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684camcc2200241 c 4500 | |
001 | 000045557599 | |
005 | 20121203110643 | |
007 | ta | |
008 | 091017s2009 ulk b 000c kor | |
020 | ▼a 9788959061259 ▼g 03300 | |
035 | ▼a (KERIS)BIB000011812415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82 | 0 4 | ▼a 001.3 ▼2 22 |
085 | ▼a 001.3 ▼2 DDCK | |
090 | ▼a 001.3 ▼b 2009z14 | |
100 | 1 | ▼a 박민영 ▼0 AUTH(211009)36320 |
245 | 1 0 | ▼a 인문학, 세상을 읽다 / ▼d 박민영 지음 |
260 | ▼a 서울 : ▼b 인물과사상사, ▼c 2009 | |
300 | ▼a 352 p. ; ▼c 23 cm | |
500 | ▼a 인문으로 읽는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 |
504 | ▼a 참고문헌: p. 346-352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115519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115574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310358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512822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1155197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Large Size)/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11557479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Closed Stacks4/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3103583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 Call Number 001.3 2009z14 | Accession No. 15128228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주요한 문제들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을 거시적이고 근본적인 관점에서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를 담고 있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우리가 접하는 사회 현상들의 저변에 흐르는 역사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를 추적하려 했다.
말하자면, 이 책의 콘셉트는 '인문의 눈으로 본 사회 현상'쯤 될 것이다. 또한, 이 책은 '관계적 관점'에서 기초해 쓰였다. '정치면 정치, 경제면 경제' 하는 식으로 한 영역에 국한된 분석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분야의 문제들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규명하려 했다." (- 머리말에서)
현대 사회는 왜 위기인가?
언제부터인가 위기라는 말은 일상용어가 된 듯하다. 그러나 모두들 위기를 말하지만 진짜 위기인지, 왜 위기인지에 대한 얘기가 없다. 과연 지금이 위기일까? 저자는 인간이 갖는 유서 깊은 착각 중의 하나가 자신이 살아가는 시대가 가장 심각한 위기 혹은 대전환기라 생각하는 것이라고 지적한다. 과거나 미래는 개인에게 고통과 불안을 주지 않기 때문이란다. 그럼에도 우리 시대가 전방위적으로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고 말한다. 왜 우리 시대는 위기인 걸까? 저자는 이성의 도구화, 전문화, 사회의 대규모화, 민주주의 위기, 경제적 위기, 환경의 위기가 사회 전체적인 위기를 불러왔다고 분석한다.
우리는 왜 열심히 일하는데도 살기 힘든가?
사회 현상의 이면을 분석하다
매일 아침 텔레비전과 신문은 새로운 소식들을 실어 나른다. 주가는 하루 사이에 급등하거나 급락하고 수시로 실시되는 여론조사에 정치인들과 지지자들은 일희일비한다. 그러나 그뿐이다. 늘 뉴스는 사건과 사고, 현안만 전할 뿐 더 깊은 내막을 보여주지 않는다. 분석이라고 할 수도 없는 단편적인 스케치들만 가득하다. 경제위기, 경제위기 하는데 왜 경제는 위기인 걸까? 정치인을 바꾸었는데도 왜 정치판은 늘 그 모양일까? 우리는 왜 열심히 일하는데도 살기가 힘들까? 노인들은 왜 툭하면 화를 낼까? 휴대폰만 열면, 컴퓨터만 켜면 언제 어디서든 누구와 만날 수 있는데 현대인은 왜 더욱 외로워할까?
이 책은 이런 물음에 대한 답을 담았다. 오늘날 우리 사회가 직면한 정치?경제?사회?문화의 주요한 문제들이 무엇인지, 그 문제들이 왜 발생했는지, 거시적이고 근본적인 관점에서는 그 문제들을 어떻게 바라볼 수 있는지를 통찰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서 우리가 접하는 사회 현상들의 저변에 흐르는 역사적이고 철학적인 의미들을 추적하려 했다.
정치.경제.사회.문화 가로질러 사유하기
실용주의, 세계화, 신자유주의, 노마디즘, 여론, 선거 등 현대 사회의 주요 담론은 사람들의 현실을 옥죄고 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만 거론될 뿐이다. 이 책은 이들 주요 담론들의 개념을 정리하고 현실에서는 어떤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지, 우리 삶에는 어떤 영향들을 미치고 있는지 모색하고 있다. 아울러 정치나 사회, 문화 등 모든 부분을 좌우하는 경제 권력의 거대한 힘을 밝혀내고, 일국을 뛰어넘어 세계 경제를 쥐락펴락하는 금융자본주의의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회문제도 결코 단순하지가 않다. 저자는 이 책을 ‘관계적 관점’에 기초해 썼다. ‘정치면 정치, 경제면 경제’ 하는 식으로 한 영역에 국한된 분석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각 분야의 문제들이 어떻게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를 규명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박민영(지은이)
인문 작가, 문화평론가. 대학에서 문학운동을 했으며, 졸업 후에는 인문 서적을 내는 출판사에서 편집장을 했다. 전업 작가가 된 후에는 《경향신문》, 《인물과사상》, 《교육과사색》, 《고교독서평설》 등에 사회 이슈, 인문 교양에 관한 글을 주로 썼다. 중·고교 교과서와 참고서에 다수의 글이 실렸다. ‘한겨레교육’에서 정기적으로 강의하고 있으며, 글쓰기와 독서 토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독립지성in세미나(독세나)’ 대표로 있다. 저서로 『글을 쓰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반기업 인문학』, 『이 정도 개념은 알아야 사회를 논하지!』, 『그러니까 이게, 사회라고요?』, 『학교는 민주주의를 가르치지 않는다』, 『낭만의 소멸』, 『인문내공』, 『이즘』, 『즐거움의 가치사전』, 『책 읽는 책』 등이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 4 chapter 1 인문으로 읽는 정치 정치는 경제를 살릴 수 있는가 = 15 누구를 위한, 무엇을 위한 '작은 정부'인가 = 28 선거는 국민의 뜻을 반영하는가 = 43 역사 밖에서 역사 보기 = 59 chapter 2 인문으로 읽는 경제 금융자본주의가 아니라 야바위자본주의이다 = 77 세계 경제 대공황이 오는가 = 97 열심히 일하는 당신이 살기 힘든 이유 = 113 자유무역은 어떻게 사회적 재앙을 낳는가 = 131 부동산, 사회문제를 야기하는 판도라의 상자 = 148 chapter 3 인문으로 읽는 사회 여론, 새빨간 거짓 혹은 모호한 진실 = 175 실용주의, 그 허무한 어젠다에 대한 성찰 = 189 노마디즘, 사회적 비판의식을 무력화하는 이데올로기 = 203 노인들의 현재 그리고 당신의 미래 = 222 청소년 문제, 사회적 병리 현상의 축소판 = 240 chapter 4 인문으로 읽는 문화 전문화 시대, 우리의 삶도 전문화될 수 있는가 = 271 디지털은 어떻게 영혼을 잠식하는가 = 283 광고, 당신을 지배하는 빅 브라더 = 296 문제는 규모야, 이 바보야 = 314 우울한 사회, 절망과 소외의 정신병리학 = 330 참고문헌 = 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