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11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566944 | |
005 | 20121222180657 | |
007 | ta | |
008 | 091208s2009 ulka 001c kor | |
020 | ▼a 9788996094036 ▼g 93000 | |
035 | ▼a (KERIS)BIB000011865255 | |
040 | ▼a 241026 ▼c 241026 ▼d 211009 | |
082 | 0 4 | ▼a 004.62 ▼2 22 |
085 | ▼a 004.62 ▼2 DDCK | |
090 | ▼a 004.62 ▼b 2009z4 | |
100 | 1 | ▼a 윤성우 |
245 | 2 0 | ▼a (윤성우의) 열혈 TCP/IP 소켓 프로그래밍 / ▼d 윤성우 저 |
246 | 1 | ▼i 판권기표제: ▼a TCP/IP 소켓 프로그래밍 |
250 | ▼a 개정판 | |
260 | ▼a 서울 : ▼b 오렌지미디어, ▼c 2009 | |
300 | ▼a 551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색인수록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2 2009z4 | Accession No. 1211880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004.62 2009z4 | Accession No. 1512840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004.62 2009z4 | Accession No. 12118809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cience & Technology/ | Call Number 004.62 2009z4 | Accession No. 1512840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눅스와 윈도우 기반에서의 소켓 프로그래밍을 함께 설명하며, 초보자에게 적절한 설명과 예제를 통해서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한 재미를 안겨주고자 한 책이다. 2003년도에 출간된 <열혈강의 TCP/IP 소켓 프로그래밍>의 개정판.
초판과 마찬가지로 리눅스와 윈도우 기반에서의 소켓 프로그래밍을 함께 설명하며, 초보자에게 적절한 설명과 예제를 통해서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한 재미를 더하고 있다.
우선 초판과 달라진 점은 설명의 포인트와 분량이다. 간단히 설명해도 되는 내용은 보다 간단하고 명료하게 설명하였으며, 자세한 설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설명의 분량을 늘려가면서까지 확실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게 epoll에 대한 내용이 하나의 Chapter로 추가되었다. 특히 윈도우 영역의 Overlapped IO와 IOCP에 대한 설명방식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윤성우의 열혈 TCP/IP 소켓 프로그래밍』는 윤성우가 저술한 것이다. 눅스와 윈도우 기반에서의 소켓 프로그래밍을 함께 설명하며, 초보자에게 적절한 설명과 예제를 통해서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한 재미를 안겨주고 있다.
본 도서는 2003년도에 출간된 윤성우 저자의 「열혈강의 TCP/IP 소켓 프로그래밍」의 개정판이다. 초판과 마찬가지로 리눅스와 윈도우 기반에서의 소켓 프로그래밍을 함께 설명하며, 초보자에게 적절한 설명과 예제를 통해서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한 재미를 더하고 있다.
우선 초판과 달라진 점은 설명의 포인트와 분량이다. 간단히 설명해도 되는 내용은 보다 간단하고 명료하게 설명하였으며, 자세한 설명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설명의 분량을 늘려가면서까지 확실한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시대의 흐름에 맞게 epoll에 대한 내용이 하나의 Chapter로 추가되었다. 특히 윈도우 영역의 Overlapped IO와 IOCP에 대한 설명방식에는 큰 변화가 있었다.
