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5camccc200229 k 4500 | |
001 | 000045556700 | |
005 | 20100805025940 | |
007 | ta | |
008 | 070425s2007 ulka b 000c kor | |
020 | ▼a 9788978789066 | |
035 | ▼a (KERIS)BIB000010818299 | |
040 | ▼a 211004 ▼c 211004 ▼d 211009 | |
082 | 0 4 | ▼a 372.623044 ▼2 22 |
090 | ▼a 372.623044 ▼b 2007 | |
100 | 1 | ▼a 이수진 |
245 | 1 0 | ▼a 쓰기 수업 현상의 이해 / ▼d 이수진 지음. |
260 | ▼a 서울 : ▼b 박이정 , ▼c 2007. | |
300 | ▼a 293 p. : ▼b 삽도 ; ▼c 26 cm. | |
440 | 0 0 | ▼a 한국초등국어교육연구소 연구총서 ; ▼v 8 |
504 | ▼a 참고문헌: p.273-280 |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23044 2007 | Accession No. 11155137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1부 쓰기 수업 현상 탐구의 기반 제1장 쓰기교육 이론과 쓰기 수업 현상의 관계 = 17 1. 쓰기이론과 쓰기교육 이론의 변화 = 17 2. 과정중심 쓰기교육의 이론적 한계 = 22 가. 과정중심 쓰기이론의 출현 배경 = 23 나. 과정중심 쓰기이론의 한계 = 26 3. 과정중심 작문교육의 실천적 한계 = 29 가. 쓰기 과정과 전략의 고착화 = 29 나. 목표ㆍ방법ㆍ내용의 불균형 = 32 다. 학습자 중심의 다양성과 창의성 부족 = 35 4. 수업 현상의 쓰기교육 이론화 필요성 = 38 가. 교육 이론 연구에서 수업 현상 연구로 = 38 나. 쓰기 수업에서 대화의 역할 재인식 = 41 제2장 국어과 수업 현상 연구와 수업대화 분석 = 49 1. 국어과 수업대화의 개념 = 49 가. 수업대화의 특성 = 50 나. 국어과의 수업대화 = 53 2. 국어과 수업대화 분석의 의미 = 55 가. 수업대화 분석의 배경 = 55 나. 국어과의 수업대화 분석 = 60 제3장 쓰기 수업 현상 연구와 교수대화 분석 = 65 1. 쓰기 수업대화 연구의 전제 = 65 가. 쓰기 과정과 전략의 내면화 안내 = 67 나. 근접발달영역의 창출 = 68 다. 구조화된 대화를 통한 쓰기 능력의 중재 = 71 2. 쓰기 교수대화 분석의 전제 = 75 가. 교수대화의 개념 = 75 나. 교수대화의 분석 관점 = 81 2부 쓰기 수업 현상 탐구를 위한 교수대화 분석 제4장 쓰기 수업의 교수대화 분석 설계 = 87 1. 교수대화 분석 요소 = 87 가. 구조적 관점 = 87 나. 내용적 관점 = 94 2. 교수대화 분석의 과정 = 97 제5장 쓰기 수업의 교수대화 분석 실제 = 103 1. 분석 대상의 선정 = 103 2. 수업 목표와 교재 연구 = 107 3. 자료 수집과 분석 방법 = 111 제6장 쓰기 수업의 교수대화 양상 분석 = 113 1. 교수대화의 구조 양상 = 114 가. 교수대화 단계 = 115 나. 교수대화 유형과 전략 = 131 다. 교사별 대화 구조 비교 = 151 2. 교수대화의 내용 양상 = 159 가. 교수대화 내용의 조건 = 160 나. 교수대화 유형과 전략 = 163 다. 교사별 대화 구조 비교 = 180 3부 쓰기 수업 현상 해석의 쓰기교육 이론화 제7장 언어적 해석-교과 장르로서의 쓰기 교수언어 고찰 = 209 1. 교과 장르의 필요성 = 210 가. 교과 장르의 개념 = 211 나. 교과 장르의 역할 = 217 2. 교과 장르로서 쓰기 교수언어의 특성 = 220 가. 내용 = 222 나. 주체 = 225 다. 방식 = 227 3. 교과 장르로서 쓰기 교수언어의 지향점 = 232 가. 내용 사용역의 적극적인 강조 = 232 나. 구어/문어 매개체로서의 특성화 = 235 다. 체계적인 단계화 = 237 제8장 교육적 해석-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의 수준별 비계설정 연구 = 241 1.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의 의의 = 242 가. 문학교육적 의의 = 243 나. 쓰기교육적 의의 = 245 2.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에서 학습자 텍스트의 문제 유형 = 247 가.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의 수준 설정 = 247 나. 학습자 텍스트의 문제 유형 = 250 3. 이야기 완성하기 활동의 수준별 비계설정 = 260 가. 이야기 미완성 = 263 나. 지나친 단순화와 의욕 저하 = 265 다. 잦은 모순과 우연의 발생 = 267 라. 이야기의 급격한 전환 = 268 마. 이야기의 혼란과 어색한 결말 = 270 참고문헌 = 273 부록 = 281 1. 교사용 설문지 = 281 2. 수업대화 자료의 분석 예시 = 287 3. 교수대화 유형과 전략의 양적 통계 자료 = 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