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57622 | |
005 | 20170706152447 | |
007 | ta | |
008 | 090921s2009 ggka 000c kor | |
020 | ▼a 9788950920005 ▼g 13320 | |
035 | ▼a (KERIS)BIB000011788877 | |
040 | ▼a 211006 ▼c 211006 ▼d 211009 | |
041 | 1 | ▼a kor ▼h eng |
082 | 0 4 | ▼a 006.312 ▼2 22 |
085 | ▼a 006.312 ▼2 DDCK | |
090 | ▼a 006.312 ▼b 2009 | |
100 | 1 | ▼a Tancer, Bill ▼0 AUTH(211009)97681 |
245 | 1 0 | ▼a 검색의 경제학 : ▼b 세상을 보는 또 하나의 프레임 / ▼d 빌 탠서 지음 ; ▼e 김원옥 옮김 |
246 | 1 9 | ▼a Click : ▼b what millions of people are doing online and why it matters |
260 | ▼a 파주 : ▼b 21세기북스, ▼c 2009 | |
300 | ▼a 261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KI신서 ; ▼v 2050 |
650 | 0 | ▼a Internet users ▼z United States ▼x Psychology |
650 | 0 | ▼a Web usage mining |
700 | 1 | ▼a 김원옥, ▼e 역 ▼0 AUTH(211009)7978 |
900 | 1 0 | ▼a 탠서, 빌, ▼e 저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6.312 2009 | 등록번호 1115521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6.312 2009 | 등록번호 1115521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006.312 2009 | 등록번호 1512812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6.312 2009 | 등록번호 11155216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006.312 2009 | 등록번호 11155216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 청구기호 006.312 2009 | 등록번호 151281248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인터넷 조사기관이자 시장분석 회사로 잘 알려진 '히트와이즈'의 글로벌 리서치 책임자인 저자 빌 탠서가 기존의 인터넷 비즈니스 도서에서 볼 수 없었던 검색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에 관한 지식을 전달한다. 또한 이 책을 통해 온라인 사이트 분야의 트렌드와 웹 세상의 얼리어답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본문은 모두 2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 저자는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들이 말해주는 매혹적인 특징들을 탐색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우리의 습관과 우리 자신을 설명해주는 인터넷 행태에 대해서 알려준다. 2부에서는 온라인 경쟁정보 분야의 특징인 전술적 응용과 이론적인 용도 등을 저자의 경험을 통해 설명한다.
“무심코 검색창에 쓴 검색 키워드가
우리의 생각, 심리, 행동,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이 책의 1부에서 저자는 오랜 기간 축적된 데이터들이 말해주는 매혹적인 특징들을 탐색하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우리의 습관과 우리 자신을 설명해주는 인터넷 행태에 대해서 알려준다. 이는 우리가 검색 엔진에 쏟아내는 질문과 그 질문들이 우리에 대해 알려주는 사실을 일련의 데이터 결과로 설명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롭다. 2부에서는 온라인 경쟁정보 분야의 특징인 전술적 응용과 이론적인 용도 등을 저자의 경험을 통해 설명한다. 그의 데이터를 통한 통찰력은 자료 분석과 결과 도출에만 머무르지 않고 혁신을 일으키고 있는 최신 인터넷 경향을 규명하면서, 검색 데이터에 잠재되어 있는 놀라운 가능성을 탐색한다.
- 인터넷 조사기관이자 시장분석 회사로 잘 알려진 ‘히트와이즈’의 글로벌 리서치 책임자 빌 탠서 저
- 기존의 인터넷 비즈니스 도서에서 볼 수 없었던 검색 데이터의 분석과 활용에 관한 지식을 전달하며, 온라인 사이트 분야의 트렌드와 웹 세상의 얼리어답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음
클릭하는 순간, 새로운 세상이 탄생한다!
우리의 일과 일상에 대한 상상 이상의 통찰!
10대 소녀들이 학년말 무도회용 드레스를 검색하는 때는 1년 중 언제일까?
추수 감사절과 9.11 사태 이후 엄청난 급증세를 보인 검색어는?
전통적인 시장조사와 온라인 검색 데이터를 통한 결과는 왜 서로 다른 것일까?
우리가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에 인터넷은 과연 어떤 영향을 주고 있을까? 이 책에서 저자는 우리가 어떻게 웹을 사용하고 사이트를 탐색하며 정보를 검색하는지, 그리고 그 모든 것이 우리 자신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지에 관한 적나라한 진실을 알려주기 위해 우리가 몰랐던 온라인 정보의 거대한 데이터베이스 속으로 우리를 인도한다.
