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55namcc2200217 c 4500 | |
001 | 000045557104 | |
005 | 20141212143520 | |
007 | ta | |
008 | 091030s2009 ulkad b 001c kor | |
020 | ▼a 9788963301969 ▼g 93180 | |
040 | ▼a 211009 ▼c 211009 ▼d 211009 ▼d 244002 ▼d 211009 | |
082 | 0 4 | ▼a 302 ▼2 23 |
085 | ▼a 302 ▼2 DDCK | |
090 | ▼a 302 ▼b 2009z6 | |
100 | 1 | ▼a 한규석, ▼d 1954- ▼0 AUTH(211009)67461 |
245 | 1 0 | ▼a 사회심리학의 이해 = ▼x Social psychology / ▼d 한규석 지음 |
250 | ▼a 3판 |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09 ▼g (2013) | |
300 | ▼a 719 p. : ▼b 삽화, 도표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p. 653-706)과 색인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115560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115560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117048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4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212315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5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310357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6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512983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7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512983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11556014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11556015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1170487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2123155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edical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31035718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51298346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02 2009z6 | Accession No. 15129834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이 책은 심리학 전공자를 위한 입문서로서, 사회심리학의 통념적 소개를 시작으로 자아의 기능과 이해, 대인자각, 사회적 추론, 태도의 형성과 변화, 의사소통의 기능, 공격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와 심리, 현실적 갈등의 접근과 해결, 집단의 지각과 고정관념 그리고 문화와 한국인의 사회심리 등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내용을 관련 도표와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번 3판에서는 지난 2판의 내용에 대하여 최근 연구와 이전에 못 보았던 연구들의 내용을 반영하여 전반적인 수정작업을 하였다. 새로운 내용을 보충하면서 2판에서 산만하게 다루었던 부분을 줄였으며, 문화와 관련된 논의를 축소시켰다. 이는 문화가 지닌 중요성을 무시해서가 아니라 오히려 별도의 서적에서 그러한 내용을 보다 충실히 다루는 편이 좋겠다는 생각에서였다. 이전처럼 문화, 특히 동아시아와 한국에서 이루어진 연구들의 내용을 많이 제시하고자 하였다.
전판의 12장을 11장으로 옮겼고, 10장의 제목을 수정하였다. 12장에서는 '사회심리학의 응용과 전망'이라는 내용으로 전판 11장의 '문화와 사회심리'를 대체하면서, 생활장면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행복과 건강의 문제를 사회심리학적인 측면에서 다루었다. 아울러, 사회심리학의 최근 연구동향을 정리하여 이 분야의 전망에 대하여 생각하고 논의하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한 가지 특기할 내용은 '나 알기'를 곳곳에 추가한 점이다. 많은 내용을 다루지는 못하였지만 교재의 내용과 관련시켜 자신을 알아보고 탐색해 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척도들을 제시하여 자기발견과 성장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사회심리학을 접하면서 자신에 대한 성찰의 기회를 가져 볼 수 있도록 하였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한규석(지은이)
미국 오하이오 대학교(Ohio University)에서 심리학 박사학위(1986)를 취득하고, 1987년부터 전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심리학회 편집위원장(2000∼2001)과 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회장(19대, 2002∼2004), 사단법인 한국심리학회 부회장(2006∼2007)을 역임하였고 한국심리학회, 미국심리학회 및 국제비교문화심리학회, 국제 언어 및 사회심리학회의 정회원이었다. 전공분야는 사회·문화심리학이며, 한국인이 보이는 사회문화적 심리의 특징에 대하여 연구관심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서열적 교류의 심리와 한국인의 바탕말에 녹아 있는 우리의 세계관에 터한 도덕성의 발달론 전개에 대하여 깊은 관심을 지니고 있다. 관심을 같이 하는 심리학 및 다른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과 공동연구하는 것을 환영한다.

