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58c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560984 | |
005 | 20100805032927 | |
007 | ta | |
008 | 090922s2009 ggka b 001c kor | |
020 | ▼a 9788959663255 ▼g 93700 | |
035 | ▼a (KERIS)BIB000011781982 | |
040 | ▼a 241050 ▼c 241050 ▼d 211009 | |
082 | 0 4 | ▼a 400 ▼2 22 |
090 | ▼a 400 ▼b 2009z2 | |
100 | 1 | ▼a 김종현 |
245 | 1 0 | ▼a 언어의 이해 / ▼d 김종현 지음. |
260 | ▼a 파주 : ▼b 태학사 , ▼c 2009. | |
300 | ▼a 575 p. : ▼b 삽도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0 2009z2 | 등록번호 11155477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400 2009z2 | 등록번호 11155477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언어는 그 자체로 인간 본래의 특징을 드러낼 뿐 아니라 인간을 세계 내에서 독특하게 사유하는 존재로 만들어 준다. 그렇기 때문에 언어는 그 자체로 매혹적이다. 우리가 언어에 관해 좀 더 자세히 배우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우리는 언어 현상을 통해서 사람들의 사유를 이해할 수 있고, 사람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소통의 과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세상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할 수 있다.
이 책은 언어의 가치를 조명하고 언어 현상을 다양한 각도에서 설명하려는 일종의 언어학 개설서이다. 언어에 관한 지식을 배우는 일은 객관적으로 언어 현상 전반을 이해하는 일일 뿐 아니라 주관적으로 자신을 더 깊이 알아가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또 하나의 새로운 자기 탐색의 길이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목차
목차 1장 언어란 무엇인가 = 15 1.1. 언어에 대해 = 16 1.2. 언어에 관한 추측 = 17 1.3. 언어에 관해 알고 생각하기 = 19 1.4. 이 책의 순서 = 22 2장 단어의 구조 = 25 2.1. 단어 기억하기: 사회의 약속 = 26 2.2. 단어보다 작은 단위: 형태소 = 27 2.3. 단어 형성의 규칙 = 29 2.4. 굴절과 파생 = 32 2.5. 파생에 관해 더 알아보기 = 36 2.6. 한국어 파생어 = 41 2.7. 시간을 되돌리는 단어 만들기 = 44 2.8. 합성어 = 48 2.9. 단어 형성의 여러 가지 기제들 = 50 2.10. 새로운 단어 만들기 = 54 2.11. 사전 만들기, 사전 활용하기 = 56 3장 언어습득과 인지능력 = 61 3.1. 어린아이의 언어습득: 모국어 습득 = 62 3.1.1. 무엇을 습득하는가 = 62 3.1.2. 말소리의 습득 단계 = 64 3.1.3. 발달 시기별로 관찰하기 = 67 3.1.4. 규칙을 기억하는 능력: 문법 형태 = 70 3.1.5. 통사 구조 습득하기 = 73 3.1.6. 의미 획득과 어휘 발달 = 74 3.2. 언어 발달의 환경 = 77 3.3. 언어능력은 어디에: 두뇌의 기능 분화 = 79 3.4. 노엄 촘스키의 언어습득가설: 생득주의자 촘스키 = 84 3.5. 