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61415 | |
005 | 20150209153658 | |
007 | ta | |
008 | 090302s2009 ggkd b 001c kor | |
020 | ▼a 9788946051065 ▼g 93340 | |
020 | ▼a 9788946039971 ▼g 93340 | |
020 | ▼a 9788946049420 ▼g 93340 | |
035 | ▼a (KERIS)BIB000011603328 | |
040 | ▼a 243001 ▼c 211009 ▼d 211009 ▼d 243001 | |
082 | 0 4 | ▼a 324.62 ▼2 23 |
085 | ▼a 324.62 ▼2 DDCK | |
090 | ▼a 324.62 ▼b 2009 | |
245 | 0 0 | ▼a 투표행태의 이해 = ▼x Introduction to voting behavior / ▼d 전용주 [외]지음 |
260 | ▼a 파주 : ▼b 한울, ▼c 2009 ▼g (2014) | |
300 | ▼a 285 p. : ▼b 도표 ; ▼c 24 cm | |
440 | 0 0 | ▼a 한울아카데미 ; ▼v 1106 |
500 | ▼a 저자: 임성학, 이동윤, 한정택, 엄기홍, 최준영, 이소영, 조진만, 조성대 | |
504 | ▼a 참고문헌(p. [260]-281)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전용주, ▼e 저 ▼0 AUTH(211009)99112 |
700 | 1 | ▼a 임성학, ▼e 저 ▼0 AUTH(211009)140547 |
700 | 1 | ▼a 이동윤, ▼e 저 ▼0 AUTH(211009)83301 |
700 | 1 | ▼a 한정택, ▼e 저 ▼0 AUTH(211009)71083 |
700 | 1 | ▼a 엄기홍, ▼e 저 ▼0 AUTH(211009)84339 |
700 | 1 | ▼a 최준영, ▼e 저 ▼0 AUTH(211009)71082 |
700 | 1 | ▼a 이소영, ▼e 저 ▼0 AUTH(211009)29174 |
700 | 1 | ▼a 조진만, ▼e 저 ▼0 AUTH(211009)60871 |
700 | 1 | ▼a 조성대, ▼e 저 ▼0 AUTH(211009)64978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62 2009 | 등록번호 111555135 | 도서상태 대출중 | 반납예정일 2023-06-22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24.62 2009 | 등록번호 11173091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한국에서 ‘투표행태’를 다룬 ‘최초의 교과서’이다. 선거와 투표는 정치학에서 비교적 발전된 분야로 인정받는데도 한국에서 이를 소개한 교과서를 찾기는 어려웠다. 이 책은 투표행태 분석과 관련한 여러 이론을 정리·소개하며, 이를 한국 실정에 적용해 이론의 적합성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집단적 노력’의 산물로 그간 선거와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성과를 쌓아온 학자들이 각 장을 맡아 집필했다. 대학에서 이 주제와 관련해 강의해온 저자들의 경험이 책의 내용과 구성에 녹아들어 있어, 독자는 쉽게 투표행태 이론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누가, 왜, 어떻게 투표하는가?”
- 고전적 투표행태 이론 개괄과 한국 사례연구 -
핵심 요약
유권자는 후보자와 정당, 공약 등을 ‘합리적으로’ 평가해 투표하는가? 가족이나 학교 같은 사회집단이 유권자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거나 선호를 결정하지는 않는가? 심리적 요인이나 비합리적 판단에 따라 대표자를 선출한다면 민주주의는 제 기능을 한다고 볼 수 있는가? 한국 정치의 지역 구도는 여전히 유효한가? 선거를 거듭할 때마다 떨어지는 투표율의 의미는 무엇인가?
선거와 투표에 대한 질문은 끝없이 이어진다. 이는 현대 민주주의를 유지하는 근간인 제도로서의 선거, 행태로서의 투표가 지닌 중요성을 반영한다. 현대 민주주의 국가는 선거를 통해 인민에게서 권한을 위임받은 대표자가 통치하는 대의민주주의라는 점에서, 올바른 투표행태 이해는 정치학계에서도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어졌다. 이 책은 선거에서 “누가, 왜, 어떻게 투표하는가?”라는 문제, 즉 유권자의 ‘투표행태’를 밀도 있게 분석한다. 투표행태를 사회학적·정치사회학적·사회심리학적·경제학적·인지심리학적·신제도주의적 관점에서 살피며, 고전적인 이론을 소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국 상황에 접목해 ‘살아 있는’ 이론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기획의도 및 출간의의
이 책은 한국에서 ‘투표행태’를 다룬 ‘최초의 교과서’이다. 선거와 투표는 정치학에서 비교적 발전된 분야로 인정받는데도 한국에서 이를 소개한 교과서를 찾기는 어려웠다. 이 책은 투표행태 분석과 관련한 여러 이론을 정리·소개하며, 이를 한국 실정에 적용해 이론의 적합성을 비판적으로 살핀다. 한편 이 책은 ‘집단적 노력’의 산물로 그간 선거와 투표행태에 관한 연구 성과를 쌓아온 학자들이 각 장을 맡아 집필했다. 대학에서 이 주제와 관련해 강의해온 저자들의 경험이 책의 내용과 구성에 녹아들어 있어, 독자는 쉽게 투표행태 이론을 접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소개
이 책은 8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에서 투표행태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을 자세히 소개한다. 이론이 어떻게 발전해왔으며 주요 내용은 무엇인지를 살피며, 그 이론을 적용한 한국 유권자의 투표행태 연구를 소개한다.
