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일·가족·젠더 :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일·가족·젠더 :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Loan 6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강이수, 편
Title Statement
일·가족·젠더 :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 강이수 엮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09  
Physical Medium
527 p. ; 24 cm
Series Statement
민주사회정책연구총서 ;13
ISBN
9788946051621
General Note
부록: 조사방법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수록
000 00983camcc2200289 c 4500
001 000045559821
005 20110419211402
007 ta
008 090914s2009 ggk b 000c kor
020 ▼a 9788946051621 ▼g 93330
035 ▼a (KERIS)BIB000011793502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31.409519 ▼2 22
085 ▼a 331.40953 ▼2 DDCK
090 ▼a 331.40953 ▼b 2009
245 0 0 ▼a 일·가족·젠더 : ▼b 한국의 산업화와 일-가족 딜레마 / ▼d 강이수 엮음
246 1 1 ▼a Work·family·gender : ▼b industrialization and work-family dilemma of Korea
260 ▼a 파주 : ▼b 한울아카데미, ▼c 2009
300 ▼a 527 p. ; ▼c 24 cm
440 0 0 ▼a 민주사회정책연구총서 ; ▼v 13
440 0 0 ▼a 한울아카데미 ; ▼v 1162
500 ▼a 부록: 조사방법
504 ▼a 참고문헌 수록
536 ▼a 이 저서는 2005년도 정부재원(교육인적자원부 학술연구조성비) 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700 1 ▼a 강이수, ▼e▼0 AUTH(211009)36224
945 ▼a KINS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115538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115538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212079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512814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512935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1155384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1155384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2120793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5128147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31.40953 2009 Accession No. 1512935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공존이 어려운 두 영역의 공존을 위한 모색
여성의 일-가족 경험을 통해 본 한국사회 다시 쓰기


현대사회에서 일과 가족은 개인의 삶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두 영역이다. 그러나 산업화 이후 일과 가족은 균형과 조화보다는 갈등과 문제의 영역으로 떠올랐다. 이 책은 이러한 현실 속에서 살고 있는 여성 연구자들이 한국사회 여성의 경험을 탐구하고 그 대안을 모색한 결과의 산물이다.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가 급증하면서 일-가족 양립 지원을 위한 정책이 확대되어왔지만, 현실에서의 효과는 매우 제한적이고 이러한 정책은 여전히 여성의 문제로만 인식되고 있다. 이 책은 한국사회 일-가족 관계의 역사적 변화와 현실에 대한 탐구를 통해 일-가족을 둘러싼 젠더 규범을 새로이 형성하고 성평등을 추구하기 위한 연구서이다.

기획 의도 및 출간 의의
오늘날 일-가족 양립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는 있지만, 그것이 누구의 문제인가(주체), 어떤 사회정책적 접근이 필요한가(방법), 해결방향은 어떤 것인가(목표)라는 점에서 각 사회는 다른 경로를 밟아왔다. 이 책은 한국사회 여성의 일-가족 경험에 대한 이론적 탐색과 현실에 대한 질적?양적 분석을 포괄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1960년대 산업화 이후 한국사회에서 ‘일’과 ‘가족’이라는 두 영역이 어떤 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제기된 주요 쟁점은 무엇이었는지를 젠더 관점에서 고찰하고 분석하는 것에 목표를 둔 것이다.
이 책은 일-가족 문제를 취업여성들이 겪는 심리적 긴장과 역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일-가족 양립의 문제로 인식하는 관점을 넘어서, 한 사회의 생산과 재생산의 문제,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이 조직되는 체계의 문제로 접근하고 있으며, 또한 일-가족 문제가 여성만의 역할이나 부담이 아니라 가족 내 남녀 모두의 책임이자 권리라는 문제의식을 담고 있다.
