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 예술성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 예술성 (Loan 2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피종호 , 편
Title Statement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 예술성 / 피종호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아카넷 ,   2009.  
Physical Medium
434 p. : 삽도 ; 24 cm.
ISBN
9788957331712
Bibliography, Etc. Note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000 00587camccc200217 k 4500
001 000045566556
005 20100805040612
007 ta
008 091106s2009 ulka 000c kor
020 ▼a 9788957331712 ▼g 93800
035 ▼a (KERIS)BIB000011837878
040 ▼a 223009 ▼c 223009 ▼d 211009
082 0 4 ▼a 801.93 ▼2 22
090 ▼a 801.93 ▼b 2009
245 0 0 ▼a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 예술성 / ▼d 피종호 엮음.
260 ▼a 서울 : ▼b 아카넷 , ▼c 2009.
300 ▼a 434 p. : ▼b 삽도 ; ▼c 24 cm.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700 1 ▼a 피종호 , ▼e▼0 AUTH(211009)94999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3 2009 Accession No. 11155951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01.93 2009 Accession No. 1115595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문학의 탁경계'라는 큰 틀에서 여러 예술형식과 문학이 상호 작용하는 '상호예술성 현상'을 주목한 책이다. 문학과 다른 예술 형식의 경계 가로지르기는 주로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문학과 미디어의 만남에서 나타나는 상호 매체성 현상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한다.

먼저 제1부 '문학의 상호 예술성'에서는 문학과 다른 예술형식과의 우위논쟁 내지는 상호 간섭, 문학의 탈결계 현상에서 나타나는 정식사적 의미,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의 문학 장르의 경계 변천 현상, 통속문학과 키치 예술 간의 교차로 인한 문학의 경제 확장 현상 등을 다룬다.

제2부인 '문학의 미디어의 만남'에서는 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한 문학의 시각화가 문학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영화적 상상력의 구현으로서 영화소설, 문학작품의 영화 각색과 만화 각색, 시적 상상력과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색채와 이미지의 시각적 논리성, 디지털 문학의 상호 작용성 등을 주제로 다룬다.

이 책은 '문학의 탁경계'라는 큰 틀에서 여러 예술형식과 문학이 상호 작용하는 '상호예술성 현상'을 주목한 책이다. 문학과 다른 예술 형식의 경계 가로지르기는 주로 텍스트와 이미지의 상호 작용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문학과 미디어의 만남에서 나타나는 상호 매체성 현상을 적극적으로 분석하고 고찰한다
먼저 제 1부 '문학의 상호 예술성'에서는 문학과 다른 예술형식과의 우위논쟁 내지는 상호 간섭, 문학의 탈결계 현상에서 나타나는 정식사적 의미,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의 문학 장르의 경계 변천 현상, 통속문학과 키치 예술 간의 교차로 인한 문학의 경제 확장 현상 등을 다룬다.
제 2부인 '문학의 미디어의 만남'에서는 미디어와의 결합을 통한 문학의 시각화가 문학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현상을 분석하고 있다. 문학의 시각화 전략은 회화, 만화, 영화, 디지털 예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영화적 상상력의 구현으로서 영화소설, 문학작품의 영화 각색과 만화 각색, 시적 상상력과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색채와 이미지의 시각적 논리성, 디지털 문학의 상호 작용성 등을 주제로 다룬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피종호(지은이)

서울대학교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쾰른대학교 철학부 독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위스콘신대학교(매디슨) 객원교수, 독일 바이로이트대학 DAAD 초청교수, 한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및 미디어문화연구소 소장, 한국카프카학회 회장, 한국미디어문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양대학교 학술정보관장, 한양대학교 독문학과 및 대학원 대중문화/시나리오 협동과정 교수, 한국독일어문학회 회장, 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영상문화시대에 따른 인문학적 대응전략으로서의 이미지 연구』(공저) 『유럽영화예술』(공저) 『몸의 위기』(공저) 『해체미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디지털미디어와 예술의 확장』(공저/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 『모더니즘의 영화미학』 『영화와 탈신화』(공저) 『문학의 탈경계와 상호예술성』(공저/문화체육관광부 우수학술도서)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미학』 『동독 영화 ― 생성과 붕괴, 그리고 영향사』 등이 있고, 역서로 『시몬 마샤르의 환상』 『릴케 산문집』 『헤세의 이야기꾼』 『헤세의 환상단편집』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 「아도르노의 영화비판」 「크라카우어의 영화미학」 「벤야민의 매체이론」 「예술형식의 상호매체성」 「니체의 신화와 예술이미지」 「후기구조주의의 웃음미학」 「파스빈더의 영화와 혼합된 매체현실」 「다다이즘의 추상적 해체예술의 이미지」 「영화의 디스포지티브와 자기반영성」 「디지털문학의 유형」 「사이버네틱스, 사이보그, 사이버페미니즘」 「사이보그영화와 포스트모더니즘」 「다큐멘터리 영화의 리얼리즘과 허구성」 「카프카의 『성』과 미하엘 하네케의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성]」 「콘라트 볼프와 멜로드라마 형식의 반파시즘 영화」 「연극 형식과 색채 드라마투르기 ― 피터 그리너웨이의 바로크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플라톤의 이미지이론과 가시성」 「무의식 속의 욕망과 좌절의 변증법 ― 라캉의 주체이론」 외 다수가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5
제1부 문학의 상호 예술성
 문학과 회화의 경계 또는 경계를 넘어서 / 피종호 = 13
 보들레르와 아폴리네르 - 시학과 미술비평 / 박기현 = 40
 문학문법과 음악문법의 혼용과 대위법적 변용 - 토마스 베른하르트와 토마스 만, 엘프리데 옐리네크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우호 = 89
 마그리트의 이미지에서 로브그리예의 글쓰기로 / 박기현 = 118
 추리소설의 경계 변천 고찰 / 정항균 = 150
 포스트모더니즘의 경계 이론과 심미화의 과정 / 김영룡 = 213
 통속문학/키치에서 전복적 예술로 - 옐리네크의『연인들』을 중심으로 / 정미경 = 231
제2부 문학과 미디어의 만남
 1920∼1930년대 영화소설의 영화적 상상력 구현 양상 / 전우형 = 261
 문학작품의 영화 각색과 서술 / 노시훈 = 294
 카락스와 랭보의 빛, 색채 이미지 - 반미학적 시각 논리 / 김혜신 = 317
 문학작품의 만화 각색과 서술 / 노시훈 = 354
 소내적 상상력의 실천과 변주 - 김기택의 시와 데이비드 린치의〈스트레이트 스토리〉 / 김진택 = 369
 바이러스의 미학 / 유현주 = 405
논문 게재 출처 = 429
저자 약력 = 430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