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 출항(出航) = 5
제1부 개화의 시대 = 13
01 기독교와 선교사 = 15
02 수원, 남양, 그리고 활초리 = 21
03 개화 1번지 - 서울 정동(貞洞) = 25
04 음악과의 만남 = 30
05 찬송가에서 창가(唱歌)로 = 34
06 운명을 바꾼 바이올린 = 38
07 15살 소년, 무대에 서다 = 44
08 학업… 결혼… 연주의 세계로 = 48
09 난파음악 탄생의 서막 = 52
10 새문안교회와 세브란스 = 57
제2부 시련의 시대 = 61
01 첫 번째 일본유학 = 63
02 21살의 전문잡지 발행인 = 68
03 3ㆍ1운동이 남긴 후유증 = 72
04 가곡〈봉선화〉의 탄생 = 78
05 민족의 노래〈봉선화〉 = 83
06 창가에서 가곡으로 = 88
07 '꿈의 무대'와 '현실의 무대' = 92
08 기자, 소설가 그리고 연주가 = 98
09 음악교육의 산실 '연악회(硏樂會)' = 104
10 '굿바이 소설' - 분서(焚書)의 이유 = 108
11 조선음악계 현실 비판 = 115
12 저널리즘의 새 지평『음악계』 = 119
13 음악 가족 '홍난파 패밀리' = 123
제3부 도전의 시대 = 129
01 두 번째 일본유학 = 131
02 윤심덕과〈사(死)의 찬미〉 = 136
03 음악의 오아시스 '동경고등음악학원' = 141
04〈고향의 봄〉과 동요(童謠)의 시대 = 146
05 꿈의 결실『조선동요백곡집』 = 151
06「음악과 계급의식」논쟁 = 157
07 조선에서 '음악가'란 무엇인가 = 163
08 난파가 사랑한 세 여성 = 169
09 세상에서 가장 아픈 이별 = 175
10 서른 세 살의 도전 - 미국유학 = 180
11 운명의 수레바퀴에 오르다 = 186
제4부 좌절의 시대 = 191
01 귀국 선물 - 가곡과 실내악 = 193
02 '1인 5역' 제2의 전성기 = 198
03 막 오른 '홍파동 시대' = 204
04 신민요ㆍ유행가ㆍ영화음악 = 209
05 난파와 재즈음악 = 214
06 이 땅에서 조선인으로 산다는 것 = 219
07 지나사변과 '수양동우회' 사건 = 224
08 39살의 악몽 - 사상전향 = 229
09 방송관현악단에 바친 열정 = 234
10 난파의 음악백과〈음악만필〉 = 239
11 마지막 불꽃 '주피터 교향곡' = 244
12 멍에인가 불명예훈장인가 = 249
13 암흑 속에 피는 꽃 = 255
에필로그 - 귀항(歸航) = 261
부록 = 265
홍난파 연보(年譜) = 267
홍난파 작품(평론ㆍ수필) = 272
〈삼광〉창간의 변 = 273
음악이란 何오 = 275
악단의 뒤에서 음악회를 주최하는 諸氏에게 = 278
악단의 뒤에서 음악회를 주최하는 諸氏에게(속) = 282
시끄러운 세상 = 286
음악과 대중 = 288
음악과 계급의식 = 293
음악의 계급의식에 대하여 - 홍난파씨의 논을 반받함 = 297
음악의 계급의식에 대하여 - 신고송씨의 반박에 답함 = 301
유모레스크 = 306
음악가로서 본 세인(世人)의 청각 = 310
3천여 명의 박수소리 - 폴란드 기근 구제 음악회 = 313
모과수 30통 = 315
목멱산하 고토(木覓山下 故土)에서 내 일생을 보내리라 = 319
고별의 노래(ALOHA OE!) = 320
정원(庭園)의 실패 - 나의 1년 총결산 = 335
째즈 음악에 대하여 = 336
분서(焚書)의 이유 = 340
양악조선(洋樂朝鮮)의 요람시대 = 342
지휘자의 감명 = 346
첫 무대의 기억 = 348
암정(岩庭) = 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