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 비교연구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 비교연구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신 김기선 김기성 김학선 이성규
서명 / 저자사항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 비교연구 / 강신 [외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9.  
형태사항
xii, 431 p. ; 26 cm.
ISBN
9788957267042
일반주기
공저자: 김기선, 김기성, 김학선, 이성규.  
서지주기
참고문헌(p. 411-425), 색인수록
000 00769camccc200289 k 4500
001 000045560965
005 20100805032909
007 ta
008 090918s2009 ulk b 001c kor
020 ▼a 9788957267042 ▼g 93700
035 ▼a (KERIS)BIB000011799138
040 ▼a 211023 ▼c 211023 ▼d 211009
041 0 ▼a kor ▼a mon
082 0 4 ▼a 415 ▼2 22
090 ▼a 415 ▼b 2009z3
245 0 0 ▼a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문법 비교연구 / ▼d 강신 [외저].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9.
300 ▼a xii, 431 p. ; ▼c 26 cm.
500 ▼a 공저자: 김기선, 김기성, 김학선, 이성규.
504 ▼a 참고문헌(p. 411-425), 색인수록
700 1 ▼a 강신
700 1 ▼a 김기선 ▼0 AUTH(211009)89221
700 1 ▼a 김기성 ▼0 AUTH(211009)125077
700 1 ▼a 김학선
700 1 ▼a 이성규 ▼0 AUTH(211009)83306
945 ▼a KINS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9z3 등록번호 1115548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9z3 등록번호 1115548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5 2009z3 등록번호 1512822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9z3 등록번호 11155482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15 2009z3 등록번호 11155483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15 2009z3 등록번호 1512822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신(지은이)

<여행필수 몽골어 회화>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품사론
 1. 서구학자들의 몽골어 품사체계 = 2
 2. 몽골국내학자들의 몽골어 품사체계 = 9
 3. 내몽골학자들의 몽골어 품사체계 = 18
제2장 격어미
 1. 주격어미 '-Ø' = 21
 2. 속격어미 '-Η/-ИЙ Η/-Ъ◆U0406◆Н/-ИЙ /-Ъ◆U0406◆' = 26
 3. 대격어미 '-Г/-ИЙ Г/-Ъ◆U0406◆Г' = 32
 4. 여ㆍ처격어미 '-Д/-Т' = 38
 5. 탈격어미 '-aac⁴' = 45
 6. 도구격어미'-aap⁴' = 50
 7. 공동격머이 '-ТaЙ³' = 56
 8. 방향격어미 '-pyy²/-◆U0408◆◆U0406◆УУ²' = 60
제3장 양태첨사
 1. 현대몽골어의 양태첨사 = 64
 2. 양태첨사의 구조적 특성과 의미 = 65
 3. 첨사연쇄체의 상대적 내부순서 = 87
제4장 연결어미
 1. 대등연결어미 = 103
 2. 종속연결어미 = 111
제5장 종결어미
 1. 직설법어미 = 126
 2. 명령ㆍ원망법어미 = 138
제6부 부사
 1. 부사의 형태론적 특징 = 169
 2. 부사의 통사론적 특징 = 179
제7장 후치사
 1. 현대몽골어 후치사의 특징 = 190
 2. 격어미와 후치사 = 191
 3. 형동사어미와 후치사 = 195
 4.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후치사 비교 = 195
제8장 수사
 1. 기본수사 = 203
 2. 집합수사 = 210
 3. 분배수사 = 211
 4. 분수사 = 212
 5. 순서수사 = 213
 6. 어림수사 = 214
 7. 반복수사 = 215
제9장 시제와 상
 1.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시제 = 221
 2. 현대몽골어와 한국어의 상 = 230
제10장 서법
 1. 의향법 = 246
 2. 양태법 = 268
제11장 부정법
 1. 현대몽골어 부정법 = 282
 2. 현대한국어 부정법 = 290
제12장 조어법
 1. 파생법 = 304
 2. 합성법 = 322
제13장 태
 1. 사동태 = 334
 2. 피동태 = 349
제14장 접속문
 1. 대등접속문 = 369
 2. 종속접속문 = 379
제15장 내포문
 1. 명사절 내포문 = 398
 2. 관형사절 내포문 = 404
참고문헌 = 411
찾아보기 = 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