내재적 언어능력, 보편문법, 한계연령 = 88 3.6. 촘스키 이후: 인지과학의 성립 = 92 3.7. 제2언어습득: L1가 L2 사이에서 = 94 3.8. 제2언어습득의 주요 이론 = 97 4장 문장의 구조: 통사론 = 103 4.1. 문장에는 구조가 있다 = 104 4.2. 구절구조규칙 세우기 = 107 4.3. 구절구조규칙과 계층 구조 = 112 4.4. 하위범주화와 규칙의 집합 = 118 4.5. 변형, 변형문법, 생성문법 = 124 4.6. 엑스-바 규약과 통사적 개념 = 128 4.7. 통사적 제약 현상: 아일랜드, 재귀사 결속 = 132 4.8. 내재화 문법: 문법(1)과 문법(2) = 134 4.9. 생성주의 한계와 코퍼스 기법 = 137 5장 언어와 사회(1): 언어의 다양성 = 141 5.1. 언어변이: 분리되는 언어 = 142 5.2. 다언어 사회의 링구아 프랑카 = 146 5.3. 지구촌에서 영어 사용하는 지역 = 150 5.4. 변이체 영어들: 세계영어 = 152 5.5. 미국의 인종적 변이체 영어: 흑인영어 = 158 5.6. 언어 혼합: 피진과 크레올 = 164 5.7. 북아메리카 지역의 크레올 언어 = 167 5.8. 아프리카 언어와 변이체 영어 = 171 5.9. 미국의 방언 = 173 5.10. 소멸 위기에 놓인 언어들 = 176 5.11. 언어 소멸은 안타까운 일 = 180 5.12. 생태계와 언어인권 = 183 6장 언어와 사회(2): 언어의 정체성 = 189 6.1. 정체성을 드러내는 언어 = 190 6.2. 말투에 대한 태도: 지방색을 드러내는 악센트 = 193 6.3. 영국의 표준영어와 언어 의식 = 196 6.4. 사회 계층에 따른 언어변이: 뉴욕에서 = 201 6.5. 미국영어 표준화 = 205 6.6. 미국의 에보닉스 논쟁 = 208 6.7. 미국의 다언어 사회와 언어 정책 = 211 6.8. 힘 있는 국제어: 영어는 힘이 센가 = 216 6.9. 이중언어사용과 다이글로시아 = 218 6.10. 분리와 결집 그리고 미래 = 224 7장 언어의 의미: 의미론 = 229 7.1. 의미란 무엇인가 = 230 7.2. 의미론의 3분법: 어휘의미론, 문장의미론, 화용의미론 = 233 7.3. 개념구조로서의 의미: 단어 의미 = 235 7.4. 지시로서의 의미 = 242 7.5. 문장 구조와 논리 형식으로서의 의미 = 250 7.6. 범주 인식과 인지주의 = 253 7.7. 문화적 상대성과 어휘 경계 = 256 7.8. 맥락과 사용으로서의 의미 = 261 7.9. 화용론의 형성 = 262 8장 의미와 언어사용: 화용론과 담화 = 265 8.1. 말을 분석하는 데에는 단위가 있다 = 266 8.2. 맥락: 텍스트와 함께 하는 컨텍스트 = 268 8.3. 화용론적 추론: 함의, 함축, 전제 = 272 8.4. 맥락 해석의 예: 직시어 용법 = 276 8.5. 그라이스 화용론: 대화 격률과 함축 의미 = 278 8.6. 대화 격률의 체계와 역할 = 280 8.7. 대화 격률과 문화적 차이 = 288 8.8. 담화는 무엇인가 = 290 8.9. 텍스트 연구하기 = 292 8.10. 대화의 순서구조 = 295 8.11. 대화 순서와 문화적 차이 = 298 8.12. 대화 스타일과 남녀 차이 = 300 9장 말소리에 대해: 자음의 음성학 = 305 9.1. 소리의 세계 = 306 9.2. 조음 기관의 모습과 기능 = 306 9.3. 자음과 모음, 그리고 발음기호 = 309 9.4. 자음 분류의 기준 = 311 9.5. 조음 위치 = 314 9.6. 조음 방법 = 319 9.7. [엘]과 [알]을 구별하기 = 323 9.8. 덧대어 나는 음성적 특질: 유성성, 유기성 = 329 9.9. 발음기호에 익숙해지자 = 330 10장 모음의 음성학 = 333 10.1. 왜 모음이 중요한가 = 334 10.2. 모음 분류의 기준 = 335 10.3. 긴장모음과 이완모음의 구분 = 341 10.4. 기본 8모음의 조음적, 음향적 특성 = 343 10.5. 