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제1장 최고감사기구의 의미, 역할 및 유형
제1절 최고감사기구의 의미 = 17
제2절 최고감사기구의 역할 = 18
1. 감사의 본질과 공공책임성(accountability) = 18
2. 공공부문 감사기능의 역사적 변천 = 20
3. 현대적 최고감사기구의 역할 = 22
4.현대적 최고감사기구 역할의 발전모델 = 24
제3절 최고감사기구의 유형 = 26
제4절 최고감사기구의 당면과제 = 28
1. 독립성 유지 = 28
2. 감사보고서의 품질 확보 = 29
3. 감사의 효과성 제고 = 29
4. 감사의 전문성 제고 = 29
제2장 대한민국 감사원
제1절 대한민국 감사원의 연혁과 지위 = 35
1. 공공부문에 대한 감사체계 = 35
2. 감사원의 역사적 전개과정 = 36
3. 감사원의 법적지위 = 38
제2절 감사원의 주요 기능과 조직체계 = 42
1. 감사원의 주요 기능 = 42
2. 감사결과의 처리제도 = 49
3. 감사원의 조직구조 = 52
4. 자체감사기구와의 관계 = 54
제3절 감사원의 인사관리 = 57
1. 감사요원의 충원 = 58
2. 감사요원의 전문성개발 프로그램 = 59
제4절 감사원의 현대적 역할과 당면과제 = 61
제3장 일본 감사원
제1절 서론 = 71
1. 일본의 개요 = 71
2. 일본의 정치ㆍ행정 = 72
3. 일본의 지방자치 = 73
제2절 회계검사원의 역사와 지위 = 74
1. 역사 = 74
2. 지위 = 75
제3절 회계검사원의 조직 = 76
1. 검사관회의 및 사무총국 = 76
2. 사무총국의 내부조직 = 78
제4절 검사의 목적과 대상 = 81
1. 검사의 목적 = 81
2. 검사의 대상 = 82
제5절 회계검사의 동향과 변천 = 83
1. 검사영역의 확대 = 83
2. 검사의 관점의 다각화: 3E 검사 = 85
제6절 수시보고, 국회 요청사항의 보고 = 86
1. 2008년의 수시보고 = 87
2. 국회 요청사항의 보고 = 88
제7절 특징과 시사점 = 89
제4장 중국 감사원
제1절 중국 감사기구의 연역과 지위 = 93
1. 중국의 기초적인 감사환경 = 93
2. 중구 감사기구의 역사적 전개과정 = 98
3. 감사원의 법적근거 = 99
제2절 감사원의 조직체계 = 102
1. 감찰부의 주요 임무와 역할 = 102
2. 심계서의 주요 임무와 역할 = 104
3. 조직구조 = 105
제3절 감사원의 인사관리 = 107
1. 감사요원의 충원방식 = 107
2. 기타 인사정책 = 107
제4절 감사원의 주요활동 = 112
1. 감사의 종류 = 112
2. 감사활동의 주요 변화 = 116
제5장 인도네시아 감사원
제1절 인도네시아의 개관과 정치체계 = 121
1. 국가 개관 = 121
2. 국가 권력구조 = 125
제2절 회계감사원의 연역과 지위 = 134
1. 연역 = 134
2. 법적 기초 = 138
3. 법적 지위 = 142
제3절 감사원의 조직과 인력ㆍ예산관리 = 145
1. 원장ㆍ부원장ㆍ감사위원 = 145
2. 조직구조 = 152
3. 인력관리 = 158
4. 예산ㆍ결산 = 159
제4절 회계감사원의 임무와 기능 = 161
1. 주요 임무와기능 = 161
2. 감사활동 = 168
3. 감사결과의 보고 및 공개 = 175
4. 감사결과에 대한 조치 = 177
제5절 최근의 변화추이 등 = 177
1. 최근의 발전 추진상황 = 177
2. 맺는 말 = 184
제6장 호주 감사원
제1절 감사원의 연역과 지위 = 191
1. 호주 감사원의 환경과 역사 = 191
2. 호주 감사원의 법적 근거 = 192
제2절 감사원의 조직체계 = 193
1. 호주 감사원의 임무와 역할 = 193
2. 조직구조 = 194
3. 감사기구와의 관계 = 195
4. 의회와의 관계 = 196
제3절 감사원의 인사관리 = 197
1. 감사요원의 충원과 교육 = 197
2. 성과달성을 위한 호주 감사원의 인사정책 = 198
제4절 감사원의 주요활동 = 200
1. 감사의 종류 = 200
2. 감사원 성과증진을 위한 개혁: 전략계획구조(Strategic Planning Framework) = 208
제7장 필리핀 감사원
제1절 필리핀 개관 = 215
제2절 필리핀 감사원 = 216
1. 감사원이 추구하는 목적 = 217
2. COA의 주요 임무 = 217
3. COA의 권한 = 218
4. COA의 조직 = 219
5. COA의 부서별 기능 = 221
제3절 정부 부처 감사기구의 충원 및 예산 = 229
1. 정부 부처 감사기구의 충원 = 229
2. COA 대표로서의 감사관의 권한과 기능 = 229
3. 정부 부처 감사요원의 보수 = 230
제4절 최근 업적 = 230
제5절 성과감사의 수행 여부 = 232
제8장 미국 감사원(GAO)
제1절 GAO의 연역과 전개과정 = 237
1. GAO의 연역 = 237
2. GAO의 전개과정 = 238
제2절 GAO의 조직구조와 자원 = 245
1. GAO의 조직구조 = 245
2. GAO의 자원 = 248
