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ⅴ
제1장 한글의 태몽기 = 3
1. 고대국가의 존재와 언어권 형성 = 3
2. 향찰문자(鄕札文字) = 4
3. 이두문자(吏讀文字) = 7
4. 구결문자(口訣文字) = 8
5. 계림유사(鷄林類事)와 한글 = 9
6. 고려가요와 한글 = 12
7. 한글 태몽기의 역사적 의의 = 16
제2장 한글의 탐색기 = 21
1. 고전기원설(古篆起源說) = 22
2. 범자기원설(梵字起源說) = 23
3. 파스파문자모방설(八思巴文字模倣說) = 25
4. 악리기원설(樂理起源說) = 26
5. 가림토문자모방설(加臨土文字模倣說) = 26
6. 훈민정음 원본과 해례에서 본 한글의 상형설 = 27
7. 기타 기원설(其他 起源說) = 32
8. 한글 탐색기의 역사적 의의 = 32
제3장 한글의 탄생기 = 37
1. 훈민정음 원본(漢文本) 풀이 = 38
2.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 풀이 = 43
3. 훈민정음 언해본(訓民正音 諺解本) = 69
4. 언문청(諺文廳)과 한글 = 87
5. 집현전(集賢殿)과 한글 = 87
6. 집현전 부제학 최만리(崔萬理)의 상소와 한글 = 88
7. 한글 탄생기(誕生期)의 역사적 의의 = 92
제4장 한글의 성장기 = 97
1. 훈민정음 이름의 변천과 한글의 성장 = 98
2. 여러 가지 분야에서의 훈민정음의 사용보급과 한글의 성장 = 100
가. 훈민정음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책을 지어내어 읽도록 하였다 = 100
나. 훈민정음을 국가의 문자로서 사용하고자 노력함 = 104
다. 경서(經書) 및 불경(佛經)의 언해와 한글 = 104
라. 계속된 언해사업과 한글 = 108
마. 한자의 언해사업과 한글 = 109
바. 한자의 언해사업의 한글사적 의의 = 112
제5장 한글의 침체기 = 115
1. 양반 관료간(官僚間)의 대립과 한글 = 115
2. 성종과 그 후궁 윤씨 관계와 한글 = 116
3. 연산군의 한글 사용 금지령 = 117
4. 언문ㆍ구결서의 불태움(諺文ㆍ口訣書 焚書)과 한글 = 118
5. 한글 침체기의 역사적 의의 = 118
제6장 한글의 융성기 = 123
Ⅰ. 훈몽자회(訓蒙字會)와 한글 = 123
1. 훈몽자회란 = 124
2. 훈몽자회의 머리말과 범례(凡例) = 124
3. 훈몽자회의 한자의 뜻과 음 풀이의 예 = 127
4. 훈몽자회의 한글사적 변화와 가치 = 128
Ⅱ. 여러 가지 문학작품의 발달과 한글 = 130
1. 시조문학과 한글 = 130
2. 가사문학(歌辭文學)의 발달과 한글 = 137
3. 소설의 등장과 한글 = 144
Ⅲ. 갑오경장 이전까지의 한글연구의 대강 = 155
1. 첩해신어(捷解新語) = 156
2. 화동정음통석운고(華東正音通釋韻考) = 156
3. 훈민정음운해(訓民正音韻解) = 156
가. 초성해(初聲解) = 156
나. 중성해(中聲解) = 158
다. 종성해(終聲解) = 159
라. 초성 36자모 소리의 청탁구분 = 159
4. 삼운성휘(三韻聲彙)의 범례 = 160
5. 언문지(諺文志)에서의 초ㆍ중ㆍ종성, 전자의 설 = 162
가. 초성례 = 162
나. 중성해 = 162
다. 종성례 = 162
라. 전자례(全字例) = 163
6. 학자의 펴낸 대표적 저서(위의 1-5 이외의 것) = 163
가. 자모편(字母辨) = 163
나. 주영편(晝永編) = 164
다. 고금석림(古今釋林) = 164
라. 아언각비(雅言覺非) = 165
마. 언음첩고(諺音捷考) = 165
바. 유서필지(儒胥必知) = 165
사. 훈음종편(訓音宗編) = 165
아. 자류주석(字類註釋) = 166
자. 동문자모분해(東文字母分解) = 166
7. 학자들의 한글연구에 대한 한글사적 의의 = 166
제7장 한글의 부흥기 = 171
Ⅰ. 갑오경장과 한글 = 172
Ⅱ. 신식(근대)학교의 설립과 한글 = 173
1. 조선시대의 교육기관 = 173
2. 근대학교의 설립 = 175
3. 개화초기의 국어과(한글) 과목설치현황 = 178
4. 신식학교의 설립과 국어과(한글) 과목설치현황 = 178
5. 신식학교의 대두와 교과서 발행 = 179
6. 신식학교의 설립의 한글사적 의의 = 181
Ⅲ. 국문법 연구의 발전과 한글 = 183
