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언어 혁명 (10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Crystal, David , 1941- 김기영 , 역
서명 / 저자사항
언어 혁명 / 데이비드 크리스털 지음 ; 김기영 옮김.
발행사항
서울 :   울력 ,   2009.  
형태사항
192 p. ; 21 cm.
총서사항
21세기를 위한 주제 = Themes for the 21st century ; 05
원표제
(The)language revolution
ISBN
9788989485766
일반주기
색인수록  
일반주제명
Language and languages. English language --21st century. Language obsolescence. Internet.
000 00897namccc200313 k 4500
001 000045567747
005 20100805041822
007 ta
008 091229s2009 ulk 001a kor
020 ▼a 9788989485766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410 ▼2 22
090 ▼a 410 ▼b 2009z3
100 1 ▼a Crystal, David , ▼d 1941- ▼0 AUTH(211009)98141
245 1 0 ▼a 언어 혁명 / ▼d 데이비드 크리스털 지음 ; ▼e 김기영 옮김.
246 1 9 ▼a (The)language revolution
260 ▼a 서울 : ▼b 울력 , ▼c 2009.
300 ▼a 192 p. ; ▼c 21 cm.
440 0 0 ▼a 21세기를 위한 주제 = ▼x Themes for the 21st century ; ▼v 05
500 ▼a 색인수록
650 0 ▼a Language and languages.
650 0 ▼a English language ▼y 21st century.
650 0 ▼a Language obsolescence.
650 0 ▼a Internet.
700 1 ▼a 김기영 , ▼e▼0 AUTH(211009)138661
900 1 1 ▼a 크리스털, 데이비드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9z3 등록번호 11156066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0 2009z3 등록번호 1115606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20세기 후반에 일어난 언어 세계의 세 가지 변화 조류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분석했다. 저자는 전작인 <왜 영어가 세계어인가>, <언어의 죽음>, <언어와 인터넷>에서 다루었던 언어 세계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이같은 현상을 '혁명'이라 묶어 표현했다. 따라서 이 책은 전작의 세 가지 주제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하는 실천적 물음과 방향을 제기하고 있다.

저자는 세계 공용어로 부상한 영어의 새로운 지위와 그것이 영어 자체에 미칠 극적인 효과에 대해 다룬다. 영어의 부상과 함께 부각되는 소수 언어의 죽음에 대해서도 말하며, 언어의 보존과 소생을 향한 새로운 시작을 전한다. 또한 인터넷 공간이 활성화되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인터넷 공간이 다중 언어 환경으로 바뀌고 있고, 이것이 언어의 다양성을 담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20세기 후반(특히 1990년대)에 언어 세계에 급격한 변화들이 일어났다. 세계적인 언어학자 데이비드 크리스털은 그러한 변화들을 목격하고 세 권의 책을 잇달아 발표하였다. 그것이 바로 <왜 영어가 세계어인가>, <언어의 죽음>, <언어와 인터넷>이다. 하지만 그는 이 세 권의 책을 발표할 당시만 해도 이러한 언어 세계의 변화들이 서로 어떤 관계를 가지며, 또 그것이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인식하지 못 하였다. 그런 그가 비로소 <언어 혁명>에서 이러한 언어 세계의 세 가지 변화 조류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그것의 의미를 ‘혁명’이란 말로 묶어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언어 혁명>은 그의 전작의 세 가지 주제들을 출발점으로 하여 그것들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이러한 변화로 인해 초래된 언어의 죽음이라는 인간 지식 생태계의 위기를 어떻게 극복해 나갈 것인가 하는 실천적 물음을 제기하고, 그 실천 방향을 여러 방향에서 모색하고 있다.

세계 공용어로 부상한 영어의 미래
금세기에 들어 영어는 진정한 의미에서 최초의 세계 공용어로 부상하였다. 물론 이에 대해서는 세계화나 미국의 정치적 패권 등 여러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의 영향은 영어에 거의 모든 에너지를 쏟아 붓고 있는 우리의 현실만 봐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책에서 특히 흥미로운 것은 거의 모든 언어들을 영어 안으로 끌어들이는 영어의 구심력(이것은 영어의 유연성과 긴 생명력의 원천인 셈이다)과 영어를 자신들의 정체성(영어를 제1언어나 제2언어로 사용하는 여러 국가들의 정체성)에 맞게 표현하려는 원심력이 작용하면서 빚어내는 영어의 미래에 대한 전망이다. 영어를 사용하는 인구만으로 보면 미국식 영어나 영국식 영어는 변방의 영어가 될 가능성도 있고, 또 미래는 영어가 아니라 영어들이 되어 그것들로 소통하는 것이 쉽지 않게 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이 책은 세계 공용어로 부상한 영어의 새로운 지위와 그것이 영어 자체에 미칠 극적인 효과에 대해 다루고 있다.

