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17camcc2200301 c 4500 | |
001 | 000045570704 | |
005 | 20111101112154 | |
007 | ta | |
008 | 090527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84337343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1656491 | |
040 | ▼d 211046 ▼d 211062 ▼d 211009 ▼d 244002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415 ▼2 22 |
085 | ▼a 415 ▼2 DDCK | |
090 | ▼a 415 ▼b 2009z5 | |
100 | 1 | ▼a 송재정, ▼d 1958- ▼0 AUTH(211009)74661 |
245 | 1 0 | ▼a 언어유형론 : ▼b 형태론과 통사론 / ▼d Jae Jung Song 저 ; ▼e 김기혁 역 |
246 | 1 9 | ▼a Linguistic typology : ▼b morphology and syntax |
260 | ▼a 서울 : ▼b 보고사, ▼c 2009 | |
300 | ▼a 518 p. : ▼b 삽화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p. [465]-491)과 색인수록 | |
650 | 0 | ▼a Typology (Linguistics) |
650 | 0 | ▼a Grammar, Comparative and general |
700 | 1 | ▼a 김기혁, ▼e 역 ▼0 AUTH(211009)94022 |
900 | 1 0 | ▼a Song, Jae Jung,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9z5 | Accession No. 11156323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5 2009z5 | Accession No. 151294505 | Availability Apply Simple Loan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415 2009z5 | Accession No. 111563236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0-04 | Make a Reservation Available for Reserve(1persons reqested this item)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415 2009z5 | Accession No. 151294505 | Availability Apply Simple Loan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김기혁(지은이)
1987년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8년부터 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국어문법론과 형태통어론 연구, 언어유형론 연구 등에 힘써왔다. KBS 창사 특집 다큐멘터리 <사라진 언어 잊혀진 세계>(2011년 방영)의 자문을 맡았고, 당시 함께 자문을 담당했던 니컬러스 에번스를 만나면서 이 책의 번역을 맡게 되었으나, 관련 연구와 번역을 수행하던 중 2011년 4월 지병으로 별세했다. 저서로 『국어 문법 연구』『한국어 연구의 이론과 방법』『언어의 생성과 응용』, 역서로 『언어유형론』(공역), 『어순 유형론과 개사이론』(공역) 외 다수가 있다.
송재정(지은이)
