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59273 | |
005 | 20170207103559 | |
007 | ta | |
008 | 070405s2007 ulk 000ce kor | |
020 | ▼a 9788931005325 | |
035 | ▼a (KERIS)BIB000010867643 | |
040 | ▼a 211040 ▼c 211040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844.3 ▼2 22 |
085 | ▼a 844.3 ▼2 DDCK | |
090 | ▼a 844.3 ▼b M761 몽g | |
100 | 1 | ▼a Montaigne, Michel de, ▼d 1533-1592 ▼0 AUTH(211009)48885 |
245 | 1 0 | ▼a 몽테뉴 수상록 / ▼d 미셸 드 몽테뉴 지음 ; ▼e 손우성 옮김 |
246 | 1 9 | ▼a Les essais |
246 | 3 9 | ▼a Essais |
250 | ▼a 제2판 | |
260 | ▼a 서울 : ▼b 문예출판사, ▼c 2007 | |
300 | ▼a 269 p. ; ▼c 21 cm | |
440 | 0 0 | ▼a 문예세계문학선 ; ▼v 54 |
700 | 1 | ▼a 손우성, ▼e 역 |
900 | 1 0 | ▼a 몽테뉴, 미셸 드, ▼e 저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844.3 M761 몽g | Accession No. 11155355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미셸 에켐 드 몽테뉴(지은이)
16세기 프랑스의 대표적 사상가이자 모럴리스트. ‘에세이’라는 글쓰기 장르의 원조라 할 《수상록》을 남겼다. 1533년 프랑스 서남부 도르도뉴에서 태어났다. 교육열이 높은 아버지 덕분에 어려서부터 가정교사에게 맡겨져 라틴어를 모국어처럼 익혔고 6세 때 보르도 인근의 귀엔 학교에 입학해 중학 과정을 마쳤다. 16세 때부터 툴루즈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1554년경 페리괴 조세법원의 법관에 이어 1557년 보르도 고등법원의 법관으로 일했다. 1559년 《자발적 복종》을 쓴 철학자이자 법률가 에티엔 드 라보에티를 만나 둘도 없는 우정을 나누었으나 1563년 페스트로 인해 그를 잃는 아픔을 겪었다. 1568년 사망한 아버지 피에르의 뒤를 이어 몽테뉴 영주로서 영지를 상속받았고, 이듬해 스페인 신학자이자 철학자 레몽 드 스봉의 《자연신학 또는 피조물의 책》을 프랑스어로 번역해 발간했다. 아버지를 잃은 지 얼마 안 되어 남동생 아르노가 운동 경기 중에 입은 부상으로 요절한데다 몽테뉴 자신이 낙마 사고로 죽을 뻔했다. 1570년에는 첫아이가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이렇듯 죽음을 연이어 경험했을 뿐만 아니라 1562년 이래 종교 전쟁의 참화에 휩싸인 프랑스에서 살던 몽테뉴는 언제 어떤 위험에 처할지, 언제 죽을지 모르는 불안 속에서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이 고민하고 성찰하게 되었다. 공직 생활에 부담과 환멸을 느껴 1570년 37세의 나이로 보르도 고등법원 법관직을 사임하고 몽테뉴 성의 서재에 은둔하며 독서와 글쓰기에 몰두했다. 1571년 집필을 시작한 《수상록》의 초판은 1580년 보르도에서 출간되었다. 그해 신장결석을 치료할 겸 여행길에 올라 스위스, 독일을 거쳐 이탈리아에서 오래 머물다 1581년 말에 몽테뉴 성으로 돌아오는데, 이 경험을 기록한 일기는 몽테뉴 사후에 발견되어 1774년 책으로 출간되었다. 이후 보르도 시장으로 선출되어 일했으며 두 번째 임기에는 종교 전쟁과 페스트로 인해 피난을 떠나는 등 고초를 겪었다. 그동안 가필과 수정을 거듭해온 《수상록》의 3권 107장에 이르는 신판을 1588년 간행했고, 1590년에는 관직을 맡아달라는 앙리 4세의 요청을 건강을 이유로 정중히 거절했다. 1592년 자택에서 중증 후두염으로 숨을 거두었다.
손우성(옮긴이)
충북 청원에서 태어나다. 일본 법정대학불문학과를 졸업, 아테네프랑세에서 프랑스문학 전공. 이하윤.김진섭.이선근.정인섭 등과 외국어문학연구회 결성 <해외문학> 창간동인 활동. 서울대 교수, 성균관대 교수, 성균관대문리대 학장, 성균관대 대학원장, 한국불어불문학회 회장을 지냈다. 프랑스 문화훈장, 프랑스 공적훈장, 한국펜클럽번역문학상을 받다. 학술원 회원, 평론집《비정통사상》 옮긴책 부르제《제자》, 사르뜨르《존재와 무》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인간의 조건 = 9 영광과 명성에 대하여 = 13 자만심에 대하여 = 23 우리의 욕망은 장애 때문에 더한다 = 38 잔인함은 비겁함에서 나온다 = 48 레이몽 스봉의 변해(辯解) = 53 독서에 대하여 = 136 서재 생활에 대하여 = 141 대화에 대하여 = 146 의향에 대하여 = 153 결혼과 사랑에 대하여 = 158 질병에 대하여 = 171 어느 원칙으로 우리의 행위를 조절할 것인가 = 180 권세의 옹색함에 대하여 = 185 정치에 대하여 = 192 난세와 재앙에 처하여 = 200 당파심에 대하여 = 208 취미에 대하여 = 211 여행에 대하여 = 226 세간살이에 대하여 = 237 허상에 대하여 = 247 죽음에 대하여 = 251 옮긴이의 말 =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