언어의 죽음
영어의 부상과 함께 새롭게 부각되고 있는 것은 바로 소수 언어의 죽음이다. 통계 자료에 의하면, 전 세계 6,000여 개의 언어가 2주에 하나 꼴로 사라져 21세기가 지나기 전에 절반 정도로 줄어들 것이라고 한다. 이 책은 이처럼 생명을 다하거나 사라져가는 수많은 언어들이 직면하고 있는 위기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언어의 보존과 소생을 향한 새로운 시작에 대해 전하고 있다.
그런데 사라져 가는 생물 종이나 환경 파괴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인식하고 또 그것의 보존을 위해 애쓰는 인간들이 인간 문명의 토대이자 지식 생태계의 근원인 언어의 소멸에 대해서는 그 심각성을 인식하지 못 하고 있다. 그리고 언어의 소멸을 막을 수는 없지만, 최소한 그 언어를 문서화만 해도 나중에 그 언어의 부활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관심과 자금의 부족으로 그마저도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지은이는 특히 이 점을 안타깝게 생각하고 있는데, 이러한 심각성을 사람들에게 각성시켜 줄 수 있는 실천 방법들을 방송, 문학, 예술 등에서 다양하게 살펴보고 있다.

인터넷이 담당하는 혁명의 역할
인터넷 기술의 도래가 언어에 미친 급격한 영향에 대해서는 새삼스럽지 않을 것이다. 컴퓨터를 매개로 하는 의사소통은, 글도 아니고 말도 아니지만, 그로부터 파생되는 신조어와 표현의 변화 등, 인간의 언어생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하지만 이 책에서 주의 깊게 바라보는 것은 인터넷의 잠재적 가능성이다. 인터넷은 초기에 영어의 부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인터넷 공간이 다중 언어 환경으로 바뀌고 있고, 그것이 언어의 다양성을 담보하는 토대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소멸해 가는 언어들의 보존 공간으로서의 가능성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인터넷은 언어의 미래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클 뿐만 아니라 언어 혁명을 담보할 매개체로서 기능할 잠재력 또한 갖고 있다는 것이 이 책의 관점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데이비드 크리스털(지은이)

세계적인 명성을 자랑하는 탁월한 언어학자로, 영국 웨일스 대학교 뱅거 캠퍼스의 언어학과 명예교수다. 언어학, 범죄언어학, 언어의 죽음, 놀이언어학, 영어교육학, 셰익스피어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한 책을 100여 권 펴냈으며, 칼럼니스트로도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인 책으로 『케임브리지 언어백과사전』, 『케임브리지 영어백과사전』, 『왜 영어가 세계어인가』, 『언어의 죽음』, 『언어 혁명』, 『문자메시지는 언어의 재앙일까? 진화일까?』, 『힘 있는 말하기』 등이 있다.

김기영(옮긴이)

부산대학교 독어독문학과, 이화여자대학교 통번역대학원 한영과를 졸업했다. KBS1 라디오 외신 캐스터로 활동했으며, 중앙대학교 번역대학원 강사,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bk21 영상번역사업단 계약교수를 역임한 바 있다. 2016년 현재는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전임대우강사이다. 옮긴 책으로 &lt;낯선 밤의 그림자&gt; &lt;난쟁이&gt;&lt;비버족의 표식&gt; &lt;사랑&gt; &lt;남자의 아름다운 폐경기&gt; 등 다수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감사의 말 = 7
서론 : 새로운 언어 세계 = 9
1. 영어의 미래 = 17
 현재 = 18
 과거 = 22
 미래 = 35
2. 언어의 미래 = 61
 소멸 위기에 처한 언어들 = 67
 21세기의 도전: 문서화와 언어 소생 = 79
3. 인터넷의 역할 = 89
 말과는 다른 = 95
 글과는 다른 = 104
 언어 내부에서 새로운 매체의 귀결점 = 110
 새로운 매체가 가져온 결과: 모든 언어에 대해 = 117
4. 혁명 이후 = 125
 언어의 죽음과 예술 = 140
5. 21세기의 언어적 주제들 = 165
옮긴이의 글 = 177
주 = 181
찾아보기 = 185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