이 책은 한국사회의 일-가족 영역관계의 변화를 탐색하고 시기 구분을 제시하며, 일-가족 문제를 취업여성만이 아니라 비취업여성인 전업주부와 취업남성의 문제로 확대하여 여성의 ‘일’에 대한 확대된 시각을 견지하고 있다. 아울러 일-가족 문제의 계층적 차이, 세대별 차이, 젠더 경계 등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한국사회 일-가족-젠더의 복합적 관계를 본격적으로 탐구하고 있다. 이 같은 객관적 진단과 분석은 앞으로 우리 사회가 일과 가족의 균형을 유지하고 평등한 젠더관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사회 전반의 구조와 규범, 정책 측면에서 어떤 변화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과 전망을 그려나가는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내용 소개
이 책은 첫째, 일-가족의 문제가 여성 문제일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성평등과 균형 잡힌 일-삶을 꾸리려는 남녀 모두의 문제라는 인식에 기초하고 있으며, 둘째, 한국사회 일-가족 관계의 역사적 맥락을 분석하여 그 특성에 따른 시기 구분을 시도하고 있다. 그리하여 1960년대 이후의 일-가족 관계를 일-가족 영역 미분화시기(1960~1970년대 초), 일-가족 영역 분리가 진전되고 일-가족 갈등이 가시화되는 시기(1980년대), 일-가족 영역 분리가 심화되고 일-가족 양립 요구가 전면화되는 시기(1990년대 이후)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로 여성이 경험하는 일-가족 문제를 특성화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가족을 둘러싼 여성 노동경험의 다양한 계층적?세대적 차이 그리고 젠더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제1부에서는 일-가족 문제에 대한 이론적 지형과 담론, 산업화 이후 일-가족 영역 관계의 전반적인 변화를 담론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에서 개괄하고 있다. 우선 신경아(1장)는 일-가족에 대한 기존 이론의 동향과 연구 관점의 문제점을 개괄했다. 강이수(2장)는 일-가족 관계의 변화를 산업화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와 연관 지어 분석하면서 시기별 구분의 객관적 근거를 밝히고, 다시 각 시기별로 여성의 취업 추이와 일-가족 관계의 특징 및 실태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분석했다. 또한 신경아(3장)는 기본적으로 동일한 시기 구분의 틀 위에서 한국사회에서 일-가족을 둘러싼 담론이 어떻게 등장하고 변화했는지를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면밀히 분석했다.
제2부에서는 ‘젠더화된 노동/젠더화된 돌봄’이라는 주제로 다양한 직종의 여성들이 일-가족 문제를 어떻게 경험하고 대처해왔는지를 주로 분석했다. 김혜경(4장)은 취업여성들의 경험과 적응전략을 ‘일-가족 접합의 역사와 친족관계의 변화’라는 주제하에 구술사례를 토대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여성들은 일-가족 양립을 위해 가부장제에 도전하기보다는 타협하고 순응했다. 박기남(5장)은 전문직 여성의 일-가족 경험을 집중적으로 분석했다. 여성들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된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직 여성은 남성중심적 조직의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 남성보다 더 일중심적으로 열심히 일하지만, 여전히 일-가족 양립과 관련한 제약과 차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중심적 조직에서 전문직 여성은 사회적으로 저출산의 위기가 확대되는 이 시점에도 임신 시기를 조절하고 눈치를 보며 출산휴가를 사용하는 등 여전히 차별적인 상황에 놓여 있다. 이순미·김혜경(6장)은 여성의 취업이 증대하지만 왜 가정 내에서는 여전히 불균등한 가사노동 분담이 지속되는지에 대해, 특히 많은 여성들이 ‘불균등한’ 가사노동 분담을 ‘공평한’ 것으로 인지하는 불균등(inequalities)과 불공평(inequities)의 괴리 현상에 주목했다.