놀랍고도 실제적인 통찰로 무장한 저자는 우리가 정보를 흡수하는 방식을 인터넷이 바꾸고 있는 경위와 그러한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삶과 일에서 우리에게 얼마나 이로울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클릭》은 다른 책에서는 결코 볼 수 없었던 방식으로 새로운 소비자 세대의 흐름을 분석하면서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하는 방법과, 그러한 경향들이 인터넷 그 자체만큼이나 광대한 시장조사 방법들을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온라인 세상이 오프라인 세상을 움직이는 현실 속에서 이 새로운 패러다임을 이해하는 것은 곧 성공의 핵심이다. 결국 우리가 무엇을 클릭하는가가 우리가 누구인지를 말해주니 말이다.
검색 엔진이 기존의 여론 조사를, 뉴스 사이트가 신문을 대체하는 온라인 세상 속에 우리는 오늘도 우리 자신에 대한 정보의 흔적들을 남기고 있다.
* 포르노와 카지노 그리고 푸른색 알약: 성인용 카테고리에 대한 우리의 집착은 온라인 행동으로 쉽게 드러난다. 하지만 전통적인 조사방법으로는 이용자의 감춰진 모습을 발견할 수 없을 것이다.
* 누구에게 표를 던질까: 투표자는 후보들의 정책이나 득표 기록, 성실성 등을 보고 판단하는 것일까? 검색어 데이터는 한 후보의 이미지와 성향에 대해 많은 것을 알려준다. 이런 정보를 이용해 비즈니스에서 브랜드를 측정하는 방식에 혁신을 일으키는 길을 생각해 본다.
* 1월의 학년말 무도회 현상: ‘무도회 드레스’에 대한 검색량이 1월 첫째 주에 급증한 이유는 무엇일까? 인터넷 검색은 계절성과 연관된 우리의 직감이 틀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장의 비효율성이 발생한다는 사실을 알려 준다. 우리는 소비자로부터 많은 정보를 배워야 하는데, 이는 집단적인 검색 패턴을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하다.
* 다이어트와 잘못된 희망 증후군: 다이어트에 관한 검색은 1주일 이상 이어지지 못한다. 이처럼 새해에 변화된 모습을 꿈꾸는 우리의 결심은 놀랄 정도로 그 기간이 짧다. 아무런 노력 없이 자기 자신을 발전시킬 수 있다는 황당한 주장은 잘못된 희망이라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 유명인 숭배 증후군: 인터넷, 특히 유명인 관련 소식을 집중적으로 다루는 블로그들 덕분에 우리는 유명인의 생활에 대해 전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속속들이 잘 알게 되었으며, 유명인에 대한 집착은 점차 가속화되고 있다.
* 공포심에 관한 상위 검색어 목록: 사람들 앞에서 말하는 데 대한 두려움에서 신체 일부분인 팔꿈치에 대한 두려움에 이르기까지 우리는 1,000개도 넘는 공포에 관한 정보를 검색한다. 검색엔진은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 묻기 어려운 질문을 허심탄회하게 물어볼 수 있는, 하지만 우리를 판단하지 않는 새로운 질문의 장이 되고 있다.
* 정보를 밀고 당기는 웹 2.0의 주체들: 80 대 20의 법칙은 과연 구시대 유물인가? 웹 2.0을 둘러싼 모든 과대선전 속에서 소비자 생성 매체를 적극적으로 만들어 내는 인터넷 사용자들은 극소수이다. 이는 새로운 ‘1대 9대 90의 법칙’을 낳고 있다.
* 텔레비전 더하기 인터넷은 트래픽이다: 요즘 인터넷 행태는 우리가 텔레비전을 통해 보는 것에 대해 온라인으로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드러낸다. 텔레비전과 인터넷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면서 우리는 무엇이 이러한 상호작용을 이끌어내는지 그 원인과 과정을 알게 된다.
* 리얼리티 프로그램 결과 맞히기: 검색량이 곧 인기도와 직결 되는 걸까? 인터넷 사용자들의 검색 방법을 바탕으로 리얼리티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투표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을까? 실시간에 가까운 인터넷 데이터는 기존의 주요 경제 지표들보다 시간적인 측면에서 우월성을 갖는다.