문학박사(모나슈(Monash) 대학, 호주 멜버른) 현재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 언어학부 교수 호주 모나슈 대학, 국립 싱가포르 대학에서 강의 호주 라 트로브 대학, 막스 프랑크 연구소(독일 라이프치히) 초빙교수 역임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5 서문 = 7 약어 = 11 감사의글 = 12 01 언어유형론 개론 = 19 1.1. 언어유형론자들은 무엇을 연구하는가? = 19 1.2. 유형론적 분석 = 23 1.3. 언어 보편성의 유형론 = 26 1.4. 언어 보편성과 언어유형론 = 29 1.5. 유형론적 분석에서 가정과 문제 = 31 1.5.1. 범-언어적 비교 가능성 = 31 1.5.2. 균일성의 원리 = 37 1.5.3. 언어 표본화에 대한 접근 = 40 1.5.4. 언어 표본 크기의 결정 = 60 1.5.5. 자료의 문제 = 69 1.6. 부분적 유형론 대 전체적 유형론 = 72 1.7. 이 책 나머지의 조직 = 76 02 기본 어순 = 79 2.1. 기본 어순은 무엇인가? = 79 2.2. 기본 어순에 대한 초기의 연구 = 83 2.2.1. 어순 유형론의 시초 = 84 2.2.2. OV-VO 유형론 = 89 2.2.3. 예외 없는 언어 보편성 만들기 = 104 2.3. 기본 절 어순의 분포 설명 = 118 2.4. OV-VO 유형론으로 회귀: 분지 방향 이론 = 127 2.5. 전체적 설명의 탐색: 초기 직접 성분 이론 = 143 2.6. 어순에서 형태소 순서로: 접미사화 선호 = 167 2.7. 마무리 = 184 03 격 표시 = 186 3.1. 개론 = 186 3.2. A, S와 P, 그리고 격 표시 유형 = 189 3.2.1. 주격-대격 체계 = 191 3.2.2. 능격-절대격 체계 = 193 3.2.3. 삼분할 체계 = 196 3.2.4. AP/S 체계 = 197 3.2.5. 중립 체계 = 198 3.3. 더 많은 격 표시 유형 = 198 3.3.1. 분열-능격 체계 = 198 3.3.2. 행동-상태 체계 = 202 3.3.3. 순행-역행 체계 = 207 3.4. 격 표시 체계의 분표 = 209 3.5. 격 표시의 차별적인 시각 = 211 3.6. 격 표시의 지표화 시각 = 215 3.7. 차별적인 시각 대 지표화 시각 = 223 3.8. 명사의 계층과 분열-능격 체계 = 225 3.9. 통합된 설명을 위하여: 집중의 흐름과 시점 = 230 3.10. 능격성, 담화에서 문법으로 = 239 3.11. 변형된 또는 비-기본적 구성의 격 표시 = 244 3.11.1. 피동 = 244 3.11.2. 반피동 = 247 3.11.3. 명사 포함 = 251 3.11.4. P로 승진하는 사격 = 255 3.12. 통사적 능격성 = 261 3.13. 핵어 표시 대 의존어 표시 = 265 3.14. 격 표시 유형과 어순 유형 = 271 04 관계절 = 277 4.1. 개론 = 277 4.2. 제한절과 마주한 핵심 명사의 위치 = 278 4.3. 핵심 명사의 표현 = 283 4.3.1. 말소 전략 = 285 4.3.2. 대명사-유지 전략 = 286 4.3.3. 관계-대명사 전략 = 287 4.3.4. 관계화 전략의 언어-내적 분포 = 289 4.4. 접근성 계층: 관계화에 대한 접근성 = 292 4.5. 관계화의 공모 = 298 4.6. RC-관련 특질들 간의 상호관계 = 305 4.7. 주절의 핵심 명사 = 308 4.8. 관계화에서 주어 일차성 대 담화 선호 = 310 4.9. RC 유형과 어순 유형 = 316 4.10. RC 유형의 분포에서 처리의 역할 = 320 4.11. AH와 구조적 복잡성 = 332 05 사동 = 335 5.1. 개론 = 335 5.2. 형태론에 근거한 사동 구성의 유형 = 338 5.3. 피사동자 NP의 통사: 격 계층 = 343 5.4. 사동화의 공모 = 349 5.5. 이중화: 입력 대 문법적 관계 = 354 5.6. 사동화 유형과 사동 유형 = 359 5.7. 피사동자 NP의 격 표시 = 369 5.8. 사동 사건에서 피사동자의 개념적 통합 = 373 5.9. 사동 구성의 유형론으로 = 381 06 언어유형론의 응용 = 386 6.1. 개론 = 386 6.2. 언어유형론과 역사 언어학 = 387 6.2.1. 어순 재구의 초기 시도 = 390 6.2.2. 재구의 통제와 도구로서 언어유형론 = 396 6.2.3. 언어유형론과 언어적 선사 = 406 6.3. 언어유형론과 언어 습득 = 413 6.3.1. FLA에서 관계화에 대한 접근성 = 417 6.3.2. SLA에서 관계화에 대한 접근성 = 424 6.3.3. 두 가지 잠재적인 FLA/SLA의 응용 영역 = 434 6.3.4. 마무리 = 435 07 언어유형론에 대한 유럽식 접근 = 437 7.1. 개론 = 437 7.2. 레닌그라드 유형론 그룹 = 440 7.3. 쾰른 UNITYP 그룹 = 446 7.4. 프라하학파 유형론 = 453 7.5. 후기 = 460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