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법철학의 기초개념
제1절 법의 개념 및 법철학의 근본문제 = 13
1. 사회생활과 법 = 13
2. 법의 개념 = 15
3. 사회규범 = 17
4. 법의 이념 = 21
5. 법의 구조 = 24
6. 법과 다른 규범과의 관계 = 27
7. 법과 관련학문과의 관계 = 33
8. 법철학의 근본문제 = 34
제2절 법학 = 37
1. 법학의 개념 = 37
2. 법학의 분류 = 38
3. 법학의 발달 = 44
4. 법의 계통(系通) = 49
제3절 법철학의 중요문제 = 52
1. 자연법ㆍ실정법 = 52
2. 실정법의 합리성 = 52
3. 실정법의 실효성 = 53
제2장 고ㆍ중세의 법철학
제1절 고대 그리스의 법철학 = 55
Ⅰ. 고대 그리스인의 법철학 = 56
1. 평등의식과 그 근거 = 56
2. 법의 개념 = 56
Ⅱ. 스토아 학파와 에피쿠로스 학파 = 75
1. 스토아 학파 = 77
2. 에피크로스 학파 = 80
제2절 로마의 법철학사상 = 82
1. 서론 = 82
2. 로마의 법철학사상 = 84
3. 로마법의 기초이론 = 85
4. 시세로의 법철학 사상 = 88
5. 제정 로마시대의 법학자 = 89
6. 전제 군주정시대 법철학 = 92
제3절 초기 기독교 교리와 교부철학 = 94
1. 서론 = 94
2. 초기 기독교의 교리 = 95
3. 속사도 교부들과 그들의 교리 = 97
4. 초기 기독교 교리의 확립 = 99
5.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 사상 = 107
6. 결론 = 120
제4절 중세의 명록론과 실재론 = 123
1. 서론 = 123
2. 중세의 보편 논쟁 = 124
3. 결론 = 136
제5절 동양 고ㆍ중세 법철학 = 138
1. 총설 = 138
2. 중국 고대의 원시법사상 = 139
3. 법가와 유가의 법사상 = 141
4. 불교와 도교의 법사상 = 144
5. 당률(唐律) = 145
6. 중동의 사회법사상 = 147
제3장 근세의 법사상
제1절 르네상스기의 법철학 = 152
1. 서론 = 152
2. 마키아벨리 = 154
3. 보당 = 155
4. 베이컨 = 155
제2절 고전 자연법철학 = 157
1. 서론 = 157
2. 알투지우스 = 164
3. 그로티우스 = 165
4. 푸펜도르프 = 170
5. 데카르트 = 173
6. 토마지우스 = 175
7. 라이프니쯔 = 175
8. 볼프 = 178
제3절 홉스와 스피노자의 사상 = 180
1. 서론 = 180
2. 홉스의 사상 = 181
3. 스피노자의 사상 = 188
4. 홉스와 스피노자의 사상 비교 = 192
제4절 로크ㆍ몽테스키외ㆍ루소의 법철학사상 = 194
1. 로크의 법이론 = 194
2. 몽테스키외 = 197
3. 루소 = 199
제5절 독일의 비판철학과 법철학 = 203
1. 서론 = 203
2. 칸트의 법사상 = 205
3. 피히테의 법사상 = 213
4. 셸링의 법사상 = 216
제6절 헤겔의 법사상 = 218
1. 서론 = 218
2. 헤겔 법철학의 기초 = 219
3. 헤겔의 이성의 체계와 변증법 = 222
4. 헤겔의 사회사상 = 227
5. 헤겔에 대한 평가와 비판 = 231
제7절 역사법학파의 법사상 = 235
1. 서론 = 235
2. 역사법학파의 사상적 근거 = 236
3. 역사법학파 학자들의 사상 = 237
4. 역사법학파 이론의 체계화 과정 = 247
5. 역사법학파의 비판 = 249
제8절 공리주의자들의 법사상 = 252
1. 서론 = 252
2. 벤담의 법사상 = 253
3. 밀 = 256
4. 예링 = 258
5. 평가 = 260
제9절 법실증주의 = 261
1. 서론 = 261
2. 분석법학 = 265
3. 법사회학 = 268
4. 자유법학 운동(프랑스) = 276
5. 이익법학(독일) = 278
제10절 동양 근세 법철학 = 279
1. 중국 명ㆍ청시대 사상 = 279
2. 중동의 근세 법철학사상 = 281
제4장 현대 법철학
제1절 신칸트학파의 자연법사상 = 283
1. 서론 = 283
2. 신칸트학파 = 285
3. 스타믈러 = 286
4. 벡치오 = 290
5. 켈젠 = 292
6. 라드부르흐 = 294
7. 페어드로스 = 296
제2절 신헤겔주의와 전체주의 법철학 = 300
1. 서론 = 300
2. 신헤겔주의 학자들 = 301
3. 전체주의 법철학 = 303
제3절 신스콜라학파의 자연법사상 = 307
1. 신자연법론 = 307
2. 신토마스주의 이론 = 310
3. 신 법실증주의 = 315
4. 스칸디나비아의 법현실주의 = 318
제4절 20세기 가치지향적 법사상 = 321
1. 라스갈과 맥두갈의 정책학 = 321
2. 최근의 가치지향적인 법철학 = 323
3. 현상학적 법철학 = 327
4. 실존주의적 법철학 = 332
제5절 현대 미국의 법철학 = 335
1. 미국의 실용주의 = 335
2. 법현실주의 = 341
제6절 동양 현대 법철학 = 346
1. 중국 현대 법철학사상 = 346
2. 중동의 현대 법철학사상 = 347
참고문헌 = 349
주요인명 해설 = 351
색인 = 3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