제3부는 주로 통계조사를 기반으로 여성들의 일-가족 갈등 경험과 차이를 분석했다. 우선 강이수(7장)는 여성의 취업에 대한 태도 변화, 성 역할과 일-가족 정체성, 이상적인 가족 모델, 성역할에 대한 태도 등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중심으로 여성들의 일-가족 문제에 대한 인식과 지향을 분석하고 있다. 마경희(8장)는 부부간 유급노동과 무급노동의 분배방식 차이에 근거하여 맞벌이가구 젠더체제를 경험적으로 유형화하고 각 가구 유형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여성의 일-삶 경험의 차이를 분석했다. 부인과 남편 각각의 절대적 유/무급 노동시간과 부부간 상대적 분담정도 등 6개의 군집변수에 기초하여 군집분석(cluster analysis)을 시행한 결과 잠재적 2인양육자, 수정남성부양자, 잠재적 보편적부양자 등 세 가지 유형의 군집을 추출했고, 이 같은 유형에 따라 일-삶 경험의 차이와 직면하는 문제 상황이 무엇인지 분석했다. 다음으로 박기남(9장)은 취업여성의 일-가족 양립을 위한 시간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생애주기를 반영한 연령 계층, 성역할 규범 유형에 따라 시간 갈등의 원인을 어떻게 다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제4부에서는 일-가족 지형변화와 관련하여 국가, 기업, 노조, 여성운동의 측면에서 문제인식과 대응전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했다. 김둘순(10장)은 기존에 거의 분석이 되지 않았던 일-가족과 관련한 기업의 대응과 정책변화에 대해 연구했다. K방직을 중심으로 산업화 이후 일-가족 관련 문제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따졌는데, 기업은 철저하게 일 중심의 기업 문화와 정책 속에서 일-가족 문제를 외면했으며 최근에 들어 부분적인 유인책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경희?류임량(11장)은 일-가족 문제와 관련한 여성운동의 노력과 과제 등에 대해 살펴보며, 여성단체들이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해왔던 이슈들을 분석했다. 또한 최근 여성계의 관심을 집중시킨 직장-가정 양립 지원정책의 실효성과 확대 요구의 인식론적 배경을 살펴보면서 여성단체 활동가들이 지적하는 관련 제도의 문제점과 정책 방안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고 여성의 노동경험이 정책적 요구로 담론화되는 과정에 대해 연구했다. 장미경(12장)은 일-가족과 관련한 국가정책의 변화를 연구했다. 산업화 초기 여성 문제에 전혀 관심이 없던 국가는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 여성정책에 개입하고 일-가족과 관련된 몇 개의 정책을 제시하나 그 개입 방향은 전체적으로 남성중심적·자본주의적 특성을 가졌다. 1990년대 중반을 넘어서면서 일-가족 갈등과 관련된 모성 휴가, 보육정책, 기타 돌봄 노동을 지원하는 정책들이 나왔으나 일-가족 양립을 위한 국가정책의 지원은 여전히 미흡하다. 김미경은 일-가족 양립에 대한 대안 모색의 일환으로 현재 주로 모성보호 또는 여성친화정책의 틀에서 진행되는 일-가족 양립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확대된 틀로서 남녀 모두에게 적용되는 ‘새로운 노동’ 개념으로서의 ‘좋은 노동’에 대한 유럽의 논의가 갖는 한국적 시사점을 검토한다.

독자 대상
-여성 전문 연구자 및 대학원생
-사회학 전공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강이수(지은이)

이화여대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교수로 일하고 있다. 여성 노동, 여성문화, 여성정책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가족과 친밀성의 사회학》(공저, 2014), 《경계의 여성들》(공저, 2013) 《한국 근현대 여성 노동》(2011), 《일·가족·젠더》(공저, 2009), 《새 여성학 강의》(공저, 동녘, 2005), 《한국현대여성사》(공저, 한울, 2004) 등이 있다. 그 밖에 〈여성주의 연구를 돌아보다: 여성운동, 노동, 가족 연구를 중심으로〉(2013), 〈여성의 일: 가족에 대한 태도와 ‘선택’의 문제〉(2009), 〈90년대 여성운동과 ‘연대’ 그리고 정체성의 문제〉(2003)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펴내면서 = 3 
