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45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564077 | |
005 | 20100805034905 | |
007 | ta | |
008 | 090930s2009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47243025 | |
035 | ▼a (KERIS)BIB000011824028 | |
040 | ▼a 211023 ▼c 211023 ▼d 211009 | |
082 | 0 4 | ▼a 374 ▼2 22 |
090 | ▼a 374 ▼b 2009z3 | |
100 | 1 | ▼a 김남선 ▼0 AUTH(211009)22785 |
245 | 1 0 | ▼a 평생교육론 / ▼d 김남선 저. |
260 | ▼a 서울 : ▼b 형설 , ▼c 2009. | |
300 | ▼a 403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95-403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9z3 | 등록번호 11155702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4 2009z3 | 등록번호 11155702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평생교육은 이제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에 가도 보편화된 생활이 하나가 되었다. 즉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죽을 때까지 배우고 학습하면서 인생을 보내게 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평생교육은 1980년부터 헌법과 사회교육법에 의해 대학과 일반사회에서 사회교육이 확대되기 시작하여 발전되어 왔으며 최근 사회교육법은 평생교육법으로 바뀌고 2008년 다시 기존의 평생교육법이 전부 개정되어 학습사회를 더욱 강화시키게 되었다.
본 교재는 지난번 본인이 저술한 평생교육개론을 개편 및 보완한 것으로 평생교육법이 전부 개정됨으로써 평생교육사 자격증 취득에 필요한 교과목이 바뀜에 따라 본 교재의 명칭도 평생교육론으로 개칭하게 되었다.
본 교재는 제1장 평생교육의 의의, 제2장 평생교육관련이론, 제3장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제4장 평생교육의 과정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교재가 지니고 있는 중요한 특징으로는 첫째, 평생교육에 관련된 몇 가지 이론을 제시하여 평생교육을 단순히 실천과학으로만 보지 않고 평생교육이 사회변화에 능동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근거와 평생교육실천의 가치를 제시한 것이다. 둘째, 최근에 만들어진 평생교육법을 체계적으로 쉽게 설명하였으며, 특히 평생교육사 자격증을 취득하는데 필요한 제반 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기 때문에 평생교육사 자격증에 관심을 두고 있는 대학생들이 보다 쉽게 이행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다른 나라의 평생교육관련 제도와 행정을 소개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 평생교육과 다른 나라의 평생교육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평생교육은 실천에 중심을 두고 있기 때문에 평생교육프로그램을 효율적으로 계획, 수행 및 평가할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하여 평생교육 현장전문가들도 참고도서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김남선(지은이)
서울대학교 농촌사회교육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교육학 석사)와 박사(교육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구대학교 행정대학 지역사회개발/복지학과에서 평생교육론, 지역사회교육론 및 지역사회개발론 등을 학부생 및 대학원생들에게 강의하고 있으며, 한국평생교육학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자의 중요 연구분야는 지역사회 주민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을 보다 체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그 지역사회를 발전시키는 상향식 지역사회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본인은 평생교육과 지역사회개발과의 관계에 대한 논물과 저서를 다수 발간하였다.