제3절 GAO의 역할과 감사방향 = 253
1. GAO의 주요 임무와 역할 = 253
2. GAO의 감사방향 = 257
제9장 캐나다 감사원(OAG)
제1절 캐나다 감사원의 연혁과 지위 = 265
1. 캐나다의 기초적인 감사환경 = 265
2. 캐나다 감사원의 역사적 전개과정 = 267
3. 캐나다 감사원의 법적 근거 = 268
4. 캐나다 감사원의 지위 = 269
제2절 캐나다 감사원의 조직체계 = 271
1. 감사원의 주요 임무와 역할 = 271
2. 감사원의 조직구조 = 274
3. 자체감사기구와의 관계 = 279
제3절 감사원의 인사관리 = 281
1. 감사요원의 충원 = 281
2. 외부 전문가의 활용 = 282
3. 기타 인사정책 = 282
제4절 캐나다 감사원의 주요활동 = 284
1. 감사의 종류 = 284
2. 감사보고서의 활용 = 287
3. 최근의 주요변화 = 288
제10장 영국 감사원(NAO)
제1절 영국 감사원의 연역과 지위 = 295
1. 영국의 기초적인 감사환경 = 295
2. 영국 감사원의 역사적 전개과정 = 296
3. 영국 감사원의 법적 근거 = 299
4. 영국 감사원의 지위 = 300
제2절 영국감사원의 조직체계 = 302
1. 영국감사원의 주요 임무와 역할 = 302
2. 조직구조(organizational chart) = 305
3. 다른 감사기구와의 관계 = 306
제3절 영국감사원의 인사관리 = 311
1. 감사요원의 충원방식 = 311
2. 기타 인사정책 = 314
제4절 영국감사원의 주요 활동 = 320
1. 감사의 종류 = 320
2. 감사보고서의 활용 = 324
3. 감사활동의 변천과정 = 325
4. 최근의 주요 변화 = 327
제5절 영국감사원에 대한 비판
1. 책임성 부족 = 329
2. 감사보고서상의 문제점 = 329
3. 예산절감액 산정의 문제점 = 331
제11장 독일 감사원
제1절 감사원의 연역과 지위 = 343
1. 감사환경: 법적 기초 및 정치ㆍ행정체제의 특징 = 343
2. 감사제도의 역사적 전개 = 347
3. 연방회계감사원(Bundesrechnungshof)의 법적 근거와 지위 = 349
제2절 연방회계감사원의 조직체계 = 351
1. 감사원의 주요 임무와 역할 = 351
2. 조직구조 = 352
3. 연방회계감사원의 감사위언 = 354
4. 연방회계감사원의 의사결정방식 = 356
제3절 연방회계감사원의 인사관리 = 357
1. 인력의 충원방식 = 357
2. 감사위원의 제척 = 359
3. 감사위원에 대한 징계 = 360
제4절 감사원의 주요 활동 = 360
1. 감사의 종류와 준비과정 = 360
2. 감사과정 = 361
제5절 주(州)의 감사제도 = 364
제12장 프랑스 감사원
제1절 감사원의 연역과 지위 = 369
제2절 감사원의 조직체계 = 370
1. 감사원의 주요 임무와 역할 = 370
2. 조직구조와 구성원 = 372
제3절 감사원의 인사관리 = 376
1. 감사원의 인력현황 = 376
2. 우수인력확보 = 377
3. 전문성 확보 = 378
4. 신분보장 = 379
제4절 감사원의 주요활동 = 380
1. 감사실시 = 380
2. 합의제(회의ㆍ토론) 방식의 의사결정 = 381
3. 처분요구의 종류 = 382
제5절 지방감사원 = 386
1. 지방감사원의 현황 = 386
2. 지방감사원의 권한 = 387
3. 지방감사원의 활동 = 388
4. 감사원과 지방감사원의 관계 = 390
제13장 스페인 감사원
제1절 서론 = 395
제2절 스페인 정치경제적 환경 = 396
1. 정치체제 = 396
2. 입법부와 내각 = 396
3. 지방자치체제 = 397
제3절 스페인 감사원의 연역과 위상 = 398
1. 설립목적 = 398
2. 연혁 = 398
3. 스페인 감사원의 위상 = 399
제4절 스페인 감사원의 조직, 인력 및 예산 = 401
1. 조직 = 401
2. 권한 = 403
3. 스페인 감사원의 인력과 예산 = 405
제5절 스페인 감사원의 활동 = 406
1. 개요 = 406
2. 회계감사활동(Actividad Fiscalizadora) = 406
3. 회계심판활동(Actividad Jurisdiccional) = 408
4. 성과감사 = 409
제6절 스페인 감사원 운영의 특징 및 시사점 = 409
제14장 스웨덴 감사원
제1절 서론 = 415
제2절 스웨덴의 정치ㆍ경제 및 사회 환경 = 416
1. 정치 환경 = 416
2. 경제 환경 = 417
3. 사회 환경 = 418
제3절 스웨덴의 정치 및 정부체제 = 420
1. 정치체제 = 421
2. 정부체제 = 421
제4절 스웨덴 감사원의 연혁과 조직ㆍ임무 = 423
1. 연혁 = 423
2. 조직 및 임무 = 425
제5절 스웨덴 감사원의 감사실제 = 429
1. 감사일반 개요 = 429
2. 감사관련 법의 주요 내용 = 430
제6절 결론 = 433
제15장 각 국가 최고감사기구의 시사점 = 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