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생활 속의 뇌물죄 : 청렴교육의 필독서

생활 속의 뇌물죄 : 청렴교육의 필독서 (1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중백 李中白
서명 / 저자사항
생활 속의 뇌물죄 : 청렴교육의 필독서 / 이중백 지음.
발행사항
파주 :   한국학술정보 ,   2009.  
형태사항
210 p. ; 23 cm.
총서사항
내일을여는지식 , 법 ; 33
ISBN
9788926805497
000 00653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71439
005 20100805043827
007 ta
008 091208s2009 ggk 000c kor
020 ▼a 9788926805497
035 ▼a (KERIS)BIB000011870957
040 ▼a 211052 ▼c 211052 ▼d 211009
082 0 4 ▼a 345.51902323 ▼a 364.1323 ▼2 22
085 ▼a 345.5302323 ▼2 DDCK
090 ▼a 345.5302323 ▼b 2009
100 1 ▼a 이중백 ▼g 李中白
245 1 0 ▼a 생활 속의 뇌물죄 : ▼b 청렴교육의 필독서 / ▼d 이중백 지음.
260 ▼a 파주 : ▼b 한국학술정보 , ▼c 2009.
300 ▼a 210 p. ; ▼c 23 cm.
440 0 0 ▼a 내일을여는지식 , ▼p 법 ; ▼v 33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5.5302323 2009 등록번호 1115637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5.5302323 2009 등록번호 1115637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부패지수가 심각한 대한민국에서 뇌물죄는 직업 관료 및 관리의 청렴과 국가 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입법화되었다. 미국에서는 공무원은 물론 준공무원에게 직업적 뇌물죄까지 처벌하는 규정을 두었고, 일본도 특별뇌물죄의 규정을 두었다. 우리나라는 특별제정법을 규정하여 방지노력을 하지만 사회적 뇌물 사건이 빈번하다. 이 책은 뇌물죄의 개념과 구성요건, 유형 및 처벌과 판례로 구성하여 부패 척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제1절에 뇌물죄의 개념, 제2절에 뇌물죄의 구성요건, 제3절에 공무원의 범위, 제4절에 뇌물죄의 유형 및 처벌, 제5절에 수뢰죄와 증뢰죄, 제6절에 몰수 및 추징, 제7절에 판례연습, 제8절에는 2009년까지 입법화된 부패관련법을, 그리고 뇌물죄 및 부패와 관련된 참고사항과 용어해설을 부록에 첨가하였다. 특히 2008년까지 뇌물죄에 관한 판례를 총정리하였다.

많은 사람들은 사회가 정의롭고 공정한 경쟁이 이루어지기를 갈망하고 있는데, 이를 가로막는 것이 바로 부정부패이다.
2007년도 한국의 부패지수는 10점 만점에 5.1점을 받았고, OECD 30개국 회원국 중 25위를 차지했으며, 세계 180여 국가 중에서 43위를 차지하여 부패지수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고 있다.
대한민국은 정부 수립 이후 개발독제체제로 눈부신 경제발전과 정치적 안정을 이루는 듯했지만, 인권과 자유에 대한 억압이 끊이지 않았다.
’90년대에 들어와 정부는 부정부패의 척결, 경제의 활성화, 국가 기강의 확립을 당면 과제로 총체적 개혁을 부르짖게 되었는데 그중 하나가 뇌물죄였다.
뇌물죄는 근대 관료국가 성립 후 직업 관료 및 관리의 청렴과 국가 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입법화되었으며, 각국에서는 뇌물범죄를 척결하기 위하여 엄격한 처벌 규정을 두고 있다. 선진국 중의 하나인 미국에서조차도 공무원은 물론 준공무원 및 직업적 뇌물죄까지 처벌하는 규정을 입법화하였고, 가까운 일본도 특별뇌물죄의 규정을 두어 처벌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직자윤리법 및 공무원부패방지법 등 특별제정법을 규정하여 뇌물죄를 방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뇌물과 관련된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뇌물죄는 근대 관료국가 성립 후 직업 관료 및 관리의 청렴과 국가 기강을 확립하기 위해 입법화되었으며, 각국에서는 뇌물범죄를 척결하기 위하여 엄격한 처벌 규정을 두고 있다. 선진국 중의 하나인 미국에서조차도 공무원은 물론 준공무원 및 직업적 뇌물죄까지 처벌하는 규정을 입법화하였고, 가까운 일본도 특별뇌물죄의 규정을 두어 처벌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공직자윤리법 및 공무원부패방지법 등 특별제정법을 규정하여 뇌물죄를 방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사회적으로 뇌물과 관련된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저자는 부패를 척결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뇌물죄에 관련해 책을 펴냈다.
본서의 내용으로는 제1절에 뇌물죄의 개념, 제2절에 뇌물죄의 구성요건, 제3절에 공무원의 범위, 제4절에 뇌물죄의 유형 및 처벌, 제5절에 수뢰죄와 증뢰죄, 제6절에 몰수 및 추징, 제7절에 판례연습, 제8절에는 2009년까지 입법화된 부패관련법을, 그리고 뇌물죄 및 부패와 관련된 참고사항과 용어해설을 부록에 첨가하였다. 특히나 2008년 최근까지 뇌물죄에 관한 판례를 총정리하여 참고토록 하였다.
한자가 많이 사용되었던 기존 법관련 서적들에 비해 한글이 많아 법학을 공부하고자 하는 자,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는 자들이 쉽게 접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이중백(지은이)

