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223camccc200337 k 4500 | |
001 | 000045572703 | |
005 | 20100805044441 | |
007 | ta | |
008 | 100114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332045 ▼g 94910 | |
020 | 1 | ▼a 9788959331574 (세트) |
035 | ▼a (KERIS)BIB000011871995 | |
040 | ▼d 222001 ▼d 211062 ▼d 211009 | |
082 | 0 4 | ▼a 325.3 ▼2 22 |
090 | ▼a 325.3 ▼b 2009z1 | |
245 | 0 0 | ▼a 식민주의 기억과 역사화해 : ▼b 11개국 역사교과서 분석 = ▼x Shadows of the past : reconciling accounts of colonialism in history textbooks / ▼d 한도현, ▼e 신주백 편저. |
260 | ▼a 서울 : ▼b 선인 , ▼c 2009. | |
300 | ▼a 399 p. : ▼b 삽도 ; ▼c 24 cm. | |
440 | 0 0 | ▼a 동아시아 연구총서 ; ▼v 006 |
500 | ▼a 공저자: Francis A. Gealogo, Nordin Hussin, Pham Hong Tung, Noorhaidi Hasan, Paul H. Kratoska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536 | ▼a 이 책은 2005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 현 교육과학기술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 |
700 | 1 | ▼a 한도현 ▼0 AUTH(211009)31677 |
700 | 1 | ▼a 신주백 ▼0 AUTH(211009)134027 |
700 | 1 | ▼a Gealogo, Francis A. |
700 | 1 | ▼a Hussin, Nordin |
700 | 1 | ▼a Tung, Pham Hong |
700 | 1 | ▼a Hasan, Noorhaidi |
700 | 1 | ▼a Kratoska, Paul H.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 2009z1 | 등록번호 1115650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5.3 2009z1 | 등록번호 111565013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10-23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신주백(엮은이)
전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소장 『일본군의 한반도 침략과 일본의 제국운영』(동북아역사재단, 2021), 『한국 역사학의 전환』(휴머니스트, 2021), 『한국 역사학의 기원』(휴머니스트, 2016), 『역사화해와 동아시아형 미래 만들기』(선인, 2015), 『1920~30년대 중국지역 민족운동사』(선인, 2005), 『처음 읽는 동아시아사1』(공저, 휴머니스트, 2016),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공저, 휴머니스트, 2012) 등
한도현(엮은이)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 사회학(역사사회학, 사회발전) 전공. <지역결사체와 시민공동체>(공저), <500년 공동체를 움직인 유교의 힘>(공저) 등.

목차
목차 총론 - 세계 역사교과서 속의 식민주의와 역사화해 / 한도현 1. 왜 세계 역사교과서인가? = 15 2. 세계의 역사교과서에서 무엇을 볼 것인가 = 19 3. 세계 역사교과서들은 역사의 상처를 치유할까? = 25 4. 맺음말: 역사대화의 진전을 향하여 = 37 제1부 과거와 마주하기 한중일 역사교과서에서 일본의 침략과 저항, 그리고 해방을 둘러싼 기억의 차이 / 신주백 1. 머리말 = 49 2. 일본의 침략에 관한 한중일의 역사교육 = 51 3. 저항의 기억 = 56 4. 지배의 기억 = 61 5. 만주(滿洲)에 대한 기억: 같은 공간, 다른 강조 = 68 6. 8ㆍ15의 기억 = 75 7. 맺음말 = 79 말레이시아 식민역사에 대한 오해와 오류 / Nordin Hussin 1. 머리말 = 81 2. 영국 역사교과서에서 서술된 말레이시아 역사의 내용 = 83 3. 영국인 저자에 의해 저술된 말레이시아 역사교과서 = 91 4. 맺음말 = 108 베트남과 프랑스 역사교과서에서 식민역사의 제시와 해석 / Pham Hong Tung 1. 머리말 = 115 2. 베트남 학교와 대학에서의 식민시기 역사교육 : 역사교과서와 관련 서적에 대한 잠정적 분석 = 120 3. 프랑스 학교에서 베트남 식민사의 서술과 교육 = 132 4. 맺음말 = 150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 교과서에 나타난 제국주의 / Paul H. Kratoska 1. 네덜란드령 동인도제도와 인도네시아 = 157 2. 인도네시아 교과서 = 159 3. 1994년 커리큘럼과 1999년의 개정 = 162 4. 2004년 커리큘럼 = 168 5. 네덜란드 교과서에서 제시된 제국주의와 식민통치 = 170 6. 맺음말 = 178 식민지 역사와 공식적 역사 인식 / Francis A. Gealogo 1. 역사교과서에서 비교, 논의되는 구체적 주제들 = 185 2. 미국의 필피핀 지배에 대한 개괄 = 186 3. 분석대상 교과서들에 대한 몇 가지 설명 = 187 4. 여러 교과서에서 일반적 주제를 다루는 방법의 비교 평가 = 190 5. 특정 주제 다루는 방법의 비교 = 193 6. 맺음말 : 미국과 필리핀 역사교과서의 비교 = 211 제2부 화해의 내일을 향해 한중일 중고교 역사교과서에서 역사인식의 '국경을 넘는 법' / 신주백 1. 머리말 = 221 2. 한중일의 중고교 역사교과서 현황과 역사교육 = 223 3. 도쿄재판과 전쟁책임을 둘러싼 역사교과서 서술 = 229 4. 샌프란시스코강화조약과 전후책임을 둘러싼 역사교과서 서술 = 236 5. 화해와 협력을 위한 노력에 관한 역사교과서 서술 = 246 6. 맺음말 = 250 식민의 기억과 자주적 말레이시아 역사 / Nordin Hussin 1. 머리말 = 253 2. 식민 시대의 유산 = 254 3. 탈식민시대 = 260 4. 맺음말 = 271 베트남과 프랑스 역사에서 식민시기 / Pham Hong Tung 1. 문제의 소재 = 277 2. 화해를 위한 가능한 해결책 = 303 3. 맺음말 = 326 화해의 여지는 있는가? 현재 교과서 상의 인도네시아-네덜란드 관계 / Noorhaidi Hasan 1. 머리말 = 331 2. 인도네시아와 네덜란드의 조우 = 332 3. 역사 커리큘럼 = 338 4. 교과서에서 언급되는 인도네시아-네덜란드 관계 = 343 5. 맺음말 = 358 미래를 향해 나아가기 위해 과거와 마주하기 / Francis A. Gealogo 1. 머리말 = 363 2. 교육 포럼ㆍ교사 지원 프로그램 = 366 3. IBON = 381 4. 선구적인 미국인 활동가들 = 387 5. 맺음말 = 390 찾아보기 = 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