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초등 사회과와 역사 = 13
1. 사회과의 성격 = 13
1) 사회과의 개념 = 13
2) 사회과의 학습요소 = 14
3) 사회과의 학습전략 = 17
2. 사회과의 목표 = 20
1) 교육 목표의 위계화 = 20
2) 사회과의 종합 목표 = 21
3) 사회과의 영역 목표 = 23
2장 초등 역사교육의 필요성 = 29
1. 역사, 역사학, 역사교육 = 29
2. 역사교육의 목적 = 31
3. 역사교육의 의의 = 34
3장 초등학생의 역사의식과 발달 단계 = 39
1. 역사의식의 의미 = 39
2. 역사의식의 6단계 = 41
3. 초등학생의 역사의식 = 44
1) 학년별 역사의식 = 44
2) 단계별 학습대상 = 46
4장 초등 역사학습의 내용 = 51
1. 내용선정의 기준 = 51
1) 일반적 기준 = 51
2) 역사적 기준 = 52
2. 내용조직의 원리 = 55
1) 사회과의 원리 = 55
2) 역사학습의 원리 = 57
3. 역사학습내용의 배열 = 59
1) 영역별 배열 = 59
2) 학년별 배열 = 61
5장 초등 역사학습의 성격 = 65
1. 역사학습에서 키우는 자질ㆍ능력 = 65
1) 역사에 대한 흥미와 관심 = 65
2) 자국에 대한 사랑 = 67
3) 역사적 사고방식의 기초 육성 = 68
2. 역사에 대한 이해ㆍ애정의 배양 = 71
1) 친근한 소재를 중심으로 = 71
2) 어린이의 감성을 활동시켜서 = 74
3) 역사교재를 음미하여 = 76
6장 초등 역사학습의 핵심개념 = 79
1. 과거 = 79
1) 과거와 어린이 = 79
2) 어린이의 과거 = 81
2. 시간 = 83
3. 변화 = 86
4. 지속성 = 89
7장 초등학생과 역사적 사고 = 91
1. 역사적 사고력 = 91
2. 역사적 탐구방법 = 93
3. 어린 역사학자 = 96
1) 역사학자의 작업방식 = 96
2) 역사적 사고의 훈련 = 98
8장 새로운 초등 역사학습의 모색 = 101
1. 수업방법의 전환 = 101
1) 주입식 수업에서 = 101
2) 활동식 수업으로 = 104
2. 수업자료의 전환 = 107
1) 문헌자료 중심에서 = 107
2) 실물자료 중심으로 = 110
3. 살아있는 역사학습을 향하여 = 112
9장 초등 역사학습의 여러 자료들 = 117
1. 역사학습 자료의 요건 = 117
2. 역사학습 자료의 실태 = 119
1) 학습자료의 구분 = 119
2) 학습자료의 종류 = 121
3. 역사학습 자료의 활용 = 124
1) 다각적 활용 = 124
2) 친근한 활용 = 126
10장 가족사 학습 = 131
1. 가족사 학습의 개념 = 131
2. 가족사를 역사학습의 첫 장으로 = 133
3. 가족사 학습방법 = 135
1) 가정생활 중심 = 135
2) 가족제도사 중심 = 138
11장 지역사 학습 = 141
1. 지역사와 학습자료 = 141
1) 지역사 학습의 개념 = 141
2) 지역사 학습의 자료 = 144
2. 지역사 학습방법 = 147
1) 지역사회 탐구 = 147
2) 자원 인사 활용 = 152
3) 향토자료관 방문 = 154
4) 문화행사 참여 = 157
12장 생활사 학습 = 161
1. 생활사 학습의 개념과 배경 = 161
1) 생활사 학습의 개념 = 161
2) 생활사 학습의 배경 = 163
2. 민속자료 활용하기 = 164
1) 멋스러운 등잔 = 164
2) 조선 등잔 공부 = 166
13장 인물사 학습 = 169
1. 인물사 학습의 개념 = 169
2. 인물사 학습방법 = 170
1) 인물 선정 = 170
2) 전개과정 = 172
3) 인물 카드 만들기 = 174
14장 제작을 통한 역사학습 = 177
1. 제작학습 = 177
1) 제작학습의 개념 = 177
2) 제작학습의 유형 = 179
2. 연표학습 = 181
1) 연표의 개념 = 181
2) 연표학습의 의의 = 183
3) 연표 만들기 = 186
15장 체험을 통한 역사학습 = 191
1. 체험학습의 유형 = 191
2. 원시생활 체험하기 = 196
1) 원시생활 체험방법 = 196
2) 불 피우기 = 197
3) 불 피우기에서 배우는 것 = 199
참고문헌 =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