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49namcc2200229 c 4500 | |
001 | 000045568274 | |
005 | 20110303102821 | |
007 | ta | |
008 | 091230s2009 ulka 000c kor | |
020 | ▼a 9788984313651 ▼g 03804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 |
082 | 0 4 | ▼a 339.47 ▼a 334.5 ▼2 22 |
085 | ▼a 339.47 ▼2 DDCK | |
090 | ▼a 339.47 ▼b 2009z1 | |
245 | 0 0 | ▼a 세상을 바꾸는 소비자의 힘 : ▼b 2009 윤리적 소비 체험수기 공모전 수상집 / ▼d icoop생활협동조합연구소 , ▼e 한겨레경제연구소 엮음 |
260 | ▼a 서울 : ▼b 한겨레출판, ▼c 2009 | |
300 | ▼a 205 p. : ▼b 삽화 ; ▼c 21 cm | |
710 | ▼a 아이쿱생활협동조합연구소, ▼e 편 | |
710 | ▼a 한겨레경제연구소, ▼e 편 ▼0 AUTH(211009)137342 | |
910 | 0 | ▼a icoop생활협동조합연구소, ▼e 편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39.47 2009z1 | 등록번호 1115699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47 2009z1 | 등록번호 1115612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9.47 2009z1 | 등록번호 1512851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교육보존20 | 청구기호 339.47 2009z1 | 등록번호 1115699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39.47 2009z1 | 등록번호 1115612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 청구기호 339.47 2009z1 | 등록번호 15128516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착한 소비를 하니 행복해졌다!”
위대한 소비를 체험한 평범한 사람들의 진솔한 고백
아이쿱생협과 한겨레경제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한 ‘2008 윤리적 소비 체험수기 공모전’ 수상작들을 한 권의 책으로 묶었다. 고등학생, 주부, 교사, 시민단체 활동가 등 37명의 평범한 소비자들이 자신이 체험한 윤리적 소비를 나누고, 함께 잘 먹고 잘 사는 세상의 가능성을 글 속에 담아냈다. 화려한 문체는 없어도 삶이 녹아 있기에 수상의 고하를 막론하고 감동과 작은 울림이 전해지는 글들이다.
이들이 경험한 윤리적 소비는 다양하다. 공정무역 물품 구입, 공정무역 홍보 동아리 설립, 살림 공동체 생활, 유기농 먹을거리 구입, 공정여행, 장애인·노인 생산품 구입, 생협 물품 구입, 공정무역 상점 자원봉사·방문, 효소 활성액 사용, 해외 지속가능한 기업 탐방, 면생리대 사용, 윤리적 소비 교육, 비목재지 활용 등 자신이 있는 곳에서 윤리적 소비를 실천한 이들의 담담한 고백은 평범하지만 그 울림은 사소하지 않다.
이 책의 2부에서는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윤리적 소비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어떤 이들이 윤리적 소비를 실천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시민사회가 고도화된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이미 윤리적 소비가 대세이고, 생협이 생필품 물류 전반을 장악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윤리적 소비에 대한 국민의식조차 형성되어 있지 않아 교육과 홍보가 절실하다.
