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 머리말 = 1
머리말 = 3
제1편 정부와 행정
제1장 정부의 의의 = 11
제1절 사회와 국가 그리고 정부 = 11
제2절 정부의 기능 = 16
제2장 행정의 의의 = 27
제1절 행정의 개념 = 27
제2절 행정의 과정 = 30
제3절 행정의 기능 = 31
제2편 공공성과 공익
제3장 공공성과 공공문제 = 37
제1절 공공성 = 37
제2절 공공문제 = 39
제4장 공공재 = 41
제1절 공공재의 의의 = 41
제2절 공공재의 특성과 유형 = 42
제3절 공공서비스의 적정규모 = 48
제5장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와 공직자 윤리 = 61
제1절 행정이 추구하는 가치 = 61
제2절 행정의 본질적 가치로서의 공익과 형평성 그리고 정의 = 65
제3절 공공윤리와 공직자 윤리 = 67
제3편 변화하는 환경과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
제6장 변화하는 행정환경 = 77
제1절 민주화 = 78
제2절 정보화 = 80
제3절 세계화 = 82
제4절 지방화 = 84
제5절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 = 86
제7장 관료제와 탈관료제 모형 = 87
제1절 전통적 관료제 = 87
제2절 탈관료제 모형 = 91
제3절 관료제모형에 대한 재성찰 = 103
제4절 관료제와 민주주의 - 정치ㆍ행정 관계의 재성찰 = 112
제8장 뉴거버넌스론 = 129
제1절 뉴거버넌스의 의의와 특징 = 129
제2절 국정관리체계의 변화과정과 뉴거버넌스의 전망 = 132
제9장 신공공관리론 = 135
제1절 신공공관리의 의의 = 135
제2절 신공공관리의 행정개혁 전략 = 137
제3절 신공공관리론에 대한 비판 = 139
제10장 포스트모더니티 행정이론 = 143
제1절 포스트모더니즘의 의의와 지적 특성 = 143
제2절 파머의 반관료제론 = 146
제3절 폭스와 밀러의 담론이론 = 148
제4절 포스트모더니티 행정이론에 대한 종합적 논의 = 150
제4편 정부ㆍ시장 관계와 정부의 경제적 존재이유
제11장 정부와 시장의 관계 = 155
제1절 정부ㆍ시장 관계의 변화 = 155
제2절 시장실패와 정부개입의 논거 = 159
제12장 정부의 경제적 존재이유 = 179
제1절 시장경제의 조건 = 179
제2절 정부의 경제적 역할 = 182
제3절 시장경제의 정신 = 192
제5편 세계화ㆍ정보화ㆍ민주화의 행정적 함의
제13장 세계화와 행정 = 197
제1절 세계화의 의의 = 197
제2절 세계화의 행정적 함의 = 200
제14장 정보화와 행정 = 209
제1절 지식정보사회의 의의 = 209
제2절 지식정보화의 행정적 함의 = 220
제3절 행정정보화와 전자정부 = 225
제15장 민주화와 행정 = 231
제1절 시민사회의 등장과 민주화 = 231
제2절 시민사회 등장의 행정적 함의 = 236
제3절 정부와 NGO = 239
제6편 제3의 길 및 미래 행정의 모색
제16장 제3의 길의 모색 = 253
제1절 정부실패와 시장실패의 경험 = 253
제2절 제3의 길 - 사회민주주의와 신자유주의의 변증법적 통합 = 255
제17장 미래 행정의 모색 = 263
제1절 행정 환경의 변화와 도전 = 263
제2절 미래 정부의 과제와 모습 = 265
참고문헌 = 271
찾아보기 = 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