이전 윤성우 저자의 「열혈강의 TCP/IP 소켓 프로그래밍」에서는 초보집필자의 풋풋함이 묻어있었다면, 이번에 출간된 책에서는 그간 다듬어진 숙련된 집필능력을 바탕으로 세련미가 더하여졌다. 따라서 이전 명성 그대로, 많은 분들에게 소켓 프로그래밍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춰주는 역할을 계속하리라 믿는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윤성우(지은이)
프로그래밍을 공부한다면 모르는 사람이 없을 것 같은 베스트셀러 저자이다. 여전히 쉽게 설명하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있으며 그 고민 결과를 바탕으로 책을 집필하고 있다.프로그래머라는 직업에 충실하기 위해 적지 않은 기간 동안 집필 활동이 없었지만 그간 축적된 에너지를 바탕으로 다수의 책을 쓸 계획을 가지고 집필에 임하고 있다. 벤처회사에서 개발자로 일하던 저자는 IT분야의 집필과 강의로 처음 이름이 알려졌으며, 2004년부터 지금까지 OpenGL-ES 그래픽스 라이브러리의 구현과 3D 가속 칩의 개발 및 크로노스 그룹(모바일 국제 표준화 컨소시엄)의 표준안에 관련된 일에 참여하였다. 또한 핸드폰용 DMB 칩의 개발에도 참여하였으며, 현재는 ㈜액시스소프트의 CTO로 있으면서 웹 기반 솔루션 개발에 관심을 갖고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Part 01 네트워크 프로그래밍의 시작 = 15 Chapter 01 네트워크 프로그래밍과 소켓의 이해 = 17 01-1 네트워크 프로그래밍과 소켓의 이해 = 18 01-2 리눅스 기반 파일 조작하기 = 26 01-3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35 01-4 윈도우 기반의 소켓관련 함수와 예제 = 38 내용확인 문제 = 47 Chapter 02 소켓의 타입과 프로토콜의 설정 = 49 02-1 소켓의 프로토콜과 그에 따른 데이터 전송 특성 = 50 02-2 윈도우 기반에서 이해 및 확인하기 = 58 내용확인 문제 = 62 Chapter 03 주소체계와 데이터 정렬 = 63 03-1 소켓에 할당되는 IP주소와 PORT번호 = 64 03-2 주소정보의 표현 = 68 03-3 네트워크 바이트 순서와 인터넷 주소 변환 = 71 03-4 인터넷 주소의 초기화와 할당 = 76 03-5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84 내용확인 문제 = 91 Chapter 04 TCP 기반 서버/클라이언트 1 = 93 04-1 TCP와 UDP에 대한 이해 = 94 04-2 TCP기반 서버, 클라이언트 구현 = 99 04-3 Iterative 기반의 서버, 클라이언트 구현 = 109 04-4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115 내용확인 문제 = 121 Chapter 05 TCP 기반 서버/클라이언트 2 = 123 05-1 에코 클라이언트의 완벽 구현! = 124 05-2 TCP의 이론적인 이야기! = 134 05-3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142 내용확인 문제 = 146 Chapter 06 UDP 기반 서버/클라이언트 = 147 06-1 UDP에 대한 이해 = 148 06-2 UDP 기반 서버/클라이언트의 구현 = 150 06-3 UDP의 데이터 송수신 특성과 UDP에서의 connect 함수호출 = 157 06-4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164 내용확인 문제 = 168 Chapter 07 소켓의 우아한 연결종료 = 169 07-1 TCP 기반의 Half-close = 170 07-2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177 내용확인 문제 = 181 Chapter 08 도메인 이름과 인터넷 주소 = 183 08-1 Domain Name System = 184 08-2 IP주소와 도메인 이름 사이의 변환 = 186 08-3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193 내용확인 문제 = 197 Chapter 09 소켓의 다양한 옵션 = 199 09-1 소켓의 옵션과 입출력 버퍼의 크기 = 200 09-2 SO_REUSEADDR = 207 09-3 TCP_NODELAY = 212 09-4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214 내용확인 문제 = 218 Chapter 10 멀티프로세스 기반의 서버구현 = 219 10-1 프로세스의 이해와 활용 = 220 10-2 프로세스 & 좀비(Zombie) 프로세스 = 225 10-3 시그널 