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실기교육방법론

실기교육방법론 (Loan 1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정명화 김신곤 권기 김준규 신경숙
Title Statement
실기교육방법론 = Practical education methodology / 정명화 [외]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학지사 ,   2009.  
Physical Medium
358 p. : 삽도, 도표 ; 24 cm.
ISBN
9788963302089
General Note
공저자: 김신곤, 권기, 김준규, 신경숙  
부록수록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47-354)과 색인수록
000 00796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560979
005 20100805032922
007 ta
008 090910s2009 ulkad b 001c kor
020 ▼a 9788963302089 ▼g 93370
035 ▼a (KERIS)BIB000011789420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71.3 ▼2 22
090 ▼a 371.3 ▼b 2009z9
245 0 0 ▼a 실기교육방법론 = ▼x Practical education methodology / ▼d 정명화 [외]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9.
300 ▼a 358 p. : ▼b 삽도, 도표 ; ▼c 24 cm.
500 ▼a 공저자: 김신곤, 권기, 김준규, 신경숙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 347-354)과 색인수록
700 1 ▼a 정명화 ▼0 AUTH(211009)75656
700 1 ▼a 김신곤 ▼0 AUTH(211009)13315
700 1 ▼a 권기
700 1 ▼a 김준규
700 1 ▼a 신경숙 ▼0 AUTH(211009)129199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09z9 Accession No. 11155478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71.3 2009z9 Accession No. 11155478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앞으로의 실기교육은 학습자 개개인에게는 직업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직업 현장에서 작업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며, 나아가 국가나 사회가 필요로 하는 양질의 인적 자원을 개발하고 양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학교교육에서뿐만 아니라 평생교육의 차원에서도 다양한 분야의 직업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토대로 많은 교육 훈련 기관에서 다양한 형태의 직무연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사회의 변화와 그에 따른 일과 삶의 변화에 주목하면서, 학교와 직업 현장 혹은 사회교육기관에서 실기교육을 담당할 실기 교사에게 요구되는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집필되었다. 이를 통해서 전문 분야의 직업 세계에 대한 진취적·창의적 태도를 형성하고 나아가 앞으로 전개될 고도의 산업화·정보화 사회에서 직업인으로서 담당해야 할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질과 안목을 다질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정명화(지은이)

부산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 박사) 동의과학대학 유아교육과 교수

김신곤(지은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박사)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교육연구소 연구교수 현) 경남정보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인지발달중재학회 이사

