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고려사』 형법지 역주

『고려사』 형법지 역주 (Loan 30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채웅석 蔡雄錫
Title Statement
『고려사』 형법지 역주 / 채웅석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신서원 ,   2009.  
Physical Medium
640 p. ; 24 cm.
ISBN
9788979400908
General Note
색인수록  
한자서명: 『高麗史』 刑法志 譯註  
000 00646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557580
005 20100805030503
007 ta
008 090923s2009 ulk 001c kor
020 ▼a 9788979400908
035 ▼a (KERIS)BIB000011800733
040 ▼a 222001 ▼c 222001 ▼d 211009
082 0 4 ▼a 345.519 ▼2 22
085 ▼a 345.53 ▼2 DDCK
090 ▼a 345.53 ▼b 2009z21
100 1 ▼a 채웅석 ▼g 蔡雄錫
245 1 0 ▼a 『고려사』 형법지 역주 / ▼d 채웅석 저.
260 ▼a 서울 : ▼b 신서원 , ▼c 2009.
300 ▼a 640 p. ; ▼c 24 cm.
500 ▼a 색인수록
500 ▼a 한자서명: 『高麗史』 刑法志 譯註
945 ▼a KINS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5.53 2009z21 Accession No. 111552005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Law Library(Preservation Stacks/B2)/ Call Number 345.53 2009z21 Accession No. 111556286 Availability In loan Due Date 2023-10-18 Make a Reservation Service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고려사’ 형법지는 고려시대 형법을 전하는 유일한 사료집이다. 무편년기사(無編年記事)들은 구체적인 형법의 모습을 보여주고, 편년기사들은 형정의 모습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준다. 지금까지 이 사료들을 이용하여 고려율에 끼친 당.송률의 영향, 형법체계와 운영상의 특징, 형법에 반영된 윤리관 등의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고려사’형법지는 고려시대 형법을 전하는 유일한 사료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무편년기사無編年記事들은 구체적인 형법의 모습을 보여주고, 편년기사들은 형정의 모습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준다. 지금까지 그 사료들을 이용하여 고려율에 끼친 당.송률의 영향, 형법체계와 운영상의 특징, 형법에 반영된 윤리관 등의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아직도 많은 문제들이 잘 해명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가장 큰 원인은 무편년기사의 사료적 성격이 불분명하고 고려율의 전모를 보여주지 못한다는 제약 때문이다. 오기誤記로 보이는 부분도 꽤 많다. 따라서 사료비판 없이 형법지 사료를 자구字句 그대로 이용한다면 결과적으로 오도된 결론을 낼 수 있다.
기전체로 편찬된 ‘고려사’에서 형법지는 형법에 대한 기본적인 사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공식公式?금령禁令 등의 편목을 포함하고 있어서 법제사.사회사 등에 대한 기록도 풍부하게 담고 있다. 그리고 역대 정사正史의 형법지들과는 다르게 법령의 편린들을 보여주는 무편년기사無編年記事와 각 시기별 형정刑政관계 사료들을 연대기적으로 보여주는 편년기사編年記事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무편년기사는 고려가 당.송률을 수용하여 율을 만들면서도 자체적 필요에 의해서 수정한 조문들이 많았다는 것을 보여주고 또 고려의 독자적인 형률들도 담고 있어서 일찍부터 좋은 연구소재가 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채웅석(지은이)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현재 가톨릭대학교 국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고려시대의 정치사와 사회사 등을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고려사 형법지 역주』(신서원, 2009), 『고려의 다양한 삶의 양식과 통합 조절』(편저, 혜안, 2019), 『고려의 중앙과 지방의 네트워크』(편저, 혜안, 2019), 『고려의 국제적 개방성과 자기인식의 토대』(편저, 혜안, 2019)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책을 내면서 = 5
일러두기 = 9
[해제(解題)]
 『고려사(高麗史)』형법지(刑法志)의 성격과 사료적(史料的) 가치 = 13
  1. 머리말 = 13
  2. 서문에 반영된 형법인식 = 17
  3. 편목(篇目) 구성과 의미 = 26
  4. 무편년기사(無編年記事)의 성격 검토 = 36
  5. 사료적 가치와 한계 = 54
  6. 맺음말 = 69
[역주(譯註)]
 『고려사(高麗史)』권84, 형법(刑法) 1 = 77
  1. 서문(序文) = 79
  2. 명례(名例) = 87
  3. 공식(公式) = 102
   [1] 상피(相避) = 102
   [2] 관리의 휴가(官吏給暇) = 106
   [3] 피마식(避馬式) = 125
   [4] 공첩상통식(公牒相通式) = 141
  4. 직제(職制) = 166
  5. 간비(奸非) = 310
  6. 호혼(戶婚) = 320
  7. 대악(大惡) = 348
  8. 살상(殺傷) = 366
 『고려사(高麗史)』권85, 형법(刑法) 2 = 379
  9. 금령(禁令) = 381
  10. 도적(盜賊) = 509
  11. 군율(軍律) = 521
  12. 휼형(恤刑) = 529
  13. 소송(訴訟) = 569
  14. 노비(奴婢) = 588
찾아보기 = 62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