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02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561197 | |
005 | 20100805033043 | |
007 | ta | |
008 | 090904s2009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42605354 | |
035 | ▼a (KERIS)BIB000011787360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82 | 0 4 | ▼a 372.21 ▼2 22 |
090 | ▼a 372.21 ▼b 2009z17 | |
100 | 1 | ▼a 지옥정 ▼0 AUTH(211009)26591 |
245 | 1 0 | ▼a 유아교육현장에서의 프로젝트 접근법 / ▼d 지옥정 지음. |
250 | ▼a 제3판 | |
260 | ▼a 서울 : ▼b 창지사 , ▼c 2009. | |
300 | ▼a 385 p. : ▼b 삽도 ; ▼c 26 cm. | |
504 | ▼a 참고문헌: p. 381-385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21 2009z17 | Accession No. 11155488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21 2009z17 | Accession No. 111554883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지옥정(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와 동 대학원에서 유아교육 전공으로 학사와 석사학위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교육과정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방문교수로 미국 일리노이 대학교에서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주체적으로 수업을 이끌어나가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학교에서 ‘지속가능성을 위한 유아교육(ECEfS)’을 연구했습니다. 최근에는 ‘프로젝트 접근법을 활용한 ECEfS’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환경교육’ 관련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지속가능발전교육 위원(2018~2020)을 역임하였고, 국가환경교육센터 운영위원(2019~현재)으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교통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펴내며 제Ⅰ장 프로젝트 접근법에 관한 이론적 고찰 = 9 1. 프로젝트 접근법의 역사적 배경 = 9 2.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및 특성 = 13 가. 프로젝트 접근법의 목적 = 14 나. 프로젝트 접근법의 특성 = 16 3. 프로젝트 접근법 적용의 필요성 = 20 제Ⅱ장 프로젝트 준비 단계 = 25 1. 주제 선정 = 26 가. 바람직한 주제 선정의 중요성 = 26 나. 바람직한 주제 선정 방법 = 27 다. 가능한 주제 영역 = 36 2. 주제망 구성 = 39 가. 주제망 구성의 의미 = 39 나. 주제망 구성 절차 = 40 3. 교육 목표 및 기본 어휘 선정 = 48 가. 교육 목표 = 48 나. 기본 어휘 선정 = 49 4. 학습 내용/활동 예상안 구성 = 51 가. 교육과정 영역별 학습 내용 예상안 구성 = 52 나. 활동 예상안 구성 = 52 5. 자원 목록 작성 및 준비 = 58 6. 환경 구성 = 63 7. 부모들에게 알리고 협조 요청 = 64 가. 자원 협조 = 64 나. 전문가로서 원 방문 = 67 다. 현장 방문 시 도움 = 68 라. 프로젝트 진행에 대한 의견 제안 = 68 마. 프로젝트 마무리 행사에 참여 = 71 제Ⅲ장 프로젝트 시작 단계 = 73 1. 유아의 이전 경험 표현 = 74 가. 의미 = 74 나. 방법 = 75 2. 교사와 유아의 공동 주제망 구성 = 81 가. 의미 = 81 나. 방법 = 82 3. 질문거리 찾기 = 100 가. 의미 = 100 나. 방법 = 101 제Ⅳ장 프로젝트 전개 단계 = 111 1. 현장 견학 전 활동 = 113 가. 질문에 대한 조사ㆍ탐구 활동 = 113 나. 구체적 목표에 따른 특별 활동 = 136 다. 교사 계획 활동 = 149 라. 활동 과정 및 결과물 공유 활동 = 156 2. 현장 견학 = 160 가. 현장 견학 전 준비 = 161 나. 현장 견학 = 166 3. 현장 견학 후 활동 = 173 가. 현장 견학에 기초한 표현 활동 = 174 나. 심화된 조사ㆍ탐구 활동 = 205 4. 전문가의 방문 = 207 제Ⅴ장 프로젝트 마무리 단계 = 211 1. 전시회 및 발표회의 의미 = 213 가. 유아 = 213 나. 교사 = 214 다. 부모나 지역사회 관계자 = 214 라. 다른 반 유아 = 214 2. 전시회 및 발표회의 방법 = 215 가. 준비 = 215 나. 개최 = 224 다. 마무리 = 227 제6장 프로젝트 평가 = 229 1. 평가의 목적 및 의미 = 230 가. 평가 유형에 따른 평가의 목적 및 의미 = 231 나. 평가 관련자에 따른 평가의 목적 및 의미 = 232 2. 평가 대상 = 236 3. 평가 방법 및 평가 정보 활용 = 236 가. 프로젝트 중 평가 = 238 나. 프로젝트 후 평가 = 253 제Ⅶ장 프로젝트 활동 사례 : '신발' = 273 1. 준비 단계 = 276 가. 주제망 구성 = 276 나. 교육과정 영역별 학습 내용 및 활동 예상안 작성 = 279 다. 교육 목표 및 기본 어휘 선정 = 285 라. 자원 목록 작성 = 287 마. 부모들에게 알리기 = 289 바. 환경 구성 = 291 2. 시작 단계 = 293 가. 이전 경험 표현 및 결과물 공유 = 293 나. 교사-유아 공동 주제망 구성하기 = 297 다. 질문거리 찾기와 조사ㆍ표현 활동 = 306 라. 교육 계획안과 일과 진행 = 309 마. 부모들과의 연계 = 320 3. 전개 단계 = 323 가. 활동의 연계 및 심화 과정 = 323 나. 활동 심화 과정에서 나타난 세부 사항 = 327 4. 마무리 단계 = 343 가. 준비 = 343 나. 시행 = 348 다. 마무리 = 350 제Ⅷ장 프로젝트 접근법의 효과적 적용을 위한 고려 = 351 1. 교육 계획안 작성 = 352 2. 하루 일과 운영 = 362 3. 프로젝트 각 단계별 교사의 역할 = 365 4. 프로젝트 지원 요소 = 368 가. 자원 공급 = 368 나. 환경 개선 = 369 다. 부모와의 협조 = 371 라. 지역사회와의 연계 = 374 5. 앞으로의 과제 = 376 참고 문헌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