핸들링 = 233 10-4 멀티태스킹 기반의 다중접속 서버 = 244 10-5 TCP의 입출력 루틴(Routine) 분할 = 250 내용확인 문제 = 255 Chapter 11 프로세스간 통신(Inner Process Communication) = 257 11-1 프로세스간 통신의 기본 개념 = 258 11-2 프로세스간 통신의 적용 = 264 내용확인 문제 = 270 Chapter 12 IO 멀티플렉싱(Multiplexing) = 271 12-1 IO 멀티플렉싱 기반의 서버 = 272 12-2 select 함수의 이해와 서버의 구현 = 276 12-3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287 내용확인 문제 = 292 Chapter 13 다양한 입출력 함수들 = 293 13-1 send & recv 입출력 함수 = 294 13-2 readv & writev 입출력 함수 = 306 13-3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312 내용확인 문제 = 316 Chapter 14 멀티캐스트 & 브로드캐스트 = 317 14-1 멀티캐스트(Multicast) = 318 14-2 브로드캐스트(Broadcast) = 326 14-3 윈도우 기반으로 구현하기 = 330 내용확인 문제 = 334 Part 02 리눅스 기반 프로그래밍 = 335 Chapter 15 소켓과 표준 입출력 = 337 15-1 표준 입출력 함수의 장점 = 338 15-2 표준 입출력 함수 사용하기 = 342 15-3 소켓 기반에서의 표준 입출력 함수 사용 = 345 내용확인 문제 = 350 Chapter 16 입출력 스트림의 분리에 대한 나머지 이야기 = 351 16-1 입력 스트림과 출력 스트림의 분리 = 352 16-2 파일 디스크립터의 복사와 Half-close = 357 내용확인 문제 = 364 Chapter 17 select보다 나은 epoll = 365 17-1 epoll의 이해와 활용 = 366 17-2 레벨 트리거(Level Trigger)와 엣지 트리거(Edge Trigger) = 376 내용확인 문제 = 389 Chapter 18 멀티쓰레드 기반의 서버구현 = 391 18-1 쓰레드의 이론적 이해 = 392 18-2 쓰레드의 생성 및 실행 = 395 18-3 쓰레드의 문제점과 임계영역(Critical Section) = 407 18-4 쓰레드 동기화 = 411 18-5 쓰레드의 소멸과 멀티쓰레드 기반의 다중접속 서버의 구현 = 420 내용확인 문제 = 427 Part 03 윈도우 기반 프로그래밍 = 429 Chapter 19 Windows에서의 쓰레드 사용 = 431 19-1 커널 오브젝트(Kernel Objects) = 432 19-2 윈도우 기반의 쓰레드 생성 = 433 19-3 커널 오브젝트의 두 가지 상태 = 439 내용확인 문제 = 445 Chapter 20 Windows에서의 쓰레드 동기화 = 447 20-1 동기화 기법의 분류와 CRITICAL_SECTION 동기화 = 448 20-2 커널모드 동기화 기법 = 453 20-3 윈도우 기반의 멀티 쓰레드 서버 구현 = 463 내용확인 문제 = 468 Chapter 21 Asynchronous Notification IO 모델 = 469 21-1 비동기(Asynchronous) Notification IO 모델의 이해 = 470 21-2 비동기(Asynchronous) Notification IO 모델의 이해와 구현 = 473 내용확인 문제 = 485 Chapter 22 Overlapped IO 모델 = 487 22-1 Overlapped IO 모델의 이해 = 488 22-2 Overlapped IO에서의 입출력 완료의 확인 = 494 내용확인 문제 = 505 Chapter 23 IOCP(Input Output Completion Port) = 507 23-1 Overlapped IO를 기반으로 IOCP 이해하기 = 508 23-2 IOCP의 단계적 구현 = 518 내용확인 문제 = 528 Part 04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마무리하기 = 529 Chapter 24 HTTP 서버 제작하기 = 531 24-1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개요 = 532 24-2 매우 간단한 웹 서버의 구현 = 536 내용확인 문제 = 545 Chapter 25 앞으로 해야 할 것들 = 547 25-1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얼마나 공부해야 하나요? = 548 25-2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관련 책 소개 = 550 Index = 5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