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교육과정 (3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영천 , 1963-.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 Curriculum development / 김영천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아카데미프레스 ,   2009.  
형태사항
2책 : 삽도 ; 26 cm.
기타표제
1918-2009년 학교교육과정 연구의 역사적 항해
ISBN
9788991517660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656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58162
005 20100805030913
007 ta
008 090918s2009 ulka b 000c kor
020 ▼a 9788991517660 ▼g 93370(v.1)
035 ▼a (KERIS)BIB000011799504
040 ▼a 241018 ▼c 241018 ▼d 211009
082 0 4 ▼a 375 ▼2 22
090 ▼a 375 ▼b 2009z6
100 1 ▼a 김영천 , ▼d 1963-. ▼0 AUTH(211009)91108
245 1 0 ▼a 교육과정 = ▼x Curriculum development / ▼d 김영천 지음.
246 0 3 ▼a 1918-2009년 학교교육과정 연구의 역사적 항해
260 ▼a 서울 : ▼b 아카데미프레스 , ▼c 2009.
300 ▼a 2책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9z6 1 등록번호 1115525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9z6 1 등록번호 11155258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김영천 교수가 지난 14년 동안 진주교육대학교와 전국의 교육과정과 이론 초청강의, 교사연수, 타 대학교 대학원 수업 등에서 다루었던 “교육과정”의 핵심적 내용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책으로 출판하였다. 교사가 될 교직과목의 학생들이 2010년부터 수강하게 될 <교육과정> 강좌를 목적으로 집필한 이 책은 교육과정 설계자 또는 교육과정 전문가로서 미래의 교사가 알아야 하는 이론적인, 실제적인. 방법적인 지식들을 포괄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의 공부를 통하여 학생들은 교육과정이 탐구영역으로 시작된 1918년에서부터 2000년 이후까지 “교육과정”과 관련되어 알아야 하는 이론적이면서 실제적인 다양한 지식들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패러다임 관점에서, 그리고 간학문적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질 것이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영천(지은이)

한양대학교 교육학과와 대학원 교육학과를 졸업하였다. 1995년 미국 The Ohio State University에서 교육과정 이론과 질적연구방법론 전공으로 철학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1998년 이래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과 수업, 교육평가, 질적연구를 가르치고 있다. 지난 20여년에 걸쳐서 약 40권 이상의 저서와 50편 이상의 논문을 출간하였다. 2016년 한국의 학생들이 어떻게 학교교육과 그림자교육(사교육)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약 7년간 연구하여 맥밀란 출판사를 통하여 『Shadow Education and the Curriuclum and Culture of Schooling in South Korea』 제목으로 출간하였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교육과정 개념 그리고 그 다양함: Overview 
 Franklin Bobbitt = 2 
 교육과정의 기원 = 3 
 교육과정의 모더니즘적 개념 = 7 
 교육과정의 다양한 수준 = 15 
  | Bobbitt에 대한 추억 | = 19 
  William F. Pinar = 20 
 교육과정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개념 = 21 
  | Pinar에 대한 추억 | = 23 
  Patti Lather = 34 
 종합 및 결론 = 37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37 
 참고문헌 = 38 
  | Lather에 대한 추억 | = 39 
제2장 첫 교육과정 개발 모형: Tyler Rationale 
 Ralph W. Tyler = 42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모형 = 43 
 Tyler의 교육과정 개발 절차 = 44 
 Tyler의 교육과정과 수업의 기본원리의 의의 = 58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59 
 참고문헌 = 59 
  | Tyler에 대한 추억 | = 60 
제3장 Tyler 모형의 승화: Taba model 
 Hilda Taba = 62 
 Taba의 교육과정 개발의 7단계 = 63 
 각 단계의 설명 = 65 
 종합 및 결론 = 87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88 
 참고문헌 = 88 
제4장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일반적 모형: Saylor와 Alexander model 
 교육과정의 정의 = 90 
 교육과정 체제의 제 요소 = 91 
 Saylor와 Alexander 교육과정 계획의 특징 = 94 
 교육과정 개발의 단계 = 96 
 종합 및 결론 = 115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116 
 참고문헌 = 116 
제5장 교육목표 이론화의 첫 시작: Bloom의 Taxonomy 
 Benjamin S. Bloom = 120 
 교육목표분류학 = 121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의 영향 = 146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149 
