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1010camccc200349 k 4500 | |
001 | 000045564311 | |
005 | 20100805035025 | |
007 | ta | |
008 | 091008s2009 bnk b FM 001c kor | |
020 | ▼a 9788973142132 ▼g 94600 | |
020 | 1 | ▼a 9788973141357(세트) |
035 | ▼a (KERIS)BIB000011818330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700/.1/03082 ▼2 22 |
090 | ▼a 700.103082 ▼b 2009 | |
100 | 1 | ▼a Korsmeyer, Carolyn. ▼0 AUTH(211009)123976 |
245 | 1 0 | ▼a 페미니즘 미학 입문 / ▼d 캐롤린 코스마이어 지음 ; ▼e 신혜경 옮김. |
246 | 1 1 | ▼a Feminism. |
246 | 1 9 | ▼a Gender and aesthetics : an introduction. |
260 | ▼a 부산 : ▼b 경성대학교출판부 , ▼c 2009. | |
300 | ▼a 324 p. ; ▼c 23 cm. | |
440 | 0 0 | ▼a 경성대문화총서 ; ▼v 29.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650 | 0 | ▼a Feminism and art. |
650 | 0 | ▼a Women in art. |
650 | 0 | ▼a Feminist theory. |
650 | 0 | ▼a Arts ▼x Philosophy. |
700 | 1 | ▼a 신혜경 , ▼e 역 ▼0 AUTH(211009)64967 |
900 | 1 1 | ▼a 코스마이어, 캐롤린.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103082 2009 | Accession No. 11155746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700.103082 2009 | Accession No. 11155746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예술의 이론과 실천에 중요한 영향을 끼쳐왔던 젠더의 역할과 의미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다음과 같은 페미니즘 미학의 중심 주제들이 상세하게 논의 된다.
-근대적인 순수예술 개념은 여성의 예술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을까?
-전통적인 미와 숭고 개념에는 어떠한 남성중심적 편견이 은폐되어 있을까?
-왜 과거에는 여성 예술가의 수가 그렇게 적었을까?
-왜 음식이나 먹는 것은 본격적인 철학적 연구대상이 되지 못했으며 여기에는 어떠한 젠더 함의가 숨겨져 있을까?
-왜 오늘날의 페미니즘 예술가는 역겨움이나 혐오감을 자아내는 예술을 추구하는 것일까?
-몸과 주체성의 형성에서 오늘날의 예술이 담당하는 역할은 무엇일까?
이 책은 예술, 창조성, 미적 특질을 이해하는 데 젠더가 행하는 역할을 명료한 언어로 소개해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Table of Contents
목차 도판목록 = 11 감사의 글 = 13 한국어판 저자 서문 = 15 서문 = 17 1장 예술가와 예술 : 간략한 개념사 = 33 개념적 토대들 = 34 예술가 관념 : 고대의 선조들 = 41 예술 제작 : 개인과 집단 = 54 순수예술과 근대적 예술가 개념 = 58 천재 = 64 예술 표현론 = 68 요약 = 73 2장 미적 즐거움 = 77 미적인 것 = 78 취미와 미 = 82 미에 대한 버크 = 85 취미판단에 대한 칸트 = 89 누구의 취미인가? = 93 미적 태도론 = 98 미적 지각에 대한 페미니즘적 비판 = 103 요약 = 113 3장 아마추어와 전문가 = 115 교육과 훈련 : 누가 배우는가? = 115 음악 = 119 문학 = 131 회화 = 140 과거를 재평가하기 = 151 요약 = 154 4장 심층 젠더 : 미각과 음식 = 157 오감 = 159 감각적 즐거움과 미적 즐거움 = 165 주관성과 객관성 = 170 미각의 옹호 = 175 예술 그리고/속에서/로서의 음식 = 180 요약 = 187 5장 예술이란 무엇인가?(무엇이 예술인가?) = 189 정의와 그 맥락 = 198 예술과 반예술 = 205 제도론 = 208 거울로서의 예술 : 아서 단토 = 210 페미니즘 작품과 예술 개념의 변화 = 214 요약 = 231 6장 괴로움 즐거움 : 숭고와 역겨움 = 235 다시 생각해보는 정신과 몸 = 238 다시 숭고 = 241 뤼스 이리가레이 : 성적 성질을 가진 주체성 = 253 미적 반응으로서의 역겨움 = 260 역겨움과 애브젝션 : 줄리아 크리스테바 = 265 역겨움 : 맥락과 모호성 = 270 요약 = 274 BIBLIOGRAPHY = 277 찾아보기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