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해설편
제Ⅰ편 지역산업연관표의 의의와 체제
제1장 지역산업연관표의 의의 = 3
제2장 지역산업연관표의 체제 = 4
제1절 지역산업연관표의 기본구조 = 4
제2절 지역산업연관표의 종류 = 7
제3절 지역산업연관분석에 이용되는 각종 계수 = 12
제Ⅱ편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 작성개요
제1장 작성경위와 작성과정 = 23
제1절 작성경위 = 23
제2절 작성과정 = 23
제2장 표의 형식 및 작성원칙 = 27
제1절 표의 형식 = 27
제2절 지역의 구분 및 부문분류 = 27
제3절 작성원칙 = 28
제Ⅲ편 부문별 추계방법
제1장 산출액 = 35
제1절 농림어업 = 35
제2절 광업 = 35
제3절 제조업 = 35
제4절 전력, 가스 및 수도 = 36
제5절 건설업 = 37
제6절 서비스업 = 37
제7절 가설부문 = 38
제2장 최종수요 = 39
제1절 소비 및 투자 = 39
제2절 수출입 = 40
제3장 지역간 이출입
제1절 권역별 이입거래표 작성 = 41
제2절 시도별 이입거래표 작성 = 41
제4장 기타 = 42
제1절 특수 부문 처리방법 = 42
제2절 고용표 = 42
제Ⅳ편 2005년 지역산업연관표로 본 지역별 경제구조와 지역간 산업연관관계
제1장 지역별 경제구조 = 47
제1절 공급 및 수요구조 = 47
제2절 산업구조와 고용구조 = 49
제3절 부가가치구조 = 56
제4절 최종수요구조 = 57
제2장 지역간 교역구조 = 58
제1절 지역간 이출구조 = 58
제2절 지역간 이입구조 = 60
제3장 지역간 산업연관효과 = 62
제1절 지역별 최종수요와 유발효과 = 62
제2절 지역간 전후방 연관성 = 72
통계편
1. 생산자가격 평가표 = 78
2. 유발계수표 = 416
2-1. 생산유발계수표 = 416
2-2. 수입 및 부가가치유발계수표 = 464
2-3. 취업유발계수표 = 512
3. 최종수요 항목별 유발계수편 = 562
3-1. 생산유발계수표 = 562
3-2. 부가가치유발계수표 = 570
3-3. 취업유발계수표 = 578
〈참고〉부문분류표 = 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