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초등 역사교육의 이해

초등 역사교육의 이해 (Loan 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덕진 金德珍
Title Statement
초등 역사교육의 이해 / 김덕진.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선인 ,   2009.  
Physical Medium
204 p. ; 23 cm.
Series Statement
역사문화교육총서 ; 001
ISBN
9788959331505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201]-204
000 00599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70429
005 20100805043306
007 ta
008 090324s2009 ulk b 000c kor
020 ▼a 9788959331505
035 ▼a (KERIS)BIB000011610052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72.89 ▼2 22
090 ▼a 372.89 ▼b 2009
100 1 ▼a 김덕진 ▼g 金德珍 ▼0 AUTH(211009)66219
245 1 0 ▼a 초등 역사교육의 이해 / ▼d 김덕진.
260 ▼a 서울 : ▼b 선인 , ▼c 2009.
300 ▼a 204 p. ; ▼c 23 cm.
440 0 0 ▼a 역사문화교육총서 ; ▼v 001
504 ▼a 참고문헌: p. [201]-204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89 2009 Accession No. 11156289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덕진(지은이)

전남대학교 사범대학 국사교육과를 졸업하고, 전남대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는 광주교육대학교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광주교대 교무처장, 광주교총 회장, 지역문화교류호남재단 이사장, 전라남도 문화재전문위원, 광주시 문화재위원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조선후기 지방재정과 잡역세』(1999), 『연표로 보는 한국역사』(2002), 『조선후기 경제사연구』(2002), 『소쇄원 사람들』(2007), 『대기근, 조선을 뒤덮다』(2008), 『초등 역사교육의 이해』(2009), 『소쇄원 사람들』 2(2011), 『세상을 바꾼 기후』(2013), 『손에 잡히는 강진역사』(2015), 『전쟁과 전라도 지역사』(2018), 『전라도의 탄생』 1·2(2018·2020)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장 초등 사회과와 역사 = 13
 1. 사회과의 성격 = 13
  1) 사회과의 개념 = 13
  2) 사회과의 학습요소 = 14
  3) 사회과의 학습전략 = 17
 2. 사회과의 목표 = 20
  1) 교육 목표의 위계화 = 20
  2) 사회과의 종합 목표 = 21
  3) 사회과의 영역 목표 = 23
2장 초등 역사교육의 필요성 = 29
 1. 역사, 역사학, 역사교육 = 29
 2. 역사교육의 목적 = 31
 3. 역사교육의 의의 = 34
3장 초등학생의 역사의식과 발달 단계 = 39
 1. 역사의식의 의미 = 39
 2. 역사의식의 6단계 = 41
 3. 초등학생의 역사의식 = 44
  1) 학년별 역사의식 = 44
  2) 단계별 학습대상 = 46
4장 초등 역사학습의 내용 = 51
 1. 내용선정의 기준 = 51
  1) 일반적 기준 = 51
  2) 역사적 기준 = 52
 2. 내용조직의 원리 = 55
  1) 사회과의 원리 = 55
  2) 역사학습의 원리 = 57
 3. 역사학습내용의 배열 = 59
  1) 영역별 배열 = 59
  2) 학년별 배열 = 61
5장 초등 역사학습의 성격 = 65
 1. 역사학습에서 키우는 자질ㆍ능력 = 65
  1)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 = 65
  2) 자국에 대한 사랑 = 67
  3) 역사적 사고방식의 기초 육성 = 68
 2. 역사에 대한 이해ㆍ애정의 배양 = 71
  1) 친근한 소재를 중심으로 = 71
  2) 어린이의 감성을 활동시켜서 = 74
  3) 역사교재를 음미하여 = 76
6장 초등 역사학습의 핵심개념 = 79
 1. 과거 = 79
  1) 과거와 어린이 = 79
  2) 어린이의 과거 = 81
 2. 시간 = 83
 3. 변화 = 86
 4. 지속성 = 89
7장 초등학생과 역사적 사고 = 91
 1. 역사적 사고력 = 91
 2. 역사적 탐구방법 = 93
 3. 어린 역사학자 = 96
  1) 역사학자의 작업방식 = 96
  2) 역사적 사고의 훈련 = 98
8장 새로운 초등 역사학습의 모색 = 101
 1. 수업방법의 전환 = 101
  1) 주입식 수업에서 = 101
  2) 활동식 수업으로 = 104
 2. 수업자료의 전환 = 107
  1) 문헌자료 중심에서 = 107
  2) 실물자료 중심으로 = 110
 3. 살아있는 역사학습을 향하여 = 112
9장 초등 역사학습의 여러 자료들 = 117
 1. 역사학습 자료의 요건 = 117
 2. 역사학습 자료의 실태 = 119
  1) 학습자료의 구분 = 119
  2) 학습자료의 종류 = 121
 3. 역사학습 자료의 활용 = 124
  1) 다각적 활용 = 124
  2) 친근한 활용 = 126
10장 가족사 학습 = 131
 1. 가족사 학습의 개념 = 131
 2. 가족사를 역사학습의 첫 장으로 = 133
 3. 가족사 학습방법 = 135
  1) 가정생활 중심 = 135
  2) 가족제도사 중심 = 138
11장 지역사 학습 = 141
 1. 지역사와 학습자료 = 141
  1) 지역사 학습의 개념 = 141
  2) 지역사 학습의 자료 = 144
 2. 지역사 학습방법 = 147
  1) 지역사회 탐구 = 147
  2) 자원 인사 활용 = 152
  3) 향토자료관 방문 = 154
  4) 문화행사 참여 = 157
12장 생활사 학습 = 161
 1. 생활사 학습의 개념과 배경 = 161
  1) 생활사 학습의 개념 = 161
  2) 생활사 학습의 배경 = 163
 2. 민속자료 활용하기 = 164
  1) 멋스러운 등잔 = 164
  2) 조선 등잔 공부 = 166
13장 인물사 학습 = 169
 1. 인물사 학습의 개념 = 169
 2. 인물사 학습방법 = 170
  1) 인물 선정 = 170
  2) 전개과정 = 172
  3) 인물 카드 만들기 = 174
14장 제작을 통한 역사학습 = 177
 1. 제작학습 = 177
  1) 제작학습의 개념 = 177
  2) 제작학습의 유형 = 179
 2. 연표학습 = 181
  1) 연표의 개념 = 181
  2) 연표학습의 의의 = 183
  3) 연표 만들기 = 186
15장 체험을 통한 역사학습 = 191
 1. 체험학습의 유형 = 191
 2. 원시생활 체험하기 = 196
  1) 원시생활 체험방법 = 196
  2) 불 피우기 = 197
  3) 불 피우기에서 배우는 것 = 199
참고문헌 = 201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성심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