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3
이론편
제1장 영유아 수ㆍ과학 통합교육의 중요성 및 현대적 동향 = 8
1. 영유아 수ㆍ과학 통합교육의 중요성 = 8
2. 영유아 수ㆍ과학 통합교육의 현대적 동향 = 9
제2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의 이론 = 12
1. 구성주의 이론 = 13
2. 다중지능 이론 = 17
3. 브루너의 지식의 표상 이론 = 20
4. 뇌인지 과학 이론 = 22
제3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에서의 개념, 기술, 태도의 발달 = 25
1.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에서의 개념 = 25
2. 영유아 수학과 과학의 기본적 과정 기술 = 32
3. 영유아의 수학적 태도와 과학적 태도 = 36
4. 수ㆍ과학의 개념, 기술, 태도의 통합 = 39
5. 개념 발달을 위한 학습주기와 학습경험의 중요성 = 41
제4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과정의 구성 및 통합적 운영 = 48
1.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과정의 구성 = 48
1) 영유아 수학과 과학교육의 목적과 목표 = 48
2)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내용 = 50
3) 영유아 수학 교육내용 영역 = 54
4) 영유아 과학 교육내용 영역 = 73
5)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수-학습 방법 = 85
6) 교사의 역할 = 91
7) 환경구성 = 94
8) 영유아 수학과 과학교육의 평가 = 101
2.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과정의 통합적 운영 = 131
1)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통합적 운영의 이론적 근거 = 131
2)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통합적 운영의 방법 = 132
3) 영유아 수학과 과학 교육의 통합적 운영의 실체 = 134
제5장 영유아 수ㆍ과학 교육을 위한 가정과의 연계 = 144
1. 부모참여 및 가족과의 연계방법 = 145
2. 가정과 연계된 수ㆍ과학 활동 = 147
실제편
1. 나의 몸 = 159
1. 몸의 움직임 놀이 = 160
2. 로봇 놀이 = 164
3. 몸의 균형잡기 놀이 = 168
4. 우리 몸의 뼈 = 172
5. 우리 몸에서 나는 소리 = 176
2. 동물 = 179
1. 동물 움직임 탐구 = 180
2. 물고기의 뼈와 움직임 탐구 = 185
3. 애완동물 키우기 = 189
4. 동물의 감촉을 이용한 놀이 = 193
5. 정글 탐험 놀이 = 196
3. 식물 = 203
1. 씨앗 놀이 = 204
2. 테라리움 = 208
3. 나뭇잎 놀이 = 211
4. 식물을 이용한 염색 놀이 = 217
5. 감자 키우기 및 감자 놀이 = 223
6. 냄새나는 꽃과 나무 탐구 = 228
7. 바다 식물(해초)의 탐구 = 232
4. 기계와 도구 = 237
1. 기계 조립 및 분해 놀이 = 238
2. 도구 조작 놀이 = 242
3. 도르래와 지레 놀이 = 246
4. 구슬 놀이 = 252
5. 힘과 운동 = 257
1. 공놀이 = 258
2. 다리의 균형 탐구 = 264
3. 바퀴와 경사로 놀이 = 268
4. 바람 놀이 = 274
5. 자석 놀이 = 279
6. 음식 = 283
1. 밀가루 놀이 = 284
2. 사과 요리 = 288
3. 피자 프로젝트 = 293
7. 빛과 그림자 = 299
1. 빛을 이용한 놀이 = 300
2. 그림자 놀이 = 304
8. 자연물(흙, 모래, 돌, 물) = 309
1. 흙 놀이 = 310
2. 물 놀이 = 314
3. 돌맹이 놀이 = 318
9. 우주(해, 달, 별) = 325
1. 해의 움직임과 변화 탐구 = 326
2. 달의 움직임과 변화 탐구 = 330
3. 태양계의 탐험 놀이 = 334
10. 날씨와 계절 = 341
1. 날씨 탐구 프로젝트 = 342
11. 수, 측정, 공간과 도형 = 351
1. 재미있는 수 놀이 = 352
2. 신발 가게 놀이 = 355
3. 집 짓기 놀이 = 359
부록 = 365
참고문헌 =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