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78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568570 | |
005 | 20100805042417 | |
007 | ta | |
008 | 100104s2009 ulka b 001a korOE | |
020 | ▼a 9788956388823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700.9519 ▼2 22 |
085 | ▼a 700.953 ▼2 DDCK | |
090 | ▼a 700.953 ▼b 2000 ▼c 119 | |
245 | 0 0 | ▼a 중요무형문화재 . ▼n 제119호 , ▼p 금박장 / ▼d 글: 심연옥 , ▼e 이채원 ; ▼e 사진: 서헌강 ; ▼e 국립문화재연구소. |
260 | ▼a 서울 : ▼b 민속원 , ▼c 2009. | |
300 | ▼a 158 p. : ▼b 색채삽도 ; ▼c 22 cm. | |
490 | 0 0 | ▼a 중요무형문화재 시리즈 |
504 | ▼a 참고문헌: p. 157 | |
700 | 1 | ▼a 심연옥 ▼0 AUTH(211009)79326 |
700 | 1 | ▼a 이채원 ▼0 AUTH(211009)68589 |
700 | 1 | ▼a 서헌강 , ▼e 사진 ▼0 AUTH(211009)114474 |
710 | ▼a 한국 . ▼b 문화재청 . ▼b 국립문화재연구소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Donation Books Coner/ | Call Number 700.953 2000 119 | Accession No. 11156121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국립문화재연구소(지은이)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전통문화의 계승 및 창달을 목표로 문화재에 대한 조사, 연구 및 보존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특히 고고학, 미술사학, 건축사학, 민속학, 보존과학 등 문화재 관련 분야가 상호 협력하여 종합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연구기관으로 자리 잡으면서 문화재 분야에서 적지 않은 성과들을 거두어왔다. 21세기를 맞이하여 문화재 조사 연구와 보존 분야의 첨단화·과학화를 달성하기 위해 새로운 조사 연구 기법 개발 및 첨단시설 확보 등을 위해 힘쓰고 있으며, 활발한 국제 교류를 통해 한국 문화의 우수성과 그 위상을 높이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한국전통문양원형기록화’ 사업의 추진과 도록 제작 진행을 주도한 미술문화재연구실은 국내외에 있는 전통 미술품에 대한 조사연구를 하고 있으며, 전통문화의 보존 및 계승, 한국미술사 정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일을 하고 있다. 회화.조각.공예 등의 미술공예조사.역사문헌조사.북한문화재조사.국외소재문화재조사 등의 조사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공룡 화석>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금박용어와 공예 = 10 Ⅱ. 금박장과 도다익장 1. 금박장, 니금장 = 17 2. 도다익장, 부금장 = 18 Ⅲ. 부금(付金)의 역사 1. 삼국시대 = 24 2. 고려시대 = 25 3. 조선시대 = 28 Ⅳ. 금박유물과 쓰임새 1. 고려시대 = 37 2. 조선시대 = 39 Ⅴ. 금박문양 1. 고려시대 = 56 2. 조선시대 = 60 Ⅵ. 금박의 실제 1. 금박 만들기 = 68 2. 금 올리기[付金] = 81 Ⅶ. 금박장 전승현황 = 142 미주 = 156 참고 문헌 = 157 영문요약 = 1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