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유아 수·과학 교육

영유아 수·과학 교육 (Loan 18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안경숙 김소향
Title Statement
영유아 수·과학 교육 = Math &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안경숙 , 김소향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양서원 ,   2009.  
Physical Medium
393 p. : 색채삽도 ; 26 cm.
ISBN
978895964512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p. 379-391
000 00660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64082
005 20100805034910
007 ta
008 090929s2009 ggka b 000c kor
020 ▼a 9788959645121
035 ▼a (KERIS)BIB000011805781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72.7 ▼a 372.35 ▼2 22
090 ▼a 372.7 ▼b 2009z1
100 1 ▼a 안경숙 ▼0 AUTH(211009)110088
245 1 0 ▼a 영유아 수·과학 교육 = ▼x Math & scienc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d 안경숙 , ▼e 김소향 공저.
260 ▼a 파주 : ▼b 양서원 , ▼c 2009.
300 ▼a 393 p. : ▼b 색채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379-391
700 1 ▼a 김소향 ▼0 AUTH(211009)100760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7 2009z1 Accession No. 11155701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2.7 2009z1 Accession No. 11155701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안경숙(지은이)

덕성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졸업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졸업(교육학 석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과 졸업(교육학 박사) 전 건국대학교, 고려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외래교수 현 호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저서】 영유아과학교육 영유아음악교육 영유아교과교육론 프로젝트 접근법의 활용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외 다수 【논문】 유아와 교사의 주도적 수학게임 교수-학습 방법이 유아의 수학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5 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수학 관련 활동 분석: 교육과정 관련 요소를 중심으로 미 디어를 활용한 지구의 땅속 주제탐구과정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사과 과정과 변화 구 성주의 생물학과 생태학적 관점의 자연에 대한 탐구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뇌 기반 학습원리를 적용한 유아요리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적 의미 탐색 유 아 평가의 새로운 대안 모색 3 세와 4세 유아의 비형식적 수지식에 대한 연구 외 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이론편
 제1장 영유아 수ㆍ과학 통합교육의 중요성 및 현대적 동향 = 8
  1. 영유아 수ㆍ과학 통합교육의 중요성 = 8
  2. 영유아 수ㆍ과학 통합교육의 현대적 동향 = 9
 제2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의 이론 = 12
  1. 구성주의 이론 = 13
  2. 다중지능 이론 = 17
  3. 브루너의 지식의 표상 이론 = 20
  4. 뇌인지 과학 이론 = 22
 제3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에서의 개념, 기술, 태도의 발달 = 25
  1.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에서의 개념 = 25
  2. 영유아 수학과 과학의 기본적 과정 기술 = 32
  3. 영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 = 36
  4. 수ㆍ과학의 개념, 기술, 태도의 통합 = 39
  5. 개념 발달을 위한 학습주기와 학습경험의 중요성 = 41
 제4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과정의 구성 및 통합적 운영 = 48
  1.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과정의 구성 = 48
   1) 영유아 수학과 과학교육의 목적과 목표 = 48
   2)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내용 = 50
   3) 영유아 수학 교육내용 영역 = 54
   4) 영유아 과학 교육내용 영역 = 73
   5)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수-학습 방법 = 85
   6) 교사의 역할 = 91
   7) 환경구성 = 94
   8) 영유아 수학과 과학교육의 평가 = 101
  2.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 = 131
   1)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통합적 운영의 이론적 근거 = 131
   2)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통합적 운영의 방법 = 132
   3)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통합적 운영의 실체 = 134
 제5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을 위한 가정과의 연계 = 144
  1. 부모참여 및 가족과의 연계방법 = 145
  2. 가정과 연계된 수ㆍ과학 활동 = 147
실제편
 1. 나의 몸 = 159
  1. 몸의 움직임 놀이 = 160
  2. 로봇 놀이 = 164
  3. 몸의 균형잡기 놀이 = 168
  4. 우리 몸의 뼈 = 172
  5. 우리 몸에서 나는 소리 = 176
 2. 동물 = 179
  1. 동물 움직임 탐구 = 180
  2. 물고기의 뼈와 움직임 탐구 = 185
  3. 애완동물 키우기 = 189
  4. 동물의 감촉을 이용한 놀이 = 193
  5. 정글 탐험 놀이 = 196
 3. 식물 = 203
  1. 씨앗 놀이 = 204
  2. 테라리움 = 208
  3. 나뭇잎 놀이 = 211
  4. 식물을 이용한 염색 놀이 = 217
  5. 감자 키우기 및 감자 놀이 = 223
  6. 냄새나는 꽃과 나무 탐구 = 228
  7. 바다 식물(해초)의 탐구 = 232
 4. 기계와 도구 = 237
  1. 기계 조립 및 분해 놀이 = 238
  2. 도구 조작 놀이 = 242
  3. 도르래와 지레 놀이 = 246
  4. 구슬 놀이 = 252
 5. 힘과 운동 = 257
  1. 공놀이 = 258
  2. 다리의 균형 탐구 = 264
  3. 바퀴와 경사로 놀이 = 268
  4. 바람 놀이 = 274
  5. 자석 놀이 = 279
 6. 음식 = 283
  1. 밀가루 놀이 = 284
  2. 사과 요리 = 288
  3. 피자 프로젝트 = 293
 7. 빛과 그림자 = 299
  1. 빛을 이용한 놀이 = 300
  2. 그림자 놀이 = 304
 8. 자연물(흙, 모래, 돌, 물) = 309
  1. 흙 놀이 = 310
  2. 물 놀이 = 314
  3. 돌맹이 놀이 = 318
 9. 우주(해, 달, 별) = 325
  1. 해의 움직임과 변화 탐구 = 326
  2. 달의 움직임과 변화 탐구 = 330
  3. 태양계의 탐험 놀이 = 334
 10. 날씨와 계절 = 341
  1. 날씨 탐구 프로젝트 = 342
 11. 수, 측정, 공간과 도형 = 351
  1. 재미있는 수 놀이 = 352
  2. 신발 가게 놀이 = 355
  3. 집 짓기 놀이 = 359
부록 = 365
참고문헌 = 37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