서론: 여성의 일-가족 경험을 통해 본 한국사회 다시 쓰기 / 강이수 = 11 
제1부 일-가족 문제의 지형과 변화 
 1장 일-가족 양립논의의 현황과 쟁점 / 신경아 = 31 
  1. 머리말
  2. 일-가족 양립논의의 사회적 맥락
  3. 일-가족 문제를 해석하는 관점
  4. 용어의 문제
  5. 임금노동과 돌봄노동의 불균형
  6. 일-가족 문제의 해결을 위한 실천방향
  7. 맺음말
 2장 노동시장의 변화와 일-가족 관계 / 강이수  = 52
  1. 머리말
  2. 노동시장과 일-가족 영역관계 변화
  3. 산업화 초기 여성노동시장과 경게 없는 일과 가족: 1960∼1970년대 후반
  4. 기혼여성의 임금노동자화와 일-가족 분리의 진전: 1980∼1990년대 중반
  5. 여성노동의 보편화와 일-가족 갈등의 심화: 1990년대 중반∼현재
  6. 맺음말
 3장 산업화 이후 일-가족 문제의 담론적 지형과 변화 / 신경아 = 83 
  1. 머리말
  2. 연구방법
  3. 일-가족 문제에 관한 이론적 고찰
  4. 산업화 시기 일-가족 문제의 담론적 지형과 역사적 변화
  5. 맺음말
제2부 젠더화된 노동/젠더화된 돌봄 
 4장 일-가족 접합의 역사와 친족관계의 변화 / 김혜경 = 129 
  1. 머리말: 일-가족 접합에 대한 역사적 연구의 필요성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3. 산업화 이래 주요 시기별 여성취업과 가족에 대한 통계적 추이
  4. 일-가족의 양립을 위한 친족구성전략의 시기별 특징
  5. 맺음말
 5장 전문직 여성의 갈등과 좌절, 그리고 적응전략 :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 박기남 = 172 
  1. 머리말
  2. 연구방법 및 대상
  3. 변하지 않는 직장, 남성화된 여성
  4. 더디게 변하는 남성, 가정 내 돌봄전략
  5. 직종의 여성화와 좌절경험, 그러나 양립은 대세
  6. 맺음말
 6장 '불균등한' 가사분담에 대한 '공평한' 인지구조 / 이순미 ; 김혜경 = 220 
  1. 머리말
  2. 가사노동공평성 인지 영향요인
  3. 연구방법: 분석방법과 조사도구의 구성
  4. 분석과 논의
  5. 맺음말
제3부 일-가족 갈등경험의 차이 
 7장 일-가족 가치관과 구조적으로 제약된 '선택' / 강이수 = 255 
  1. 머리말
  2. 여성의 '선택'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조사방법과 조사도구의 특성
  4. 성역할과 일-가족 정체성 비교
  5. 일-가족 정체성 성역할분리의 조정
  6. 맺음말
 8장 고용조건과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시간갈등 / 박기남 = 295 
  1. 머리말
  2. 선행연구 검토 및 이론적 논의
  3. 연구대상 및 분석방법
  4. 기혼취업여성의 일-가족 시간갈등 분석결과
  5. 맺음말
 9장 맞벌이가구 젠더체제 유형과 여성의 일-삶 경험 / 마경희 = 330 
  1. 머리말
  2. 선행연구 검토: 맞벌이가구 유형론
  3. 연구방법
  4. 맞벌이가구 젠더체제 유형화와 정의
  5. 젠더체제 유형별 가구특성과 여성의 일-삶 경험
  6. 맺음말
제4부 일-가족-삶과 정책 
 10장 기업의 여성인력 활용과 일-가족 정책변화 : K방직의 사례를 중심으로 / 김둘순 = 365 
  1. 머리말
  2. 기업의 일-가족 관련 정책변화
  3. K방직의 여성인력 활용과 일-가족 정책변화
  4. K방직 노동조합 및 여성노동자의 일-가족 갈등 대응방식
  5. 맺음말
 11장 여성운동과 일-가족 양립 제도화 / 김경희 ; 류임량 = 410 
  1. 머리말
  2. 여성단체의 일-가족 양립요구의 성격
  3. 일-가족 양립의 제도화를 위한 여성단체의 활동
  4. 맺음말
 12장 취업여성의 일-가족 갈등과 국가 / 장미경 = 442 
  1. 머리말
  2. 이론적 논의와 분석틀
  3. 갈등조절정책의 필요성 인식 부재: 해방 이후∼1950년대
  4. 개발국가의 성장과 갈등조절정책 부재: 1960∼1980년대 중반
  5. 일-가족 갈등조절정책 수립과 확대: 1987년∼현재
  6. 맺음말
 13장 일-가족 양립정책과 모성보호정책 : '노동사회'를 넘어 '좋은 노동사회'를 위하여 / 김미경 = 480 
  1. 머리말: 일-가족 양립정책으로서 모성보호정책의 문제
  2. 남성부양자ㆍ2인소득자모델에서 성인노동자모델로
  3. 노동사회의 미래: '노동사회'에서 '좋은 노동사회'로
  4.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좋은 노동'
부록: 조사방법 = 505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최일선 (2022)
김병숙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