1. 유길준의 대한문전(大韓文典)에 의한 문법 연구 = 183
2. 주시경(周時經)의 국어문법 연구 = 184
3. 지석영(池錫永)의 신정국문(新訂國文) = 188
4. 김희상(金熙祥)의 초등국어어전(初等國語語典) = 191
5. 국문연구소(國文硏究所)의 설치운영 = 192
Ⅳ. 신문학 창작과 한글 = 193
1. 신소설의 등장과 한글 = 193
2. 신소설의 작가별 작품 찾아보기 = 193
3. 신소설의 한글사적 의의 = 198
4. 신시대의 연극과 한글 = 200
5. 언론기관(신문사)의 설립과 한글 = 205
Ⅴ. 잡지의 발행과 한글 = 212
1. 초기의 잡지현황 = 213
2. 근대초기의 잡지발행과 한글 = 213
3. 잡지발행의 한글사적 의의 = 218
Ⅵ. 성경(聖經)의 번역과 한글 = 220
Ⅶ. 한글 부흥기와 요약과 결론 = 222
제8장 한글의 정착기 = 225
Ⅰ. 조선어학회의 창립과 한글 = 226
1. 국어연구학회 창립연대(주시경 선생의 주도) = 226
2. 창립위원 = 226
3. 창립목적 = 226
4. 변화과정 = 226
5. 사업실적(당시기준) = 226
6. 사업실적에 대한 구체적 내용 = 227
Ⅱ. 조선총독부 학무국에서 제정한 언문철자법 = 232
1.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제1회) = 233
2. 보통학교용 언문철자법(제2회) = 233
3. 언문철자법(제3회) = 233
Ⅲ. 1988.1.19일 문교부 고시에 의한 새 한글맞춤법의 요점 = 234
Ⅳ. 1936.10.28일 "사정(査定)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발표 = 236
1. 사정의 목적 = 236
2. 사정원칙 = 237
3. 표준말 사정의 경과 = 237
4. 표준말 사정의 방법 = 238
5. 최종 사정 총어휘수(最終 査定 總語彙數) = 239
6. 사정 발표일 = 239
7.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책자 주요 목차 = 240
8.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 저서의 특징 = 241
Ⅴ. 1988.1.19일 문교부가 고시한 표준어 규정 = 241
Ⅵ. 1940.6.25일 발표한 초기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 242
Ⅶ. 1995.3.16일 고시한 새로운 외래어 표기법 요점 = 243
Ⅷ. 조선어학회의 한글사적 의의 = 245
Ⅸ. 조선말 큰사전의 편찬과 한글 = 247
Ⅹ. 새로운 신문의 발행과 한글 = 249
1. 조선일보(朝鮮日報) = 250
2. 동아일보(東亞日報) = 251
3. 매일신보(每日新報) = 253
4. 시대일보(時代日報) = 253
5. 1920년대의 신문의 등장과 한글 = 253
XI. 새로운 잡지 발행과 한글 = 254
1. 새로운 잡지발행 현황 = 255
2. 새로운 잡지의 구체적 내용 = 256
가. 창조지(創造誌) = 256
나. 폐허지(廢墟誌) = 257
다. 백조지(白潮誌) = 258
라. 영대지(靈臺誌) = 260
마. 조선문단(朝鮮文壇) = 261
바. 개벽지(開闢誌) = 261
사. 시문학(詩文學) = 264
아. 구인회(九人會) = 265
자. 문장(文章) = 266
차. 시인부락(詩人部落) = 266
카. 인문평론(人文評論) = 266
3. 새로운 잡지 발행의 한글사적 의의 = 267
XII. 현대소설 창작과 한글 = 267
1. 소설 작가군(小說作家群) = 268
2. 소설작품의 음미 = 268
3. 현대소설 창작의 한글사적 의의 = 276
XIII. 현대시의 창작과 한글 = 280
1. 현대시인 작가군(作家群) = 280
2. 현대시의 음미 = 280
가. 파인 김동환(巴人 金東煥)의 '산너머 남촌에는'이라는 시 = 281
나. 월파 김상용(月坡 金尙鏞)의 '남으로 창을 내겠소'라는 시 = 281
다. 공초 오상순(空超 吳相淳)의 '첫날 밤'이라는 시 = 282
라. 해환 윤동주(海煥 尹東柱)의 '별 헤는 밤'이라는 시 = 283
마. 미당 서정주(未堂 徐廷柱)의 '국화 옆에서'라는 시 = 285
바. 청마 유치환(靑馬 柳致環)의 '바위'라는 시 = 286
