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2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569410 | |
005 | 20100805042905 | |
007 | ta | |
008 | 091124s2009 ulka 000c kor | |
020 | ▼a 9788960900660 ▼g 03680: ▼c \13,000 | |
035 | ▼a (KERIS)BIB000011857497 | |
040 | ▼a 241047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791.437 ▼2 22 |
090 | ▼a 791.437 ▼b 2009 | |
100 | 1 | ▼a 봉준호 , ▼d 1969- ▼0 AUTH(211009)98960 |
245 | 1 0 | ▼a 마더 이야기 : ▼b 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영화 <마더> 스토리보드와 시나리오 / ▼d 봉준호. |
260 | ▼a 서울 : ▼b 마음산책 , ▼c 2009. | |
300 | ▼a 277 p. : ▼b 삽도 ; ▼c 23 cm. | |
500 | ▼a 스토리보드: 봉준호, 시나리오: 박은교, 봉준호. | |
700 | 1 | ▼a 박은교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7 2009 | Accession No. 1115688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7 2009 | Accession No. 11156881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2 2009z1 | Accession No. 1512832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7 2009 | Accession No. 11156881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91.437 2009 | Accession No. 111568814 | Availability In loan | Due Date 2023-12-18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791.4302 2009z1 | Accession No. 15128323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영화 <마더>의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를 함께 담았다. 시나리오와 스토리보드, 그리고 완성된 영화 사이에는 모든 것을 통제하고 싶은 욕구와, 매순간의 충동을 따르고픈 욕구가 뒤섞인 미세한 차이가 존재한다. 저자인 봉준호 감독은 그 틈새를 기억하기 위하여 이 책을 만들었다고 말한다.
책으로 보는 디렉터스컷, '마더' 이야기는 어떻게 시작되었나
봉준호 감독 연출, 김혜자.원빈 주연으로 화제를 모았던 영화 '마더'의 원본 스토리보드(콘티)와 시나리오가 책으로 나왔다. 광기 어린 모성을 다뤄 많은 관객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영화 '마더'는, 감독의 전작 <'플란다스의 개' '살인의 추억' '괴물'에 이은 수작으로 꼽힌다. 특히 첫 장면과 마지막 장면은 배우 김혜자의 기묘한 춤사위로 우리의 뇌리에 깊은 인상을 남겼다.
『마더 이야기』에는 봉준호 감독이 직접 그린 스토리보드(콘티)와, 시나리오 작가 박은교와 공동집필한 시나리오 최종본을 담았다.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실제 촬영을 위해 스토리보드 작업을 하는데, 관객들은 영화가 어떤 과정을 거쳐 완성되는지 쉽게 짐작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이 책은 '마더'를 흥미롭게 본 우리에게 그 탄생과정을 소상히 보여줘, 하나의 스토리로서 영화를 새롭게 이해하도록 이끈다. 마치 만화책을 읽는 듯 재미있고 실감나는 스토리보드와, 소설처럼 흥미진진한 시나리오. 이들이 실제 영화에서 어떻게 구현, 변형되었는지 비교해가며 읽는다면 더욱 흥미로울 것이다. 이 책은 영화 '마더'에 다른 각도로 접근하는 신선함을 안겨준다.
봉준호 감독은 이 책의 「책머리에」를 쓸 때, 시나리오를 쓰던 습관대로 문장마다 한 줄씩 행갈이를 해 작성했다. 거기서 『마더 이야기』를 펴낸 의도를 이렇게 밝히고 있다.
영화를 자세히 보신 분들이라면 알 수 있다.
완성된 영화와 시나리오의 차이를.
완성된 화면과 스토리보드의 크고 작은 차이들을.
그 미세한 틈새에 나의 몸부림이, 그리고 배우와 스태프들의 흔적이 들어 있다.
이 책은 시나리오나 스토리보드 그 자체를 기록으로 남기기 위한 것이 아니라
그 미세한 차이와 틈새를 기억하고 싶은 욕구다.
―「책머리에」에서
뛰어난 스토리텔러이자 만화가, 봉준호 감독의 손길이 그대로
꼼꼼한 사전작업으로 유명한 봉준호 감독. 스토리보드에서도 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감정 표현에서 촬영 현장 도면, 동선, 카메라의 위치까지 정교하게 설계했다. 물론 촬영에 들어가면 모든 설계도에 얽매이지 않고 과감히 변형을 시도하곤 하지만 말이다. 스토리보드를 손수 작성하는 영화감독은 흔치 않다. 그래서 영화계에서 봉준호 감독의 스토리보드는 유명할뿐더러, '괴물'의 스토리보드 일부는 작품으로 전시되기도 했다.(2009년 2월, 부친 봉상균 서울산업대 조형대학 명예교수 개인전)
더욱이 어릴 때부터 만화광이었고 연세대 재학시절 '연세춘추'에 만평을 연재하기도 했던 봉준호 감독의 그림 실력은 영화 스토리보드에 고스란히 드러나 있다. 배우의 표정과 감정, 분위기를 생동감 있게 표현해 영화의 해당 장면이 곧바로 생생하게 떠오르며, 공간 배치도와 동선을 보면 얼마나 치밀하게 촬영을 준비했는지 짐작할 수 있다. 정적인 장면은 섬세하고 부드러운 톤으로, 격한 감정과 동작이 등장하는 장면은 거친 터치로 그려, 보는 사람의 감정까지 움직이게 한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봉준호(지은이)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재학 시절 연출한 단편 〈백색인〉으로 영화계에 데뷔했다. 영화감독이 되기 위해 한국영화아카데미 11기로 입학하여 졸업 작품 〈지리멸렬〉을 발표했다. 장편 데뷔작 〈플란다스의 개〉를 시작으로 〈살인의 추억〉, 〈괴물〉, 〈마더〉, 〈설국열차〉 등을 연출했다. 〈옥자〉는 여섯 번째 단독 장편 연출작으로 제70회 칸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 초청, 제90회 아카데미상 시각효과 부문 1차 후보 선정, 제17회 디렉터스컷 어워즈 올해의 감독상 수상, 제37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국제비평가연맹 한국본부상 수상 등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2020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기생충>으로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국제장편영화상을 수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