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평생교육의 성립과 특성
1. 평생교육이란 무엇인가? = 9
2. 평생교육의 발전과정 = 10
3. 평생교육의 특성 = 10
제2장 평생교육의 철학적 기초
1. 평생교육과 삶의 질 향상 = 13
2. 평생교육과 민주주의 이념 = 14
3. 평생교육과 복지사회의 이념 = 15
4. 평생교육과 학습사회 건설의 이념 = 15
5. 사회개조주의와 학습사회 건설 = 16
6. 평생교육과 민중교육론 = 17
제3장 평생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1. 평생학습의 의미 = 20
2. 성인학습자의 특성 = 22
3. 성인학습능력과 관련변인 = 28
4. 성인학습의 원리 = 29
5. 평생교육과 발달과업 = 31
제4장 평생교육의 사회ㆍ인류학적 기초
1. 과학기술의 진보와 산업직업구조의 변화 = 34
2. 생애주기의 변화와 여가의 증대 = 36
3. 사회구조의 변화와 그 대응 = 38
4. 이데올로기의 위기와 정체성의 혼란 = 42
5. 고학력화 추세의 진전과 평등 교육관의 확산 = 43
6. 평생교육과 교육기회 평등에 관한 사회학적 고찰 = 44
제5장 평생교육의 과정
1. 평생교육계획 = 48
2. 평생교육의 목표 = 51
3. 평생교육과정의 성격 = 55
제6장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1.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개념 = 59
2. 평생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 60
3. 프로그램의 전개 및 운영 = 63
제7장 평생교육과 가정교육
1. 평생교육 기본의 장으로서 가정교육 = 68
2. 가정교육의 중요성 = 70
3. 가정교육의 내용 = 72
4. 평생교육으로서 가정교육의 방향 = 74
제8장 평생교육과 학교교육
1. 평생교육과 학교교육의 관계 구조 = 77
2. 평생교육체제하에서의 학교교육의 성격 = 78
3. 현행 학교교육의 문제점 = 84
4. 평생교육을 위한 학교교육의 발전방향 = 88
제9장 평생교육과 청소년교육
1. 평생교육 대상으로서 청소년 = 91
2. 사회환경과 청소년 = 93
3. 평생교육적 차원에서의 청소년교육 = 97
4. 평생교육을 지향하는 가정-학교-사회교육의 통합 = 99
제10장 평생교육과 직업교육
1. 미래 산업사회 대응을 위한 평생교육 = 107
2. 산업의 고도화 전문화에 대응하는 성인직업교육 = 109
3. 산업 고도화의 역기능에 대응하는 평생교육 = 113
4. 직업교육으로서의 노동교육 = 116
제11장 평생교육과 여성교육
1. 교육에서의 성차별 = 122
2. 현대사회 여성교육의 문제점 = 126
3. 평생교육으로서 여성교육의 현황과 문제 = 128
4. 여성의 능력개발의 위한 평생교육 = 130
5. 여성교육의 발전방향 = 138
제12장 지역사회개발과 주민교육
1. 지역사회개발의 이해 = 143
2. 지역사회개발의 사회교육적 접근 = 151
3.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사회교육의 기능 = 155
4. 지역사회개발에 있어서의 사회교육의 역할 = 161
5. 맺는 말 =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