사. 만해 한용운(卍海 韓龍雲)의 '복종'이라는 시 = 286
3. 현대시 창작의 한글사적 의의 = 287
제9장 한글의 수난기 = 295
1. 조선어학회에 대한 검거선풍 = 295
2. 조선어 말살정책의 이모저모 = 296
제10장 한글의 재생과 전성기 = 303
Ⅰ. 한글이 다시 살아나다(再生) = 303
Ⅱ. 미군정과 한글교육 = 304
1. 미군정하의 우리나라의 교육문제 = 304
2. 우리말(한글) 교육의 본격적 시동(始動) = 305
Ⅲ. 한글교육의 전성기(全盛期) = 320
1. 학교문법 연구의 활발함과 한글 = 321
2. 교육한자 폐지 = 331
3. 한글맞춤법 통일안의 간소화 방안 파동 = 332
4. 제1차 교과교육과정과 한글(1954∼1963) = 336
5. 제2차 교육과정과 한글(1963∼1973) = 341
6. 제3차 교육과정과 한글(1973∼1981) = 346
7. 제4차 교육과정과 한글(1981∼1987) = 353
8. 제5차 교육과정과 한글(1987∼1994) = 361
9. 제6차 교육과정과 한글(1995∼2004) = 372
10 제7차 교육과정과 한글(2000.3.1일 초등교 1, 2학년∼ ) = 417
Ⅳ. 한글 전성기(全盛期)의 역사적 의의 = 438
Ⅴ. 대학의 국어국문학 교육과 한글 = 443
Ⅵ. 국민생활 전 분야에서의 한글의 작용과 역할 = 448
제11장 한글의 번영기에서 할 일 = 451
1. 국어기본법 및 시행령의 이행 = 452
2. 국립국어연구원의 역할과 기대 = 453
3. 한글학회의 장구한 역사와 업적 이어가기 = 457
4. 한글의 세계화의 길을 모색한다 = 458
5. 한자(漢字)의 문맹자(文盲者)가 돼서는 안 된다 = 461
6. 컴퓨터, 인터넷, 네티즌, 댓글 등의 용어는 아름답고 다듬어진 말을 사용해야 한다 = 464
7. 무분별한 외국어의 도배질, 삼가하자 = 467
8. 한글의 우수성(優秀性)을 정확히 이해하여 더욱 홍보 성장 발전 번영시켜 나가자 = 470
9. 한글의 국가적, 국제적 브랜드(Brand)화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 472
10. 한글을 더욱 연구 개발 창안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 473
11. 현대의 다양화, 다문화, 다언어 시대에 한글의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한다 = 474
12. 외국인을 위한 한글교육과 한글문화 교육을 한층 더 강화하고 홍보해 나가야 한다 = 474
13. 외래어 심의회 확대 및 강화 내지 심의의 신속한 처리가 요구된다 = 474
14. 외래어 및 준 외래어 대사전이 편찬되어 활용되어야 한다 = 474
15. 토착어(토박이말 : 方言)의 활용을 확대시켜 나가야 한다 = 475
16. 최첨단 정보기기에 맞는 한글 활용방법을 다른 나라에 비하여 훨씬 앞서가는 방법을 고안해 내어서 그런 최신정보통신 기기를 개발활용토록 해야 한다 = 475
17. 난해한 용어 즉 철학용어, 학술용어, 의학용어, 법률용어, 약학용어 등의 한글말로의 풀이작업이 이루어져서 그 내용이 집대성되어 활용되어야 한다. 그 한 예로 '기미독립선언서의 한글해석본'이 그 귀감이 된다고 생각한다 = 475
18. 맞춤법, 표준어규정, 외래어 표기법,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등의 불합리한 조항에 대한 재정리와 함께 심의 개정을 하여 한글의 바탕을 한층 더 튼츤하게 해야 할 것이다 = 475
19. 한글(국어)순화 정책의 과감한 추진이 요구된다 = 476
20. 정부기관에 의한 한글(국어)정책 지원위원회(國語政策支援委員會)가 설치 운영되어야 한다 = 476
21. 한글문화의 외국어 번역사업 확대추진이 매우 긴요하다 = 476
22. 남북한 한글(국어)말 통합사업을 적극 추진하여야 한다 = 477
23.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육에서의 한글(국어과)교육을 더욱 강화해 나가야 한다 = 477
부록 : 한글연혁 총람(總覽) = 4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