목차
목차 제1장 평생교육의 의의 제1절 평생교육의 개념 = 13 Ⅰ. 평생교육의 일반적 접근 = 13 Ⅱ. 평생교육의 역사적 배경 = 14 Ⅲ. 평생교육의 가치 = 18 1. 평생학습의 일반적 가치 = 18 2. 평생교육의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 구분 = 19 Ⅳ. 평생교육의 유형 = 19 Ⅴ. 평생교육의 연구경향 = 22 제2절 평생교육의 이념 = 25 Ⅰ. 민주사회구축의 이념 = 26 Ⅱ. 복지사회구축의 이념 = 27 Ⅲ. 학습사회화 이념 = 28 Ⅳ. 사회공동체의 이념 = 29 제3절 평생교육의 목적 = 30 Ⅰ. 과학기술 변화의 대처 = 30 Ⅱ. 사회ㆍ문화구조의 변화적응 = 32 Ⅲ. 학교교육의 보완 = 35 Ⅳ. 함께 사는 능력의 제공 = 35 제4절 평생교육의 특성 = 36 Ⅰ. 본질적 특성 = 36 Ⅱ. 내용적 특성 = 39 제5절 평생교육 관련용어 = 43 Ⅰ. 성인교육 = 43 1. 성인교육의 정의 = 43 2. 성인교육의 필요성 = 44 Ⅱ. 비정규교육 = 46 Ⅲ. 계속교육 = 46 Ⅳ. 사회교육 = 47 1. 사회교육의 정의 = 47 2. 사회교육의 일반적 개념 = 49 3. 사회교육의 역사 = 50 제6절 평생교육 연구방법 = 53 Ⅰ. 평생교육연구의 일반적 특성 = 53 Ⅱ. 평생교육연구의 방법 = 55 1. 이론적 탐색연구 = 56 2. 역사적 고찰 = 56 3. 비교연구법 = 57 4. 내용분석법 = 57 5. 조사연구 = 58 6. 실천연구 = 58 7. 참여연구 = 64 Ⅲ. 평생교육연구의 대상 = 82 1. 영역별 대상 = 83 2. 지역별 대상 = 83 3. 장소별 대상 = 84 4. 실시기관 형태별 대상 = 84 5. 시기별 및 기간별 대상 = 85 6. 교육내용별 대상 = 85 제7절 평생교육전문가의 역할 = 86 Ⅰ. 평생교육전문가의 범위 = 86 Ⅱ. 평생교육전문가의 역할 = 87 1. 학습자의 욕구 성취를 돕는 역할 = 87 2. 기관의 요구와 목표달성을 돕는 역할 = 94 제8절 평생교육의 주요대상 = 96 Ⅰ. 청소년 평생교육 = 96 1. 펑소년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 96 2. 청소년교육의 필요성 = 98 3. 청소년교육의 내용 = 105 Ⅱ. 여성의 평생교육 = 108 1. 여성평생교육의 필요성 = 108 2. 여성평생교육의 유형 = 110 Ⅲ. 노인의 평생교육 = 111 1. 노인교육의 필요성 = 111 2. 노인교육의 목적 = 112 3. 노인교육의 내용 = 114 제2장 평생교육 관련이론 제1절 평생교육 철학적 이론 = 115 Ⅰ. 평생교육 철학의 필요성 = 116 Ⅱ. 평생교육 철학적 이론의 근거 = 116 1. 나토르프의 평생교육학 = 117 2. 노울즈의 성인교육학 = 118 3. 듀이의 학습사회건설론 = 120 4. 브라멜드의 재건주의론 = 121 5. 프레이리의 민중교육론 = 122 6. 린데만의 사회적응론 = 124 제2절 성인의 신체적 변화 = 126 Ⅰ. 일반적 변화의 특징 = 126 1. 체력의 변화 = 127 2. 시각의 변화 = 127 3. 청각의 변화 = 128 4. 생체기능의 변화 = 129 5. 성적 강도 변화 = 129 Ⅱ. 성취능력의 변화 = 130 1. 감각ㆍ지각속도의 변화 = 130 2. 작업성취도의 변화 = 131 3. 학습능력의 변화 = 131 제3절 성인의 심리적 변화 = 132 Ⅰ. 성인심리의 이론적 기초 = 132 1. 인지적 발달 = 133 2. 정의적 발달 = 134 Ⅱ. 성인심리의 변화과정 = 134 1. 18∼22세 : 성인 입문 시기 = 135 2. 23∼28세 : 외향적 시기 = 135 3. 29∼34세 : 회의의 시기 = 135 4. 35∼43세 : 중년 전성기 = 136 5. 