 참고문헌 = 150 
제6장 신교육목표분류학: Anderson과 Marzano의 New Taxonomy 
 Robert Marzano = 152 
 Anderson의 교육목표분류학 개정 = 153 
 Marzano의 신교육목표분류학 = 180 
 종합 및 결론 = 214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214 
 참고문헌 = 215 
  | Marzano에 대한 추억 | = 216 
제7장 교육과정 설계: Various approaches 
 교육과정 설계의 개념 = 220 
 교육과정 설계에 대한 다양한 입장 = 222 
 교육과정 설계의 네 가지 유형 = 227 
  David S. Snedden = 250 
  George S. Counts = 262 
제8장 숙의 교육과정 개발: Deliberation 
 Joseph Schwab = 276 
 숙의의 개념 = 277 
 숙의의 특징과 성격 = 282 
 숙의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 = 287 
 숙의가 적용된 실제 연구 = 293 
 성공적인 숙의를 위한 유의점 = 297 
 종합 및 결론 = 299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300 
 참고문헌 = 301 
제9장 교사실천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Action research 
 Kenneth Zeichner = 304 
 실행연구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 = 305 
 실행연구의 현황 = 309 
 실행연구 방법 = 312 
 실행연구에 기초한 교육과정 개발의 예 = 326 
 종합 및 결론 = 332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334 
 참고문헌 = 334 
제10장 교사의 개인적ㆍ실천적 지식과 교육과정 개발: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Jean Clandinin = 338 
 교사의 실천적 지식 연구 = 339 
 실천적 지식의 연구 동향 = 347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모형 = 354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359 
 참고문헌 = 359 
제11장 교사의 삶과 전문성 발달: Teacher's life world 
 교육과정 연구에서의 생애사 방법의 확산과 그 가치 = 364 
 교사의 삶에 대한 생애사적 접근: 연구동향과 사례 = 369 
 별이 빛나는 밤 1과 2: 새롭게 생각해 보는 한국 교사의 삶 = 379 
 종합 및 결론 = 386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387 
 참고문헌 = 387 
제12장 교육과정의 어두운 그림자: Hidden curriculum 
 Michael W. Apple = 394 
 학교 생활과 잠재적 교육과정 = 396 
  | Jackson에 대한 추억 | = 400 
  Philip Jackson  = 402 
 우리나라 초등학교의 잠재적 교육과정 = 408 
 여러분이 해야 할 선택: 얻는 것과 잃는 것 = 432 
 민주적이고 인간적인 초등학교의 학습문화를 지향하며 = 438 
 참고문헌  = 443 
  | Apple에 대한 추억 | = 446 
제13장 구미교사들이 이야기하는 좋은 수업방법: Best practice 
 좋은 수업의 배경 및 원리 = 449 
 각 교과목에서의 수업 원리 = 455 
 좋은 수업을 위한 일곱 가지 구조 = 476 
 종합 및 결론 = 489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490 
 참고문헌 = 491 
제14장 수행과 평가 중심의 교육과정 설계: Backward design 
 Grant Wiggins = 494 
 Grant Wiggins와 백워드 설계 = 495 
 이해로서의 교육과정 = 499 
 백워드 설계의 단계적 과정 = 509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 사례 = 518 
 종합 및 결론 = 521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522 
 참고문헌 = 522 
  | Wiggins에 대한 추억 | = 523 
제15장 개념 중심 교육과정 설계: Concept-based design 
 개념 중심 교육과정의 이해 = 526 
 개념 중심 교육과정의 단원 설계 양식 = 546 
 개념 중심 교육과정의 예 = 548 
제16장 인지과학이 알려주는 교수-학습의 비밀: Brain-based design 
 Eric Jensen = 556 
 뇌기반 학습의 출현 = 557 
 뇌기반 학습의 개념 = 558 
 뇌의 학습 원리 = 563 
 뇌기반 학습에 영향을 주는 요소 = 567 
 뇌기반 학습의 이론과 적용 = 576 
 종합 및 결론 = 582 
 학습활동과 토의주제 = 583 
 참고문헌 = 584 
제17장 다중지능이론과 교육과정 설계: Multiple intelligences design 
 Howard Gardner = 588 
 지능에 대한 전통적인 개념 = 589 
 다중지능이론의 이해 = 590 
 다중지능이론이 적용된 교육 모델 = 597 
 다중지능이론과 교육과정 = 601 
 다중지능이론과 교수-학습 방법 = 605 
 다중지능이론과 학습자 평가 = 609 
 종합 및 결론 = 615 
 참고문헌 = 615 
  | Gardner에 대한 추억 | = 618 
제18장 교육과정 평가: Curriculum quality control 
 Robert E. Stake = 622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623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변화 = 626 
 교육과정 평가의 목적과 역할 = 631 
 교육과정 평가에서 고려해야 하는 상황과 요인 = 637 
 교육과정 평가 모형 = 641 
 종합 및 결론 = 655 
 참고문헌 = 656 
  Egon G. Guba = 658 
제19장 좋은 교사를 평가하는 준거: National professional teaching standards 
 교사 전문성 기준의 등장배경 = 660 
 미국의 전문 교사의 다섯 가지 기준 = 663 
 주 수준의 교사 전문성 기준 : 캘리포니아와 노스 캐롤라이나의 기준 = 676 
 종합 및 결론 = 682 
 참고문헌 = 68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