全州大學校 大學院 法學科(法學博士), 전라남도지방공무원시험 출제위원을 역임하고 송원대학 초당대학교 광주대학교 호남대학교 등의 경찰행정학과, 전라남도청공무원위탁의 사회복지학과, 법학과 강사와, 한국법학회 회원, 광주 전남 형사법학회 회원.법무부/대한변협 법교육 출장강사, 광주시 공무원 교육원 청렴교육 강사, 국민권익위원회 청렴교육 강사로 활동했다. 주요 저서 및 논문에는 <해설 형법전>(도서출판 교서관, 1996) <사회복지법제론>(센스기획, 2000) <한국의 뇌물죄>(한국학술정보(주), 2008) 'A Study on the Bribery in the Criminal Law'(박사) <청소년 범죄의 환경적 요인에 관한 고찰>(석사)외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제1절 뇌물죄의 개념 
제2절 뇌물죄의 구성요건 
제3절 공무원의 범위 
제4절 뇌물죄의 유형 및 처벌 

제5절 수뢰죄와 증뢰죄 
*수뢰(收賂)에 관한 죄 
(가) 단순수뢰죄 
(나) 사전수뢰죄 
(다) 제3자 뇌물제공죄 
(라) 수뢰후부정처사죄 
(마) 부정처사후수뢰죄 
(바) 사후수뢰죄 
(사) 알선수뢰죄 

*증뢰(贈賂)에 관한 죄 
(아) 단순증뢰죄 
(자) 증뇌물전달죄 

제6절 몰수 및 추징 
제7절 판례연습 

제8절 부패관련법 
Ⅰ. 부패방지법 
Ⅱ. 공직자윤리법 
Ⅲ. 국제상거래에 있어서 외국공무원에 대한 뇌물방지법 
Ⅳ. 국가공무원법 
Ⅴ. 특정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상뇌물죄 
Ⅵ.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상뇌물죄 
Ⅶ. 공무원범죄에관한몰수특례법상뇌물죄 
Ⅷ. 공무원연금법 
Ⅸ. 공무원행동강령 
Ⅹ. 범죄수익은닉의규제및처벌등에관한법률(돈세탁법) 

*부 록 
[1] 뇌물죄 정리 
(1) 뇌물죄의 주체와 직무관련성 
(2) 뇌물죄의 구성요건 중 행위 
(3) 뇌물죄와 배임수.증죄의 비교 
(4) 알선뇌물죄(형법.특가법.특경가법.변호사법위반) 
(5) 수뢰액(수수액)에 따른 형법과 특.가.법과의 관계 
(6) 특.경.가.법(금융기관 임?직원)의 수수액에 따라 가중처벌 
(7) 수뢰액에 따라 형법.특가법.특경가법의 형량 
(8) 공소시효기간.형의 시효.형의 실효.복권.사면 
(9) 교원 금품.향응수수 관련 처리기준 
(10) 8대 범죄 형량 선고 기준(판사의 형량 재량 배제) 
(11) 특별법 개정안 
(12) 교육공무원법과 징계벌 개정 
(13) 행정안전부 입법안 
(14) 광주시지방공무원징계양정에관한규칙 

[2] 뇌물죄에서의 공무원 의제 
[3] 뇌물죄와 관련된 법률용어 

*뇌물죄에 관한 판례 정리 
[1] 뇌물죄(賂物罪)의 보호법익(保護法益) 
[2] 수뢰죄(收賂罪)와 증뢰죄(贈賂罪)의 필요적 공범(共犯)관계 
[3] 직무관련성(職務關聯性) 
[4] 단순수뢰죄(單純收賂罪, 제129조 1항) 
[5] 사전수뢰죄(事前收賂罪, 제129조 2항) 
[6] 제3자 뇌물공여죄(第3者賂物供與罪, 제130조) 
[7] 수뢰후부정처사죄(收賂後不正處事罪, 제131조 1항) 
[8] 부정처사후수뢰죄(不正處事後收賂罪, 제131조 2항) 
[9] 사후수뢰죄(事後收賂罪, 제131조 3항) 
[10] 알선수뢰죄(斡旋收賂罪, 제132조) 
[11] 알선수재죄(斡旋收財罪) 
[12] 증뢰죄.증뢰물전달죄(贈賂罪?贈賂物傳達罪, 제133조)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