돈이 최고의 가치인 지금, 그것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고 말하는 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보자. 함께 잘 살아야 진짜 잘 사는 것이고, 그래야 성장이 지속가능하다는 논리는 선진국의 진입로에 선 우리가 반드시 들어야 할 또 하나의 진실일 것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발간사 / 이정주[아이쿱생협연합회 회장] ; 고광헌[한겨레신문사 대표이사 사장] 나의 소비는 세상을 바꾸는 힘이다 : 2009 윤리적 소비 체험수기 함께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 작은 울림, 소울을 만들면서 : 대상 / 기민형 = 13 길 위에서 길을 찾다 : 은상 / 오세현 = 18 가난뱅이들이 먹고 즐기는 윤리적 축제 : 동상 / 김이경 = 24 교실에서 시작하는 대안적 삶 : 장려상 / 박혜진 = 30 어린 농부의 세상 만나기 : 장려상 / 오동미 = 36 윤리적 소비, 어렵지 않아요 : 장려상 / 유경윤 = 40 빛 밝혀드려요, 살펴가세요 : 장려상 / 서정희 = 44 내가 발견한 어떤 희망 : 장려상 / 이영인 = 48 내가 쓰는 물건이 세상을 바꾼다면 아낌없이 주는 나무 되기 : 금상 / 김민혜 = 53 공정무역, 낯설었던 기억을 넘어 다시 만나다 : 동상 / 유광진 = 58 고등학교 1학년의 뜻 깊은 소풍 : 동상 / 최현정 = 62 리바이스 청바지와 걱정인형 : 장려상 / 이창현 = 66 아주 특별한 세탁비누 : 장려상 / 조이화 = 70 제3의 물결? '착한 제품'의 물결! : 장려상 / 구시영 = 73 EM 활성액이 환경을 지킨다 : 장려상 / 김정옥 = 76 착한 소비를 하니 행복해졌다 아내 따라 생협 간다! : 장려상 / 김동윤 = 81 새빨간 그날과 녹색 생리대 : 장려상 / 신임수진 = 85 우리 가족이 만드는 아름다운 지구 : 장려상 / 김설희 = 89 아토피 치료 일등공신, 친환경제품 : 장려상 / 김현옥 = 94 착한 소비에서 '생명'을 보다 : 장려상 / 이임순 = 97 행복을 일구는 사람들 : 장려상 / 한인숙 = 102 아름다운 가게, 아름다운 소비 : 장려상 / 정채운 = 107 500원의 행복 : 장려상 / 최덕수 = 111 새로운 길은 언제나 있다 서민 부부의 착한 결혼식 : 은상 / 고영준 = 115 나무로 만들지 않은 종이로 세상과 소통하다 : 동상 / 노경아 = 118 착한 장난감으로 크는 우리 아이 : 장려상 / 문희정 = 122 웹으로 구현되는 윤리적 소비 : 장려상 / 문설아 = 124 문래동 공단, 그곳의 커피향이 다른 이유 : 장려상 / 이준수 = 127 대세는 윤리적 소비! : 장려상 / 손지은 = 131 나의 윤리적 소비는 채식으로부터 : 장려상 / 박진영 = 134 다른 나라에서 만난 윤리적 소비 디자인 세와, 세상을 바꾸다 : 장려상 / 이우춘희 = 139 뉴욕에서 마주한 윤리적 소비 : 장려상 / 박준영 = 145 장애인과 봉사자의 천국을 만나다 : 장려상 / 박세아 = 148 인도의 친환경적 공동체, 아바니 : 장려상 / 구자건 = 153 라오스에 진 빚 : 장려상 / 황수영 = 157 잃어버린 별 : 장려상 / 전은진 = 162 구텐탁, 공정무역! : 장려상 / 윤여정 = 169 윤리적 소비, 나도 할 수 있어요 : 2009 한국의 윤리적 소비 연구 윤리적 소비에 대한 이해 = 176 건강에서 환경, 이젠 사회로… 진화하는 '착한 소비' 19세기 영국서 협동조합으로 출발 생각과 행동 사이의 간극은 30:3? 일단 생협으로 와보세요 30년 만에 47만 회원 규모로 성장 소비자가 주인인 공동체 공정무역ㆍ사회적기업 제품도 있어요 지역 경제 주도하는 세계의 생협들 친환경 인증제도와 마크 활용하세요 HACCPㆍGAP 등 안전보증 마크도 있어요 환경마크와 탄소성적 표지제도 눈여겨 보세요 유럽에선 이미 '그린 구매'가 대세 한국 윤리적 소비자의 특징 = 198 진보성향의 '30대 후반 대졸 중산층'이 주축 월소득 300∼400만 원대… 열에 일곱은 종교인 절반이 "가치 있지만 부담스럽다" 신문은 한겨레, 방송은 MBC 선호 "윤리적 소비? 사회ㆍ환경ㆍ건강을 생각하는 거죠" "적극 알리고 다양한 제품 개발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