* 시장 장악의 열쇠, 얼리어답터: 신기술은 혁신가와 초기수용자로부터 시작해 다양한 성격의 집단으로 이루어진 사회를 통해 확산된다. 사람들의 인터넷 행태를 관찰하다 보면 초기 수용자가 누구이고, 그들이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 웹 2.0이 만드는 차세대 스타: 록밴드의 공식 웹사이트를 방문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소셜 네트워크나 검색엔진 사이트에서 온 경우가 많다. 이 2개의 트래픽 출처를 도표화해 보면 시각적으로 ‘티핑 포인트’를 이해할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빌 탠서(지은이)
「TV위크」가 뽑은 ‘주목할 만한 12인’ 중 한 명이다. 익스페리언Experian 계열사로 온라인 경쟁정보Competitive Intelligence를 제공하는 히트와이즈의 글로벌 리서치 총괄담당으로, 인터넷의 용도에 관한 광대한 데이터와 그것을 적절하게 분석할 수 있는 도구를 보유하고 있다. 「타임닷컴」에 매주 ‘조사의 과학The Science of Search’을 기고하는 것 외에, 각종 매체와 텔레비전과 라디오에도 다수 출연한 바 있다.
김원옥(옮긴이)
경북 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대기업을 거쳐 KBS, 동아방송에서 구성작가로 일하면서 인간과 사회, 경제, 문화 등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그는 현재 국제 사회와 경제 · 경영, 인문 · 교양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번역가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푸드쇼크>를 번역하면서 자본주의가 재편한 세계 식량체제가 우리의 먹거리를 얼마나 병들게 하는지 알게 되었다. 옮긴 책으로는 <뉴 골든 에이지>, <버블 세계화>, <스시 이코노미>, <실패하는 사람들의 10가지 습관>, <나이 들수록 멋지게 사는 여자>, <햄버거 이야기> 등이 있다.

목차
목차 시작하는 글 : 검색 데이터로 세상을 읽는다 = 8 1부 인터넷 검색어 뒤에 숨은 새로운 세상 1장 포르노와 카지노 그리고 푸른색 알약 = 23 시장조사로는 파악할 수 없는 포르노 사이트 방문자 = 26 포르노 사이트를 즐기는 습관 = 31 소셜 네트워크 대 포르노 = 36 온라인 도박 대 스포츠북 = 40 2장 누구에게 표를 던질까 = 47 검색 데이터가 알려 주는 브랜드 효과 = 51 클릭스트림 데이터로 판단하기 = 58 3장 1월의 학년말 무도회 현상 = 67 오프라인을 바꾸는 온라인 = 80 학년말 무도회 드레스, 국경을 건너다 = 86 4장 다이어트와 잘못된 희망 신드롬 = 92 온라인에 드러나는 다이어트 심리 = 96 폐암과는 무관한 1월의 금연 욕구 = 105 5장 유명인 숭배 증후군 = 112 쇼킹할수록 조회수가 오르다 = 117 가십을 좇는 유저 = 123 6장 공포심에 관한 상위 검색어 목록 = 129 실패에 대한 두려움이 낳은 검색어 '∼하는 법' = 140 인간 내면으로 파고든 고성능의 검색엔진 = 146 7장 정보를 밀고 당기는 웹 2.0의 주체들 = 152 '1대 9대 90' 법칙 = 157 1,000명의 친구와 소통하다 = 162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정보 = 166 2부 오프라인을 움직이는 온라인 검색엔진 8장 텔레비전 더하기 인터넷은 트래픽이다 = 179 검색을 정제하는 진화하는 웹 유저 = 181 강력한 공짜 미끼가 보내온 트래픽 = 191 9장 리얼리티 프로그램 결과 맞히기 = 196 실업률과 기존 주택판매액 = 205 옳은 데이터에도 함정은 있다 = 214 10장 시장 장악의 열쇠, 얼리어답터 = 216 유튜브의 부상 뒤에 숨은 데이터 단서 = 219 얼리어답터가 꿈꾸는 새로운 소셜 네트워크 패러다임 = 224 온라인 트렌드에 힘을 싣는 초기다수자 = 231 11장 웹 2.0이 만드는 차세대 스타 = 234 마이스페이스, 판도를 바꾸다 = 236 온라인에서 살고 거래하는 초연결자들 = 239 트래픽으로 티핑 포인트 찾기 = 243 맺는 글 : 무엇을 검색하는가가 우리를 말해 준다 = 250 주석 = 256 용어 설명 = 2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