그밖에 중요 모음들의 조음적, 음향적 특성 = 350 10.6. 이중모음에 관해 = 356 10.7. 발음 연습을 실제로 해 보자 = 360 10.8. 발음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 362 10.9. 정확한 발음을 배워야 하는가 = 364 11장 말소리 연속체: 경계를 넘어서는 말소리 = 369 11.1. 편리한 허구와 음성적 사실 = 370 11.2. 동화 현상: 인접한 소리들 = 371 11.3. 초분절음: 길이, 크기, 높이 = 374 11.4. 초분절음(1)(길이): 음장 = 375 11.5. 초분절음(2)(크기): 강세 = 378 11.6. 초분절음(3)(높이): 억양과 성조 = 383 11.7. 음향음성학(1): 말소리의 물리적 특성 = 387 11.8. 음향음성학(2): 스펙트로그램 음성 정보 = 391 12장 말소리 체계 = 399 12.1. 음소란 무엇인가 = 400 12.2. 음소는 마음속 소리들이다 = 401 12.3. 음소는 겹침이 없는 소리이다 = 403 12.4. 음소는 의미 차이를 가져 온다: 최소대립쌍 = 408 12.5. 음소는 일찍부터 습득된다: 음성 지각 = 412 12.6. 음소 목록의 차이: 로마자 표기법의 예 = 413 12.7. 외래어 표기법과 음소 구별 = 417 12.8. 음운론: 변별자질 체계 = 419 12.9. 음운론적 규칙으로 표시하기 = 423 13장 시간 속에 흐르는 언어: 기원과 계통 = 429 13.1. 아주 오래 전 옛날에 = 431 13.2. 유럽 언어들의 계통 = 433 13.3. 게르만 제어와 로망스 제어의 분화 = 437 13.4. 계통을 찾는 방법 = 442 13.5. 계통을 뛰어넘는 언어 접촉: 차용 = 447 13.6. 세계의 언어들: 계통 분류 = 449 13.7. 언어는 왜 변화하며 언제 변화하는가 = 453 14장 영어의 역사 = 457 14.1. 연대기 구획하기 = 458 14.2. 기원전부터 고대영어 시대까지 = 459 14.3. 노먼 정복 이후 중세영어 시대: 1066년 이후 = 462 14.4. 후기 중세영어 시대: 1200∼1450년 = 464 14.5.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며: 1450∼1600년 = 469 14.6. 대모음추이와 셰익스피어 = 471 14.7. 중세 이후, 영어의 방언 차이 = 478 14.8. 항해의 시대, 영어의 차용어들 = 480 14.9. 현대영어로: 사전 편찬과 표준화 = 482 14.10. 전 세계로 확산된 영어 = 485 15장 한국어의 과거와 현재 = 489 15.1. 한국어의 기원: 알타이 계통설 = 490 15.2. 한국어 계통의 다른 가설: 반알타이 가설 = 495 15.3. 한국어의 내적 역사 = 498 15.4. 한국어에 들어온 차용어 = 501 15.5. 한국의 방언과 표준어 = 503 15.6. 방언으로 표현되는 지역 문화 = 505 15.7. 한국인의 옛날 문자생활: 차자 표기 = 509 15.8. 한국의 문자: 훈민정음 창제 = 512 15.9. 한글의 어제와 오늘: 민족 얼을 담는 그릇 = 516 15.10. 세계 속의 한국어 = 520 16장 문자의 세계, 세계의 문자 = 525 16.1. 문자의 매력 = 526 16.2. 고대 문자의 등장 = 529 16.3. 알파벳 문자: 페니키아, 그리스, 로마 = 533 16.4. 알파벳 문자들의 비교 = 537 16.5. 그리스 알파벳: 모음 글자로의 전환 = 541 16.6. 그리스와 로마에서 추가된 글자 = 544 16.7. 철자법과 키릴 문자 = 546 16.8. 다른 문화권에서: 마야 문자, 인도 문자, 몽고 문자 = 550 16.9. 동아시아 문자: 한자 문화권 = 555 16.10. 한글의 글꼴 = 559 색인 = 5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