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61c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562521 | |
005 | 20100805033828 | |
007 | ta | |
008 | 040124s2003 ggka b 000c kor | |
020 | ▼a 8981822514 ▼g 93300 | |
035 | ▼a (KERIS)BIB000010003198 | |
040 | ▼a 011001 ▼c 011001 ▼d 211009 | |
082 | 0 4 | ▼a 339.23 ▼2 22 |
090 | ▼a 339.23 ▼b 2002 ▼c 3 | |
245 | 0 0 | ▼a 지역간 산업연관표 작성에 관한 연구 = ▼x Regional input-output analysis . ▼n 3 / ▼d 박상우, ▼e 이종열, ▼e 변세일 외. |
260 | ▼a 안양 : ▼b 國土硏究院 , ▼c 2003. | |
300 | ▼a x, 206 p. : ▼b 삽도 ; ▼c 25 cm. | |
440 | 0 0 | ▼a 국토연 ; ▼v 2003-13 |
500 | ▼a 부록수록 | |
504 | ▼a 참고문헌: p. 145-149 | |
700 | 1 | ▼a 박상우 |
700 | 1 | ▼a 이종열 |
700 | 1 | ▼a 변세일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39.23 2002 3 | Accession No. 12118598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 1 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3 3. 연구의 방법과 범위 = 5 제2장 기존 지역산업연관분석 연구의 검토 1. 산업연관분석의 일반 특성 = 9 2. 산업연관표 작성방법 및 유형 = 13 3. 지역투입산출분석모형 = 15 4. 모형별 특성 검토 = 18 제3장 연구사례의 검토 1. 기존 비조사기법 개요 = 21 2. 기존 기법의 비교 검토 = 24 3. 지역산업연관표의 작성 사례 = 30 4. 지역교역계수 산출기법의 검토 = 35 제4장 KRIHS 지역간 산업연관모형 설정 1. KRIHS모형 = 55 2. 모형 작성 = 59 3. 자료 추계방법 및 조정 = 87 4. 자료의 구축 = 99 제5장 지역투입계수 추정 1. 추정과정 = 117 2. 지역기술계수 추정 = 118 3. 지역교역계수 추정 = 128 4. 지역투입계수 추정과 비교 = 137 제6장 결론 및 활용방안 1. 결론 = 139 2. 활용방안 및 향후 연구과제 = 142 참고문헌 = 145 SUMMARY = 151 부록 = 1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