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학습사회를 위한)평생교육론 3판

(학습사회를 위한)평생교육론 3판 (Loan 89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한숭희 , 1961-
Title Statement
(학습사회를 위한)평생교육론 = Lifelong education / 한숭희 저.
판사항
3판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9.  
Physical Medium
454 p. : 삽도 ; 25 cm.
ISBN
978896330226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31-449)및 색인수록
000 00654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68808
005 20100805042647
007 ta
008 091111s2009 ulka b 001c kor
020 ▼a 9788963302263 ▼g 93370: ▼c \20,000
035 ▼a (KERIS)BIB000011843990
040 ▼a 211032 ▼d 211009 ▼d 244002
082 0 4 ▼a 374 ▼2 22
090 ▼a 374 ▼b 2009z5
100 1 ▼a 한숭희 , ▼d 1961- ▼0 AUTH(211009)64990
245 2 0 ▼a (학습사회를 위한)평생교육론 = ▼x Lifelong education / ▼d 한숭희 저.
250 ▼a 3판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9.
300 ▼a 454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p. 431-449)및 색인수록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6203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4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775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620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775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512855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62032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2-04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775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6203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115775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74 2009z5 Accession No. 15128557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2004년 처음 출간된 『평생교육론: 평생학습사회의 교육학』을 개정증보한 것으로, 내용은 크게 3부로 나뉘어 있다. 제1부에서는 평생교육에 관련된 담론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가에 관한 상념과 고민을 담았다. 학문적이라기보다는 담론적인 차원에서 평생교육을 어떻게 볼 것인가에 관한 대화 과정이다. 제2부에서는 학습사회를 기반으로 재구성되어 가는 교육제도와 실천 장면의 특징과 조건에 대해 검토하며, 특히 그러한 조건 위에 새로운 종류의 교육제도와 시스템을 어떻게 설계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그동안 사회교육 영역에서 성취되어 온 평생교육 성과의 의미에 대한 검토 역시 이 부분에서 이루어진다. 제3부에서 필자는 평생교육론이 하나의 학문적 토대와 지위를 가지고 전개되기 위해 필요한 학문적 인식론, 연구방법론적 조건, 쟁점과 과제 등에 대해 탐색한다. 학문은 그 나름의 관점과 접근법을 가지고 있으며, 평생교육 현상을 탐색하는 데에도 우선적으로 그러한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한다.

2005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기초학문 분야 우수학술도서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한숭희(지은이)

