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어 명사의 다의 현상 연구

국어 명사의 다의 현상 연구 (3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차준경.
서명 / 저자사항
국어 명사의 다의 현상 연구 / 차준경.
발행사항
서울 :   제이앤씨 ,   2009.  
형태사항
280 p. ; 24 cm.
ISBN
9788956687421
서지주기
참고문헌(p. 256-270), 색인수록
000 00629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63111
005 20100805034242
007 ta
008 091013s2009 ulk b 001c kor
020 ▼a 9788956687421 ▼g 93810
035 ▼a (KERIS)BIB000011833522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82 0 4 ▼a 495.7554 ▼a 495.781 ▼2 22
085 ▼a 497.554 ▼a 497.81 ▼2 DDCK
090 ▼a 497.554 ▼b 2009
100 1 ▼a 차준경. ▼0 AUTH(211009)142124
245 1 0 ▼a 국어 명사의 다의 현상 연구 / ▼d 차준경.
260 ▼a 서울 : ▼b 제이앤씨 , ▼c 2009.
300 ▼a 280 p.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256-270),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54 2009 등록번호 111555966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10-13 예약 서비스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554 2009 등록번호 1115559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이책은 국어의 다의 현상중 이른바 체계적 다의성(regular polysemy)에 대해 국어의 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의미 확장의 체계적인 관계를 고찰한 것이다. 다의어의 의미는 하나의 의미 유형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여러 의미 유형이 복합되어 있으므로 그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어 명사의 체계적 다의성은 실체 명사에서만 실현되는 것이 아니라 사건, 상태, 추상 명사에서도 실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어휘 의미의 부류적 특성이 될 수 있는 체계적 다의성을 고찰하는 것은 문맥에서 실현 가능한 의미를 예측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이러한 논의는 어휘 의미의 본질적인 특성인 문맥 의미의 유동성 속에서 나름의 규칙성을 발견하고 기술한 것으로, 국어학뿐만 아니라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서론 = 11
 1.1 연구 목적과 범위 = 13
 1.2 선행 연구 = 16
 1.3 연구 방법 및 구성 = 26
제2장 이론적 접근 = 31
 2.1 다의 현상 = 33
  2.1.1 단의어와 다의어 = 33
  2.1.2 다면어와 다의어 = 36
  2.1.3 의미 조정과 의미 확장 = 40
 2.2 체계적 다의성 = 47
  2.2.1 체계적 다의성의 특성 = 47
  2.2.2 화용론적 접근 = 51
  2.2.3 인지 언어학적 접근 = 54
  2.2.4 전산 언어학적 접근 = 57
 2.3 문맥 의미 추출 = 61
제3장 명사 의미 분류 = 69
 3.1 의미 분류 연구 경향 = 72
 3.2 체계적 다의성과 의미 분류 = 82
 3.3 체계적 다의성을 반영한 의미 분류 = 86
제4장 실체 명사의 다의성 = 101
 4.1 실체 명사의 의미 특성 = 103
 4.2 실체 명사의 의미 전이 = 105
  4.2.1 사람 = 105
  4.2.2 동물 = 116
  4.2.3 식물 = 123
  4.2.4 사물 = 129
 4.3 요약 = 149
제5장 사건 명사의 다의성 = 151
 5.1 사건 명사의 의미 특성 = 156
 5.2 사건 명사의 의미 전이 = 167
 5.3 요약 = 185
제6장 상태 명사의 다의성 = 187
 6.1 상태 명사의 의미 특성 = 191
 6,2 상태 명사의 의미 전이 = 197
  6.2.1 속성 = 197
  6.2.2 관계 = 208
 6.3 요약 = 215
제7장 추상 명사의 다의성 = 217
 7.1 추상 명사의 의미 특성 = 221
  7.1.1 사건 명사와 추상 명사 = 221
  7.1.2 보문과 추상 명사 = 223
 7.2 추상 명사의 의미 전이 = 227
  7.2.1 명사의 빈도 = 227
  7.2.2 의미 전이의 실제 = 231
 7.3 요약 = 243
제8장 결론 = 245
참고문헌 = 256
찾아보기 = 27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