44∼50세 : 안정기 = 136 6. 50∼60세 : 원숙기 = 136 7. 65세 이상 : 황혼기 = 137 제4절 사회학적 변화 = 141 Ⅰ. 인간 상호관계 이론 = 142 Ⅱ. 사회변동 이론 = 142 Ⅲ. 사회변화의 특성 = 144 1. 산업ㆍ기술의 변화 = 145 2. 사회집단구조의 변모와 지위ㆍ역할의 변화 = 148 3. 문화변화와 가치관의 혼란 = 154 제5절 태도와 행위변화 = 158 Ⅰ. 태도의 일반적 개념 = 158 1. 태도의 기본개념 = 158 2. 태도의 특성 = 160 3. 태도의 중요성 = 162 Ⅱ. 태도의 구성요소와 기능 = 162 1. 태도의 구성요소 = 162 2. 태도의 기능 = 163 Ⅲ. 태도변화와 행위 = 165 1. 태도와 행위와의 관계 = 165 2. 태도변화 이론 = 166 3. 태도변화 영향변수 = 167 4. 태도변화의 촉진 = 169 제3장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제1절 외국의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 171 Ⅰ. 미국의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 171 1. 미국교육의 특성 = 171 2. 미국의 평생교육내용 = 172 Ⅱ. 영국의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 179 1. 영국의 교육법 = 179 2. 영국의 평생교육규정 = 180 3. 영국의 평생교육행정구조 = 181 Ⅲ. 일본의 평생교육제도와 행정 = 183 1. 일본의 평생교육법 개관 = 183 2. 일본의 평생교육법 구조 = 184 3. 일본의 평생교육행정 = 185 4. 일본의 평생교육시설 = 187 제2절 우리나라 평생교육제도 = 189 Ⅰ. 우리나라 평생교육의 법적 근거 = 189 1. 일반적 배경 = 189 2. 법적 근거 = 190 Ⅱ. 평생교육법 취지와 내용 = 191 1. 기존의 평생교육법 재정이유 = 192 2. 평생교육법 전부개정이유 및 주요내용 = 194 Ⅲ. 평생교육법시행령 내용 = 218 1. 개정이유 = 218 2. 핵심내용 = 218 3. 평생교육법시행령 주요내용 = 219 제4장 평생교육의 과정 제1절 평생교육의 계획과정 = 257 Ⅰ. 평생교육계획의 개념 = 257 Ⅱ. 평생교육계획의 관련 이론 = 258 Ⅲ. 평생교육계획의 절차 = 261 1. 성인학습자들의 욕구와 흥미 파악 = 262 2. 프로그램의 계획과 학습자의 참여 = 264 3. 프로그램의 목표설정 = 264 4. 프로그램 내용 및 조직 = 266 제2절 평생교육의 수행과정 = 270 Ⅰ. 평생교육수행의 개념 = 270 Ⅱ. 평생교육수행의 전제 = 272 1. 평생교육방법 선정을 위한 기초 = 272 2. 학습행위의 사회적 수용성 = 273 3. 평생교육기관의 시설 = 274 Ⅲ. 평생교육수행의 유형과 기술 = 275 1. 원탁집단토의 = 283 2. 허들집단토의 = 287 3. 버즈집단토의 = 289 4. 단상토의 = 290 5. 배심토의 = 293 6. 회의 운영평가 = 297 제3절 평생교육의 평가과정 = 297 Ⅰ. 평생교육평가의 개념 및 준거 = 298 1. 평생교육평가의 개념 = 298 2. 평생교육평가의 준거 = 301 Ⅱ. 평생교육평가의 유형과 절차 = 304 1. 평생교육평가의 유형 = 305 2. 평생교육평가의 절차 = 308 Ⅲ. 평생교육평가의 쟁점과 실제 = 313 1. 평생교육평가의 쟁점 = 313 2. 평생교육평가의 실제 = 315 부록 = 321 평생교육법 = 323 평생교육법시행령 = 343 평생교육법시행규칙 = 380 참고문헌 = 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