Table of Contents
목차 3판을 내면서 = 3 개정판을 내면서 = 5 1판 머리말 = 7 1 사회심리학의 소개 = 19 사회심리학은 어떠한 학문인가 = 20 사회심리학의 관심 주제들 = 25 사회심리학은 어떻게 성립되었나 = 26 분트와 사회심리학 = 28 사회학과의 분리 = 29 레빈(Lewin)의 역할 = 31 사회심리학이 지닌 문화 = 34 국내의 사회심리학 = 36 사회심리학자들이 취하는 연구방법 = 38 과학적 연구방법의 특징 = 38 상식과 사회심리학의 차이 = 41 어떻게 연구를 수행하는가 = 43 어디서 연구를 수행하는가 = 48 사회심리학 하기 = 51 실험실에서 나타나는 사회심리 현상 = 55 연구의 윤리 = 58 2 사회생활과 자기 = 61 자기란 = 62 복합적 자기 = 63 자기의 구성과정 = 66 자기의 기능 = 72 정보처리자로서의 자기 = 72 행위의 평가자로서의 자기 : 자기관련 동기 = 75 자기의 일관성 = 83 자기의 변화와 역동 = 88 문화권에 따른 자기의 이해 = 92 자기의 특성과 문화 = 92 자긍심과 문화 = 96 움직이는 자기 - 인상관리 = 100 구실 만들기 전략 = 102 자기제시의 개인차 = 105 3 인상형성(대인지각)과 귀인 = 109 인상형성(대인지각) = 110 인상형성 과정의 원리들 = 110 인상형성에 작용하는 효과들 = 110 대인지각의 내용 = 116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는 정보들 = 116 사람판단의 차원 = 117 비언어적 내용의 판단 = 119 외모의 후광효과 = 120 고정관념의 작용 = 123 대인지각과 문화 = 126 귀인 = 127 사건에 대한 설명 방식 = 128 행위에 대응하는 성향 추론: 한 번의 관찰 = 129 공변모형: 반복된 관찰이 가능할 때 귀인양상 = 132 귀인의 편향성과 문화 = 135 귀인의 주요 편향들 = 135 귀인의 편향성에서 문화차 = 143 귀인의 적용 = 154 정서의 판단과 귀인 = 155 사후가정적 사고 = 156 사회현상 분석에의 적용 = 158 4 사회생활 속의 추론과 판단 = 163 정보의 수집 = 164 신념과 선입견의 영향 = 164 정보의 수집에서의 오류와 편향 = 166 정보의 취합과정 = 171 사상 간의 관계 파악 = 173 통제감의 작용 = 177 도식의 활용과 결과 = 181 사회도식의 활용 = 181 틀 효과 = 186 판단에 대한 자신감 = 189 일상의 판단은 효율성 추구: 어림법의 활용 = 195 대표성 어림법 = 195 가용성 어림법 = 198 닻 내리기 효과 = 202 일상의 판단에서 작용하는 두 유형의 사고 = 203 일상적 추론의 놀랄 만한 적응력 = 205 추론능력의 향상: 체계Ⅰ의 오류를 줄이기 = 209 5 태도와 태도변화 = 215 태도란 무엇인가 = 215 태도의 형성과 측정 = 217 학습에 의한 태도 형성 = 217 일관성 동학에 의한 태도 형성 = 219 손익계산에 의한 태도의 획득 = 221 태도의 측정 = 222 태도와 행동의 일관성 = 226 태도와 행동 간의 괴리에 관여하는 요인 = 227 이성적 행위 모형 = 229 행동에 따른 태도변화 = 233 태도가 분명할 때 : 인지부조화에 의한 합리화 = 233 태도가 분명하지 않을 때 : 자기지각 이론의 적용 = 244 설득에 따른 태도변화 = 247 전달자 요소 = 249 전달내용 요소 = 250 수신자 요소 = 251 설득효과에 대한 인지적 접근: 정교화 가능성 이론 = 251 중심경로를 통한 태도변화 = 251 지엽경로를 통한 태도변화 = 253 태도변화에 관련된 흥미로운 주제들 = 257 정서의 공략을 통한 설득 = 257 면역효과 = 260 반복적인 설득 = 261 역하 설득의 가능성과 오해 = 261 설득에 대한 반응에서의 개인차 - 인지욕구 = 264 6 사람들 간의 교류와 사랑 = 267 의사소통의 기능 = 267 내용과 관계 = 268 관계의 두 측면 = 270 교류의 진전 = 274 누구에게 매력을 느끼나? = 275 상황특성 = 281 관계를 발전시키는 요인 = 288 자기노출 = 288 상응의 규범 = 290 공평성 = 291 관계맺음의 기본 유형 = 294 대인교류의 기능 = 299 고독 = 304 사랑 = 309 사랑의 경험과 유형 = 309 사랑의 방식에서 남녀 차이 = 314 사랑의 심화 요인과 냉각 요인 = 317 7 인간의 공격성 = 323 본능으로서의 공격행위 = 324 공격행위를 유발하는 요소와 심리 = 326 사회생활 속의 요인들 = 326 공격행위에 미치는 상황적 요인들 = 333 사회화 과정에서의 요인들 = 336 공격성의 개인차 = 344 공격행위에 대한 일반 모형 = 347 공격행위의 획득 그리고 그 감소를 위한 처방 = 349 강화를 통한 획득 = 349 사회학습 - 모방 = 349 사회 폭력의 감소책 = 355 사회의 폭력성과 문화 그리고 테러리즘 = 363 사회화 과정의 문화 차이 = 363 남녀 차이와 그 의미 = 367 테러리즘의 이해 = 370 8 사회의 갈등과 친사회적 행위 = 377 사회적 갈등 = 378 갈등의 발생 = 378 협동과 경쟁의 게임 이론적 접근 = 378 게임이론적 접근 = 380 상황적 결정요인 = 381 당사자의 동기적 요인 = 384 상황에 대한 인식과 해석 = 386 현실적 갈등의 접근, 해결책의 모색 = 388 갈등을 심화시키는 심리 = 388 갈등상황의 해결 모색 = 394 갈등해결의 문화 차이 = 400 사회정의와 도덕성의 판단 = 402 현대사회의 정의 = 402 분배의 정의 = 403 절차적 정의 = 407 회복적 정의 = 408 도덕성 = 415 친사회적 행위 = 415 협동의 진화와 사회의 신뢰성 = 416 협동의 진화 = 416 신뢰의 발전과 사회 = 419 도움행위의 심리 = 426 측은한 마음 = 426 상황의 해석과 귀인 = 430 자원봉사 = 431 9 집단 속의 개인 = 435 타인의 존재가 야기하는 현상 = 436 사회촉진 현상 = 436 사회태만 현상 = 438 책임감 분산 = 440 몰개성화 현상 = 442 집단극화 현상 = 445 동조현상과 집단의 영향 = 448 정보적 영향 = 449 규범적 영향 = 451 동조현상에 미치는 영향 요인 = 453 집단의 규범 차이 = 458 준거집단의 영향력 = 459 소수의 영향 = 461 집단사고 = 463 사회의 위계성: 권위, 복종, 문화 = 468 권위에의 복종 = 469 복종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472 귄위에의 복종과 문화 = 476 권력과 사회생활의 심리 = 480 10 고정관념, 편견과 차별 = 483 고정관념/편견의 발생과 동학 = 484 인지적 측면 = 487 정서적 측면 = 497 사회 갈등적 측면 = 496 고정관념/편견의 유지 및 증폭 기제 = 500 한국사회의 편견과 차별: 성, 지역과 소수집단 = 503 성차별주의 = 503 지역 및 소수집단에 대한 고정관념/편견 = 506 피해자 측면에서 본 편견 = 512 개인-집단 차별경험의 괴리 = 513 고정관념위협 이론 = 514 편견과 차별의 감소 = 519 편견에 반하는 사례의 보편화 = 519 부조화를 이용한 편견의 감소 = 520 집단 간 접촉의 증가 = 521 범주화 방식에 의한 방법 = 526 조망 취하기 및 조망 확대 = 530 집단 간 행위의 설명: 사회정체감 이론 = 531 사회정체감 이론 = 532 집단정체감이 위협받는 상황에서의 대처 = 536 사회정체감 이론과 문화 = 540 11 한국인의 사회심리 = 545 한국인의 고유적 교류현상 = 546 한국인의 교류정서 - 정 = 547 심정의 교류 = 554 체면 = 557 눈치 = 562 의례성 = 564 한국인의 집단주의: 문화심리적 특징 = 567 가족주의 = 568 인정주의 = 572 효의 사회심리 = 575 한국사회의 특징은 관계주의 = 584 한국사회의 가치관 변화 = 588 가치의 변화 양상 = 588 가치의 혼재 양상의 분석 = 593 12 사회심리학의 응용과 전망 = 599 행복의 심리 = 599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 = 605 행복의 결정 영역 = 611 행복의 문화 차이 = 614 정서 경험의 예측 = 619 미리 느껴 보기 = 620 면역기제에 무심 = 626 건강과 사회심리학 = 628 건강과 관련된 개인적 특성 = 628 대인관계와 건강 = 634 사회심리학의 변화와 전망 = 638 문화심리학의 정착 = 638 정서 및 동기에 대한 관심의 확대 = 643 생물학적 관점과의 융합 = 646 참고문헌 = 653 찾아보기 = 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