오농민전쟁 갑오년 농민전쟁의 형상화 1995 5ㆍ18 잃어버린 역사 역사 그리고 미술의 진보 - 오월정신전 광주비엔날레의 재미와 감동 광주의 힘과 미술의 폭발 - 광주비엔날레 이루지 못한 꿈, 우울한 현실 - 해방 50년 역사미술전 우리는 어디에 있는가 1994-1997 정책 = 324 1995 미술의 해는 무엇을 하는 해입니까? 1997 인문학 전통 부재의 미술교육 1998-2002 다음 NEXT리얼리즘과 미술관 = 327 1998 NEXT리얼리즘은 가능한가 1999 20세기, 나쁜 꿈 인간을 위한 미술을 위해 2000 새천년 2001 2001년 미술분야 성과 2002 근대미술의 해방 - 동북아시아 연대 한국현대미술의 근원과 정체성 한국에서 미학찾기 2002 미술 읽기 1998-2002 전시평 = 352 1998 근대미술의 재발견 - 근대를 보는 눈전 프랑스 파리 - 세계의 젊은 예술가들 : 세계 24대 미술전문지 페스티벌 참관기 2000 중세의 불꽃과 오늘의 시대정신 - 사군자전 2001 1980년대 리얼리즘 리얼리즘과 그 시대 2002 근대의 절정과 미술사 다시 쓰기 - 격조와 해학전 불교미술, 아름다움과 깨달음전 - 아름다움과 깨달음전 1998-2002 정책 = 367 1998 근대미술관의 운명을 타고난 덕수궁 석조전 국립근대미술관의 탄생 김대중 정부, 미술문화정책 현안 리포트 1999 21세기 국립현대미술관의 미래를 위한 우리의 제언 21세기 미술문화정책 유감 2000 21세기 미술문화정책 유감 덕수궁을 세계적인 근대미술관으로 문화의 시대 아주 특별한 꿈 정책 없는 비엔날레, 그 존재의 근거 2003-2008 시장의 풍요, 정책의 빈곤 = 381 2003 민족미학의 성과와 한계 2004 화가 가문, 명가의 탄생과 소멸 2005 민중미술 15년전의 추억 시각매체연구소와 한국민중미술운동 2007 민중미술의 잠재력과 미래 미술대전, 누가 이토록 황폐화시켰을까 신정아 사건에 대하여 - 신데렐라 사냥 중단과 미술계 중심과제를 향하여 큐레이터협회의 출범에 부쳐 2008 근대미술의 해방 - 동북아시아 연대 권위의 몰락과 새 시대의 원로상 2003-2008 전시평 = 408 2004 리얼리즘의 힘, 동북아의 중심 일본 동경 - 아시아 근대미술사 서술의 재고 식민지조선과 전쟁미술전 2007 미술사의 전환, 그 계보학 - 민중의 힘과 꿈 청관재 민중미술 컬렉션전 신사실파, 순수의 시절 2008 국공립미술관 흥행전시에 대하여 혼성의 정체성 - 라틴아메리카 거장전 2003-2008 정책 = 421 2003 노무현 정부, 문화정책에 바란다 전신공간의 열린 가능성을 위하여 2004 국립현대미술관 책임운영기관화를 비판한다 - 참된 서비스 강화와 자율성 증대를 위한 구상 국립중앙박물관, 용산시대를 맞이하여 전북도립미술관, 동북아 미술중심 미술관을 꿈꾸며 미술분야, 해방 60주년에 해야 할 일 2005 문광부 장관에게, 국립근대미술관 창설을 위하여 휘청거리는 미술문화정책 지원기금 운용과 관료, 미술인의 반성을 촉구함 국립현대미술관, 책임운영기관 전환 정책의 본질과 그 대안 혼선과 위기의 미술정책, 극복을 위한 전환을 촉구함 한국근대사박물관의 가치 - 현대 생활 시각문화의 역사적가치 한국미술품감정평가원 설립의 불가능성에 관한 몇 가지 이유 2006 2006년 미술정책의 주요 혁식과제 문화관광부 개혁을 제안함 2008 국립현대미술관 문제에 대한 답변 - 중앙일보사 설문에 대하여 국립근대미술관 설립을 소망하는 미술인 모임 초안 새 국립현대미술관장을 기다리며 출전 = 450 후기 = 455 찾아보기 = 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