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외줄타기 : 노동운동 40년, 박인상 회고록

외줄타기 : 노동운동 40년, 박인상 회고록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인상 , 1939- 박미경
서명 / 저자사항
외줄타기 : 노동운동 40년, 박인상 회고록 / 박인상 말함 ; 박미경 씀.
발행사항
서울 :   매일노동뉴스 ,   2009.  
형태사항
419 p. : 삽도, 연표 ; 20 cm.
ISBN
9788995499030
주제명(개인명)
박인상 ,   1939-  
000 00653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72621
005 20100805044405
007 ta
008 091228s2009 ulkaj 000c kor
020 ▼a 9788995499030 ▼g 03330
035 ▼a (KERIS)BIB000011883987
040 ▼a 211042 ▼c 211042 ▼d 211009
082 0 4 ▼a 331.8092 ▼2 22
090 ▼a 331.8092 ▼b 2009z1
100 1 ▼a 박인상 , ▼d 1939- ▼0 AUTH(211009)110896
245 1 0 ▼a 외줄타기 : ▼b 노동운동 40년, 박인상 회고록 / ▼d 박인상 말함 ; ▼e 박미경 씀.
260 ▼a 서울 : ▼b 매일노동뉴스 , ▼c 2009.
300 ▼a 419 p. : ▼b 삽도, 연표 ; ▼c 20 cm.
600 1 4 ▼a 박인상 , ▼d 1939-
700 1 ▼a 박미경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092 2009z1 등록번호 11156515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092 2009z1 등록번호 11156515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노동운동 40년의 노동운동가, 박인상 회고록. 박인상은 조선소 노동자로 일하던 중 산소엔진룸 폭발사고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뒤 노동운동에 뛰어들어 비정규직(임시공) 1천여명 전원해고에 맞서 1968~69년 부산 영도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 파업을 주도했다.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와 노사정위원회 설립 을 합의하고 위암 수술 뒤에는 16대 국회의원에 당선하는 등 파란만장한 인생을 보냈다. 현재는 국제노동협력원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는 그의 인생 역정이 펼쳐진다.

국내 최초의 노동운동가 회고록!

빈농의 자식에서 조선소 노동자로,
산소엔진룸 폭발사고에서 가까스로 목숨을 건진 뒤 노동운동에 뛰어들어 비정규직(임시공) 1천여명 전원해고에 맞서 1968~69년 부산 영도 대한조선공사(현 한진중공업) 파업 주도,
사상 최초 긴급조정권 발동, 금속노련 위원장 시절 한국노총 최초의 옥외집회 개최,
한국노총 위원장 시절 50년 만의 총파업 단행,
정책연합을 통한 수평적 정권교체,
김대중 대통령 당선자와 노사정위원회 설립 합의,
위암 수술 뒤 16대 국회의원 당선,
국제노동협력원 운영위원장으로 노동외교에 매진…

박인상 위원장의 드라마틱한 인생역정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집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박미경(엮은이)

민주노동당 기관지 <진보정치>, <매일노동뉴스> 기자를 거치며, 노동을 글로 옮기는 일을 하고 있다. 쓴 책으로 <김헌정 평전>, <김금수 회고록> 등이 있다.

박인상()

한국 노동운동의 대부. 노동조합 활동을 그만둔 지 꽤 됐음에도 언제나 ‘영원한 위원장’으로 불린다. 1939년 12월, 이순신 장군이 거북선을 이끌고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을 물리쳤던 경상남도 사천에서 태어났다. 비정규직(임시공) 신분으로 대한조선공사 노동조합 청년부장을 맡으면서 노동운동에 뛰어들었다. 1960년대 후반, 임시공 집단해고 철회를 요구하며 국내 최초의 국영기업 파업을 이끌었다. 금속노련 위원장 선거에서 낙선했지만 개혁의 꿈을 포기하지 않았고, 재도전 끝에 위원장에 당선됐다. 1996년 한국노총 위원장에 당선된 뒤에는 민주노총과 연대투쟁을 성사시켜 96~97년 노동계 총파업을 이끌었다. 외환위기 직후에는 제16대 국회의원(환경노동위원회)에 당선됐다. 해마다 의정활동 베스트 국회의원에 뽑히는 등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현재 국제노동협력원에서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병진()

원광대?우석대 강사로 활동했으며 한국서예대전?전북도전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눈 그림 600년전, 새천년 릴레이전, 한중?한일 교류전에 작품을 출품한 바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추천사
 사람을 사랑한 영원한 위원장 / 장석춘[한국노총 위원장] = 4
 다시 하나됨을 꿈꾸며 / 문성현[전 민주노동당 대표] = 7
프롤로그 : 회고록 발간에 부쳐 = 12
Part 1 노동자는 하나, 본공과 임시공을 하나로 묶다
 아무도 예상하지 못했던 파업 = 22
 임시공들, 조합 속으로 들어오다 = 32
 완벽한 승리, 그 앞에 놓인 것은? = 42
 '레프트 두목' = 52
 "노동조합 간부를 맡으라꼬요?" = 62
 노동조합은 나의 노동대학 = 73
Part 2 최초의 긴급조정권 발동, 빼앗긴 노조 무너진 신화
 열여섯, 나의 꿈 = 86
 조선기술고등학교, 그리고 여명학원 = 96
 대학생을 꿈꾸는 노동자 = 105
 "또 붙자! 싸우면 우리가 이긴다!" = 114
 이것은 '복수전'인가, '말살전'인가 = 123
 칼 빼든 정부, 최초로 발동된 긴급조정권 = 133
Part 3 암흑의 시대, 꺼지지 않는 공장의 불빛
 뿔뿔이 흩어진 '황야의 11인' = 146
 나의 반쪽을 만나다 = 156
 금속노조 직할 영도철공분회 사무장 = 166
 "지역지부로 다들 뭉칩시다!" = 177
 처음으로 조직의 '쓴맛'을 보다 = 189
 늘어나는 조직, 때를 기다리는 노동자들 = 200
Part 4 개혁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너무나 짧았던 봄 = 216
 '조직'은 못하고 '교육'만 하는 신세 = 230
 10표차, 개혁은 지금부터 시작이다 = 244
 불붙은 노동자대투쟁 = 258
 "금속노련 위원장 박인상입니다" = 270
 부당노동행위를 막아라! = 284
 눈앞에 다가온 '복수노총' 시대 = 296
Part 5 외환위기와 정책연합, 그리고 50년 만의 정권교체
 한국노총 위원장이 되다 = 312
 현장이 바로 서야 한국노총이 산다 = 321
 싸움을 걸어오면 피하지 않는다 = 330
 공포됐던 법률이 국회에서 재개정되다 = 340
 '정책연합'을 둘러싼 갈등 = 351
 "모든 것을 노사정위에서 다룹시다" = 359
 피해 갈 수 없었던 파도, '정리해고' = 369
Part 6 원치 않았던 여의도행, 다시 늙은 노동자로
 "국회로 와서 정부를 도와주십시오" = 382
 "할 말은 하겠다" = 394
 늙은 노동자들 곁으로 = 406
에필로그 : 금속노동자에서 이주노동자의 친구로 = 416
연표로 보는 박인상의 생애 = 420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영중 (2023)
한국. 국회. 예산정책처 (2023)
한윤수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