권기(지은이)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교육학 박사) 현 동아대, 창원대, 신라대, 창신대 강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3
제1장 실기교육의 이해 = 13
 1. 실기교육의 성격 = 15
 2. 실기교육의 역사와 전망 = 18
  1) 실기교육의 역사 = 18
  2) 실기교육의 전망 = 22
 3. 실기교사의 역할과 자격 = 24
  1) 실기교사의 역할과 자질 = 24
  2) 실기교사의 자격 = 28
제2장 학습의 이해 = 31
 1. 학습의 의의 = 33
  1) 학습의 개념 정의 = 34
  2) 학습의 과정 = 40
 2. 학습 이론 = 43
  1) 자극-반응이론 = 43
  2) 인지이론 = 55
  3) 인본주의이론 = 62
  4) 구성주의이론 = 66
 3. 학습 이론의 적용 가능성 = 71
  1) 자극-반응이론에서 강조하는 원리 = 71
  2) 인지이론에서 강조하는 원리 = 72
  3) 인본주의이론에서 강조하는 원리 = 74
  4) 구성주의이론에서 강조하는 원리 = 75
 4. 학습 지도의 원리 = 75
  1) 개별화의 원리 = 75
  2) 자발성의 원리 = 77
  3) 사회화의 원리 = 77
  4) 통합성의 원리 = 78
  5) 직접 경험의 원리 = 79
제3장 학습자의 이해 = 81
 1. 학습자의 인지적 특성 이해 = 83
  1) 지능 = 83
  2) 기억 = 91
  3) 창의적 사고 = 95
  4) 학습양식 = 100
  5) 학습 전략 = 105
 2. 학습자의 정의적 특성 이해 = 114
  1) 학습 동기와 성취 동기 = 114
  2) 자아 존중감과 자기 효능감 = 118
제4장 수업의 이해 = 121
 1. 수업의 본질 = 123
  1) 수업의 개념 = 124
  2) 교수-학습 과정의 변천 = 126
 2. 수업 이론 = 130
  1) 글레이저의 수업 일반모형 = 130
  2)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 134
  3) 브루너의 발견학습이론 = 137
  4) 오스벨의 유의미 학습이론 = 141
  5) 가네의 수업이론 = 144
  6) 크론바흐의 적성-처치 상호작용모형 = 147
  7)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과정모형 = 149
 3. 좋은 수업 만들기 = 153
제5장 실기교육의 계획 = 155
 1. 수업 목표의 설정과 진술 = 157
  1) 수업 목표의 설정 = 157
  2) 수업 목표의 진술 = 159
  3) 교육 목표의 분류 = 162
 2. 학습 내용의 선정과 조직 = 168
  1) 학습 내용의 선정 = 168
  2) 학습 내용 선정의 원리 = 170
  3) 학습 내용의 조직 = 171
 3. 단원의 계획 = 174
제6장 학습지도안의 실제 = 175
 1. 학습지도안의 작성 = 177
  1) 학습지도안의 조건 = 177
  2) 학습지도안 작성 시의 유의점 = 179
  3) 학습지도안의 양식 = 180
 2. 교과별 학습지도안의 실례 = 184
제7장 실기교육 방법의 유형 = 209
 1. 강의법 = 211
  1) 강의법의 장점 = 211
  2) 강의법의 단점 = 212
  3) 강의법 수업 시 유의사항 = 212
 2. 발문법 = 213
  1) 발문의 기능 = 214
  2) 발문의 방법 = 214
 3. 토의법 = 216
  1) 원탁식 토의 = 216
  2) 배심토의 = 217
  3) 공개토의 = 219
  4) 강연식 토의 = 220
  5) 브레인스토밍 = 221
  6) 버즈그룹 = 222
 4. 자기주도적 학습 = 223
 5. 탐구학습 = 225
 6. 협동학습 = 226
  1) Jigsaw 모형 = 228
  2) 성취과제 분담모형 = 228
  3) 팀 경쟁학습모형 = 229
 7. 프로젝트 수업 = 230
  1) 프로젝트 수업의 의미 = 230
  2) 프로젝트 수업 과정 및 전략 = 231
제8장 수업 지도의 기술 = 233
 1. 수업 지도의 개요 = 235
 2. 교사 효율성 훈련의 주요 내용 = 236
  1) 관계 형성 = 237
  2) 의사소통 = 238
  3)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 = 239
 3. 교사 효율성 훈련 프로그램의 실제 = 241
  1) 효율적인 교사-학생 관계 모형 = 241
  2) 인간관계 유형과 의사소통 장애 반응 = 242
  3) 적극적 경청 = 245
  4) 적극적 경청의 활용과 나-메세지 = 247
 4. 수업의 접근 기술 = 248
  1) 강의식 수업 = 249
  2) 토의식 수업 = 251
  3) 실험형 수업 = 253
제9장 매체를 활용한 수업 지도 = 255
 1. 교수매체의 개념 및 기능 = 257
  1) 교수매체의 개념 = 257
  2) 교수매체의 기능 = 259
 2. 교수매체 이론 = 261
  1) 데일의 경험의 원추 = 261
  2) 호반의 교육과정 시각화 이론 = 263
  3) ASSURE 모형 = 264
 3. 교수매체 유형 = 267
  1) 컴퓨터 활용 매체 = 267
  2) 비전자 매체 = 272
  3) 전자 매체 = 273
 4. 매체 활용 수업 지도 방법 = 274
  1) 컴퓨터 활용 매체 = 274
  2) 비전자 매체 = 281
  3) 전자 매체 = 283
제10장 실기교육의 평가 = 287
 1. 교육평가의 개념과 목적 = 289
  1) 교육평가의 개념 = 289
  2) 교육평가의 목적 = 291
 2. 교육평가의 유형 = 293
  1)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 = 293
  2) 수업 과정에 따른 평가 = 296
  3) 목표 영역에 따른 평가 = 300
  4) 수행평가 = 303
 3. 교육평가의 절차 = 311
  1) 평가 목표의 설정 및 분석 = 312
  2) 평가 장면의 선정 = 312
  3) 평가 도구의 제작 및 선정 = 312
  4) 평가의 실시 및 결과 정리 = 313
  5) 평가 결과의 해석 및 활용 = 313
제11장 현장실습 및 산학협동교육 = 315
 1. 현장실습 = 317
  1) 현장실습의 개념 및 중요성 = 318
  2) 현장실습의 계획 = 320
 2. 안전교육 = 322
  1) 안전교육의 의의 = 322
  2) 안전교육의 방법 = 323
  3) 실습장에서의 안전수칙 = 324
  4) 안전을 위한 교사 안전점검 평가표 = 325
 3. 산학협동교육 = 327
  1) 산학협동의 의의 = 327
  2) 산학협동의 필요성 = 327
  3) 산학협동교육의 원리 = 328
부록 = 331
참고문헌 = 347
찾아보기 = 35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한국교육행정학회 (2023)
강진령 (2023)
Cohen, David K.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