제1장에서는 투표행태 연구의 시발점으로 평가되는 컬럼비아 학파의 사회학적 이론을 정리한다. 제2장에서는 이를 심화·발전시킨 사회균열론에 근거한 투표행태 분석을 소개한다. 제3장에서는 미시간 학파의 사회심리학적 이론, 특히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의 관계에 관한 내용을 정리한다. 제4장에서는 합리적 선택 이론을 다룬다. 이전의 논의가 집단을 강조했다면, 합리적 선택 이론은 학문적 관심을 개인으로 전환시켰다. 이 이론의 주요 내용과 실제 투표행태에 적용한 사례를 소개한다. 제5장에서는 선거에서 ‘쟁점’이 유권자 투표행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다. 합리적 선택 이론에서부터 발전한 공간 이론이나 방향성 이론 등을 소개한다. 제6장에서는 인지심리학적 이론을 다룬다. 스키마나 휴리스틱스 같은 인지심리학적 개념에 기초를 둔 투표행태의 이해를 소개하고, 대중매체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 성과를 정리한다. 제7장에서는 투표행태를 설명하기 위한 신제도주의적 접근과 그 연구 성과를 요약한다. 선거제도에 의해 투표행태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를 논의한 주요 학자의 주장과 사례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제8장에서는 ‘투표 참여와 기권’의 문제를 다룬다. 이 장은 유권자들이 어떻게 선택하는지의 문제가 아니라 왜 투표장에 가는지 혹은 왜 기권하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참여와 기권’이라는 질문에 대해 앞의 장들에서 소개된 각각의 이론이 서로 다른 해답을 제시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독자 대상
정치학, 특히 투표행태론, 선거제도론 등 관련 연구자 및 학부생
행정·외무·기술고시 등 1차 시험으로 PSAT를 보는 수험생
정당 및 정치인과 여론조사 관계자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머리글 = 5 서문 투표행태,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 전용주 = 11 1. 선거와 투표 = 12 2. 경쟁하는 이론들 = 14 3. 이 책의 구성 = 20 제1장 유권자의 사회경제적 배경과 투표행태: 사회학적 관점 / 임성학 = 22 1. 들어가며 = 23 2. 사회학적 접근법의 주요 이론적 내용과 방법론 = 25 3. 한국에서의 사회학적 접근법 적용 = 35 4. 나오며 = 40 제2장 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그리고 정당체제: 정치사회학적 관점 / 이동윤 = 45 1. 들어가며 = 45 2. 사회적 균열과 투표행태 = 48 3. 사회적 균열과 정당체제 = 54 4. 한국에서의 사회적 균열 연구사례 = 62 5. 나오며 = 67 제3장 정당일체감과 투표행태: 사회심리학적 관점 / 한정택 = 74 1. 들어가며 = 74 2. 사회심리학적 관점에서 본 정당일체감 = 76 3. 한국에서의 정당일체감 수용: 여야 성향 = 91 4. 나오며 = 96 제4장 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태: 경제학적 관점 / 엄기홍 = 100 1. 들어가며 = 100 2. 합리적 선택 이론과 투표행위: 이론과 적용 = 101 3. 한국에서의 합리적 선택 이론 적용 사례 = 119 4. 나오며 = 125 제5장 선거 이슈와 투표행태 / 최준영 = 128 1. 들어가며 = 128 2. 이슈 투표: 이론과 쟁점 = 130 3. 한국에서의 이슈 투표 연구 = 148 4. 나오며 = 151 제6장 인지구조와 투표행태,그리고 대중매체: 인지심리학적 관점 / 이소영 = 156 1. 들어가며 = 156 2. 인지심리학적 접근법의 주요 이론적 논의 = 159 3. 한국에서의 인지심리학적 접근법 적용 = 182 4. 나오며 = 184 제7장 선거제도와 투표행태: 신제도주의적 관점 / 조진만 = 188 1. 들어가며 = 189 2. 신제도주의와 유권자의 투표행태 = 192 3. 선거제도와 유권자의 투표행태 = 195 4. 한국의 선거제도와 유권자 투표행태 연구 = 215 5. 나오며 = 217 제8장 투표 참여와 기권 / 조성대 = 222 1. 들어가며 = 222 2. 민주주의와 선거 = 225 3. 투표 참여와 기권에 대한 이론과 논의 = 229 4. 한국에서의 투표 참여와 기권 연구 = 239 5. 나오며 = 252 참고문헌 = 260 찾아보기 = 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