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913namccc200301 k 4500 | |
001 | 000045569859 | |
005 | 20100805043110 | |
007 | ta | |
008 | 090616s2009 ulka 001c kor | |
020 | ▼a 9788963301310 | |
035 | ▼a (KERIS)BIB000011675555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618.928914 ▼2 22 |
090 | ▼a 618.928914 ▼b 2009z3 | |
100 | 1 | ▼a Berg, Insoo Kim ▼0 AUTH(211009)90874 |
245 | 2 0 | ▼a (아동과 청소년을 위한)해결중심 상담 / ▼d Insoo Kim Berg , ▼e Therese Steiner 공저 ; ▼e 유재성 , ▼e 장은진 공역. |
246 | 1 9 | ▼a Children's solution work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9. | |
300 | ▼a 382 p. : ▼b 삽도 ; ▼c 25 cm. | |
504 | ▼a 참고문헌(p. 374-375)및 색인수록 | |
650 | 0 | ▼a Child psychotherapy. |
650 | 0 | ▼a Solution-focused brief therapy. |
700 | 1 | ▼a Steiner, Thererese |
700 | 1 | ▼a 유재성 , ▼e 역 ▼0 AUTH(211009)87984 |
700 | 1 | ▼a 장은진 , ▼e 역 ▼0 AUTH(211009)91464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18.928914 2009z3 | 등록번호 11156263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해결중심 상담은 아동, 청소년 및 그들의 부모나 보호자들과 함께 그들 안에 이미 내재해 있는 강점과 자원을 추적하고 이끌어 내어 빠른 시간에 변화와 상징의 물꼬를 트게 하는 긍정심리학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이 책은 역자들의 오랜 임상경험을 통해 단기에 문제해결을 끌어내는 데 가장 효율적인 접근 중의 하나임을 확인한 해결중심접근에 근거한 아동·청소년 상담 안내서다.
이 책의 전반에 걸쳐 개인이 흔히 직면하는 일반적인 상황은 물론 특별한 상황에 이르기까지 상담현장에서 나타난 다양한 사례들을 제시하였다. 독자는 이를 통해 아동과 그들의 부모 혹은 양육자들로 하여금 전문가에게서 약간의 도움을 받음으로써 자신에게 있는 특별한 능력을 어떻게 찾아 문제를 해결하는지 그 과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저자는 무엇보다도 이 책을 통해, 어린 아동부터 그들의 부모에 이르기까지 우리가 함께 놀이하며(playing)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그 열정을 독자들도 함께 나눌 수 있게 되기를 소망한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Insoo Kim Berg(지은이)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개발한 사람 중 하나이며, 미국 위스콘신 주 밀워키에 있는 단기가족치료센터의 디렉터로 활동하였다.
Therese Steiner(지은이)
스위스에서 20년 이상 소아 정신과 의사로 활동하였다. 현재 스위스의 엠브라흐에서 살고 있다.
유재성(옮긴이)
미국 Southwestern 신학대학원에서 가족치료와 목회상담으로 박사학위(Ph.D)를 받았다. 미국 워싱턴 주 시애틀 인근에서 담임목회를 했으며, 건강한 가정건축 사역의 소명을 받고 댈러스와 시애틀에서 가족치료사와 병원 채플린으로 활동했다. 2001년 2월부터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대전에 위치한 늘사랑교회 협동목사다. 대학교와 교회, 상담관련 기관들에서 개인상담, 집단상담, 가족치료, 목회상담 등을 가르치며, 다양한 상담 과 가정 사역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현재 건강한 가정건축을 위한 ‘홈 빌더스’ 사역과 ‘라이프웨이’ 단기상담코칭의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 상담에 힘쓰고 있다.(http://cafe.daum.net/k-lifeway 참고) 한국상담전공대학원협의회장(현),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 한국목회상담협회, 한국가족상담협회 등의 상임위원과 임상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다. 위기에 처한 가정들을 해결중심 관점에서 돕는「누구나 한번쯤 이혼을 꿈꾼다」(한언출판사, 2003)와 「해결중심 목회상담」(요단출판사, 2004),「목회는 관계리더십이다」(국제제자훈련원, 2008)와「교회는 관계시스템이다」(국제제자훈련원, 2008)를 비롯한 다수의 역서를 펴낸 바 있다. 2006년에는 「현대목회상담학개론」(침신대출판부) 저술을 통해 자신이 성경적이고 한국적 토양에 맞는 단기상담코칭 모델로 개발한 ‘해결중심 라이프웨이 상담(SOLT)’을 소개했고, 그 후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장은진(옮긴이)
침례신학대학교 상담심리학과 부교수, 대전스마일센터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학사 및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박사 (전) 계명의대 동산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 연구교수 (전) 보스턴 대학교 Research Scholar (전) 한국임상심리학회 부회장 임상심리전문가, 정신건강임상심리사 1급

목차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7 서론 = 11 제1장 해결중심 단기상담이란 무엇인가 = 25 해결중심 단기상담의 기초 = 26 해결중심 단기상담과 전통적인 놀이치료 = 30 문제-해결의 전제와 과정 = 32 기존의 전통과 다르게 생각하기 = 34 문화적 적절성 = 36 제2장 아동과 해결중심 단기상담: 자연스러운 조합 = 43 아동의 사고나 행동방식 알아 가기 = 44 아동 및 부모 상담의 전제 = 48 제3장 아동 상담과 테크닉 = 53 예외를 찾는 질문 = 54 척도 질문 = 55 기적 질문 = 57 대처 질문 = 60 구체적으로, 구체적으로, 더 구체적으로: 내용 탐색의 확장과 강화 = 61 생각하는 휴식 = 63 내담자와 나눌 소견 구성하기 = 64 두 번째 및 그 이후의 상담 = 65 제4장 내담자를 평가하고 함께 목표 구축하기 = 71 아동 평가하기 = 72 가족 평가하기 = 75 반응이 느린 아동 = 84 목표 세우기: 성공적인 결과를 위한 안내 = 85 제5장 상담에 돌입하기 = 95 상담 시작하기 = 95 다른 전문가와의 공동 작업 = 122 제6장 아동의 용어로 의사소통하기 = 127 편안한 환경 제공하기 = 128 해결 발견자로서의 아동 = 132 변화에 이름을 붙이고 시각화하기 = 135 손 인형 활용하기 = 141 이야기 나누기 = 146 그림 그리기 = 158 게임과 놀이 = 172 척도 = 182 실험 = 186 무언가 다른 것 시도하기 = 190 효과적인 것 지속하기 = 195 제7장 특별한 도움을 필요로 하는 아동의 치료 = 199 특별한 필요을 요하는 아동에 대한 평가 = 201 어려운 상황을 위한 해결책 = 207 개입으로서의 평가 = 212 자주하는 질문 = 213 제8장 청소년 변화시키기 = 291 청소년기 엿보기 = 292 아동기와 청소년기의 차이 = 294 청소년 상담 시작하기 = 303 부모를 위한 간단한 규칙 = 308 비자발적인 내담자 = 320 거식증 및 기타 섭식장애 치료 = 345 제9장 상담자의 관점에서 바라보기 = 357 부록: 질문지 견본 = 372 참고문헌 = 374 저자 후기 = 376 찾아보기 = 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