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서문 = 5
서문 = 7
약어 = 11
감사의글 = 12
01 언어유형론 개론 = 19
1.1. 언어유형론자들은 무엇을 연구하는가? = 19
1.2. 유형론적 분석 = 23
1.3. 언어 보편성의 유형론 = 26
1.4. 언어 보편성과 언어유형론 = 29
1.5. 유형론적 분석에서 가정과 문제 = 31
1.5.1. 범-언어적 비교 가능성 = 31
1.5.2. 균일성의 원리 = 37
1.5.3. 언어 표본화에 대한 접근 = 40
1.5.4. 언어 표본 크기의 결정 = 60
1.5.5. 자료의 문제 = 69
1.6. 부분적 유형론 대 전체적 유형론 = 72
1.7. 이 책 나머지의 조직 = 76
02 기본 어순 = 79
2.1. 기본 어순은 무엇인가? = 79
2.2. 기본 어순에 대한 초기의 연구 = 83
2.2.1. 어순 유형론의 시초 = 84
2.2.2. OV-VO 유형론 = 89
2.2.3. 예외 없는 언어 보편성 만들기 = 104
2.3. 기본 절 어순의 분포 설명 = 118
2.4. OV-VO 유형론으로 회귀: 분지 방향 이론 = 127
2.5. 전체적 설명의 탐색: 초기 직접 성분 이론 = 143
2.6. 어순에서 형태소 순서로: 접미사화 선호 = 167
2.7. 마무리 = 184
03 격 표시 = 186
3.1. 개론 = 186
3.2. A, S와 P, 그리고 격 표시 유형 = 189
3.2.1. 주격-대격 체계 = 191
3.2.2. 능격-절대격 체계 = 193
3.2.3. 삼분할 체계 = 196
3.2.4. AP/S 체계 = 197
3.2.5. 중립 체계 = 198
3.3. 더 많은 격 표시 유형 = 198
3.3.1. 분열-능격 체계 = 198
3.3.2. 행동-상태 체계 = 202
3.3.3. 순행-역행 체계 = 207
3.4. 격 표시 체계의 분표 = 209
3.5. 격 표시의 차별적인 시각 = 211
3.6. 격 표시의 지표화 시각 = 215
3.7. 차별적인 시각 대 지표화 시각 = 223
3.8. 명사의 계층과 분열-능격 체계 = 225
3.9. 통합된 설명을 위하여: 집중의 흐름과 시점 = 230
3.10. 능격성, 담화에서 문법으로 = 239
3.11. 변형된 또는 비-기본적 구성의 격 표시 = 244
3.11.1. 피동 = 244
3.11.2. 반피동 = 247
3.11.3. 명사 포함 = 251
3.11.4. P로 승진하는 사격 = 255
3.12. 통사적 능격성 = 261
3.13. 핵어 표시 대 의존어 표시 = 265
3.14. 격 표시 유형과 어순 유형 = 271
04 관계절 = 277
4.1. 개론 = 277
4.2. 제한절과 마주한 핵심 명사의 위치 = 278
4.3. 핵심 명사의 표현 = 283
4.3.1. 말소 전략 = 285
4.3.2. 대명사-유지 전략 = 286
4.3.3. 관계-대명사 전략 = 287
4.3.4. 관계화 전략의 언어-내적 분포 = 289
4.4. 접근성 계층: 관계화에 대한 접근성 = 292
4.5. 관계화의 공모 = 298
4.6. RC-관련 특질들 간의 상호관계 = 305
4.7. 주절의 핵심 명사 = 308
4.8. 관계화에서 주어 일차성 대 담화 선호 = 310
4.9. RC 유형과 어순 유형 = 316
4.10. RC 유형의 분포에서 처리의 역할 = 320
4.11. AH와 구조적 복잡성 = 332
05 사동 = 335
5.1. 개론 = 335
5.2. 형태론에 근거한 사동 구성의 유형 = 338
5.3. 피사동자 NP의 통사: 격 계층 = 343
5.4. 사동화의 공모 = 349
5.5. 이중화: 입력 대 문법적 관계 = 354
5.6. 사동화 유형과 사동 유형 = 359
5.7. 피사동자 NP의 격 표시 = 369
5.8. 사동 사건에서 피사동자의 개념적 통합 = 373
5.9. 사동 구성의 유형론으로 = 381
06 언어유형론의 응용 = 386
6.1. 개론 = 386
6.2. 언어유형론과 역사 언어학 = 387
6.2.1. 어순 재구의 초기 시도 = 390
6.2.2. 재구의 통제와 도구로서 언어유형론 = 396
6.2.3. 언어유형론과 언어적 선사 = 406
6.3. 언어유형론과 언어 습득 = 413
6.3.1. FLA에서 관계화에 대한 접근성 = 417
6.3.2. SLA에서 관계화에 대한 접근성 = 424
6.3.3. 두 가지 잠재적인 FLA/SLA의 응용 영역 = 434
6.3.4. 마무리 = 435
07 언어유형론에 대한 유럽식 접근 = 437
7.1. 개론 = 437
7.2. 레닌그라드 유형론 그룹 = 440
7.3. 쾰른 UNITYP 그룹 = 446
7.4. 프라하학파 유형론 = 453
7.5. 후기 = 460
참고문헌 = 465
찾아보기 = 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