교육학자이다. 서울대학교에서 학사와 석사과정을 마쳤고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사회교육이 평생학습으로 형태를 바꾸던 1990년대 중반 한국으로 돌아와 평생교육론의 이론구축에 기여하였다. 유럽 및 북미의 성인교육학자들과 폭넓은 교류를 나누어왔고, 최근에는 영국에서 발행되는 두 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봉사하고 있다. 10여 년 전부터 유럽의 여러 대학의 객원교수와 방문교수를 역임했고, 최근에는 동아시아 사회교육을 공부하고 있다. 학교체계의 역사적 형성과정의 확장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평생교육체계의 형성사에 주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드러나는 교육의 제도화 혹은 체계화 양상을 연구하고 있다. 교육학에 있어서 일반이론(general theory) 형성이 가능하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평생교육학 이론연구가 향후 학습시대의 교육학 일반이론 구축에 기여할 수 있는 한 가지 성공적 사례가 되기를 희망한다. 1997년부터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3판 머리말 = 3
제1부 평생학습과 평생교육
 제1장 평생교육론의 기원과 전개 = 17
  1. 평생교육론의 탄생 = 18
  2. 평생교육론 진화과정 = 22
  3. 평생교육론의 전면적 등장: 유네스코의 역할 = 27
  4. OECD와 신자유주의 평생학습의 등장 = 35
  5. 국제민간성인교육기구의 역할 = 39
  6. 평생학습: 기회인가 위기인가 = 41
 제2장 평생교육의 특성과 개념 = 45
  1. 학습과 교육 재음미 = 45
  2. 평생교육의 특성 = 52
  3. 평생교육: 학술적 정의 = 59
  4. 평생학습, 평생학습자: 글로벌 정의 = 66
  5. 평생교육, 평생교육기관, 평생교육사: 한국의 특수성 = 72
 제3장 평생학습: 학습의 생명력 = 79
  1. 생명과정으로서의 학습 = 79
  2. 지적 호흡으로서의 학습 = 84
  3. 학습, 사회화 그리고 자기해방 = 93
  4. 평생학습과 경험의 변화 = 96
 제4장 평생학습사회: 토대의 재구성 = 101
  1. 평생학습사회: 교육의 새로운 시공간 = 101
  2. 평생학습사회의 이해 기반 = 102
  3. 평생학습사회의 형성 방식 = 106
  4. 생태계적 시각에서 본 평생학습사회 = 112
  5. 학습사회 내에서의 교육의 역할 = 124
제2부 평생학습사회와 미래형 교육체제 설계
 제5장 평생학습체제 구상: 이론적 조망 = 135
  1. 학교 개념의 변화 = 135
  2. 평생교육 실현을 위한 교육체제: 이론의 전개 = 140
  3. 평생교육체제의 요소 = 155
 제6장 학습사회의 미래학교 설계: 시뮬레이션 = 163
  1. 개념적 전제 = 164
  2. 평생학습사회와 미래학교 프로젝트 = 176
  3. 미래학제와 학습 결과 인정을 위한 필수 조건 = 183
  4. 우리나라에서의 평생교육과 시스템 구축 = 193
 제7장 사회교육 장면에서의 평생교육체제: 법과 제도의 변화 = 211
  1. 사회교육정책의 역사 = 212
  2. 법적 구조:「헌법」-「교육기본법」-「평생교육법」 = 216
  3.「평생교육법」의 내용과 핵심 = 220
  4.「평생교육법」에 의거한 교육사업 및 프로그램 = 230
  5. 새로운 학습인증 시스템: 평생학습 결과 인정 = 235
 제8장 평생학습도시와 평생학습중심대학 = 245
  1. 평생학습도시: 학습을 통한 시민 만들기 = 246
  2. 학습사회에서의 대학의 역할과 구조 = 265
 제9장 평생교육의 국제비교: 신자유주의 대 복지주의 = 285
  1. 평생학습체제의 국제 동향을 보는 시각 = 285
  2. 신자유주의 영미권의 성인교육정책 = 287
  3. 복지주의 북유럽 평생학습체제: 스웨덴, 덴마크, 핀란드 = 301
  4. 최근 유럽연합의 평생학습 동향 = 312
  5.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생교육제도 분석 = 320
제3부 평생교육연구 : 학문적 관점과 이론화
 제10장 평생교육론의 세 가지 파동 = 335
  1. 현상에 선행하는 개념 = 335
  2. 평생교육론의 연구 문제와 방법론 = 337
  3. 평생교육이 교육학 연구에 끼친 세 가지 파동 = 341
  4. 평생교육에 기초한 교육학 연구 = 349
 제11장 한국평생교육의 실천과 역사적 흐름 = 353
  1. 평생교육의 실천적 전개 = 353
  2. 한국 평생교육 이론의 형성과 전개 = 369
  3. 학문공동체의 성립 = 375
 제12장 사회교육에서 평생교육으로 = 381
  1. 사회교육의 유산과 평생교육의 출발 = 381
  2. 사회교육과 평생교육의 차별성 = 383
  3. '영역'에서 '관점'으로 = 387
  4. 씨줄과 날줄로 다시 판을 짜기 = 392
  5. 평생학습을 향한 사회교육 영역의 재의미화 = 398
 제13장 평생교육 연구를 위한 교육본질의 재인식 = 399
  1. 평생교육: 학교교육의 고정관념을 넘어서 = 399
  2. 평생학습과 교육의 조건 = 403
  3. 교육을 통한 개인과 사회의 공진화 = 416
  4. 직업능력개발 및 인적자원개발과의 차별성 = 425
참고문헌 = 431
찾아보기 = 45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김미자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