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초등 국어과 교수·학습방법 개정판[제2판]](https://image.aladin.co.kr/product/333/3/cover/8962920298_1.jpg)
000 | 00796c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556699 | |
005 | 20100805025939 | |
007 | ta | |
008 | 090330s2009 ulka b 001c kor | |
020 | ▼a 9788962920291 | |
035 | ▼a (KERIS)BIB000011610109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82 | 0 4 | ▼a 372.6 ▼2 22 |
090 | ▼a 372.6 ▼b 2009z1 | |
245 | 2 0 | ▼a (예비교사와 현장교사를 위한)초등 국어과 교수·학습방법 / ▼d 신헌재 [외저]. |
250 | ▼a 개정판[제2판] | |
260 | ▼a 서울 : ▼b 박이정 , ▼c 2009. | |
300 | ▼a 522 p. : ▼b 삽화 ; ▼c 26 cm. | |
500 | ▼a 공저자: 권혁준, 김선배, 류성기, 박태호, 염창권, 이경화, 이재승, 이주섭, 천경록, 최경희 | |
500 | ▼a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개정판 임 | |
504 | ▼a 참고문헌 및 색인수록 | |
700 | 1 | ▼a 신헌재 ▼0 AUTH(211009)77398 |
945 | ▼a KINS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 Call Number 372.6 2009z1 | Accession No. 11155137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개정 교육과정이 나오고 2009학년도부터 그에 따른 새 교과서를 사용하는 초등학교 국어교육 현장에서 초등교사와 학부모 에게 도움을 줄 책이다. 나아가, 대학에서 초등국어교육 분야를 전공하는 예비초등교사 및 대학원 전공생들에게도 직간접으로 도움을 준다.
이 책은 본디 우리나라가 광복 후, 말과 글을 되찾은지 꼭 60년이 되던 지난 2005년도에 전국 8개 대학 초등국어교육 담당 교수들이 힘을 모아 펴낸 책입니다. 그러나 그 후 5년 동안, 우리 사회와 교육계는 여러 변모를 겪어왔는데 그 중 제일 큰 것이 2007년도 교육과정 개편과 2008년도부터 시작한 국어 교과서 개발이라고 봅니다. 우리 공저자들도 교육과정 개편에 간접적으로 참여하였고, 교과서 개발에는 직접 참여하게 되었는데, 그런 과정에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이 책을 다시 수정 보완하기에 이른 것입니다.
따라서 이 책의 개정판은 개정 교육과정이 나오고 2009학년도부터 그에 따른 새 교과서를 사용하는 초등학교 국어교육 현장에 좀더 실질적으로 기여할 만한 실용서로서 초등교사와 학부모 에게 도움을 줄 최초의 문헌인 셈입니다. 나아가, 대학에서 초등국어교육 분야를 전공하는 예비초등교사 및 대학원 전공생들에게도 직간접으로 도움을 줄 만한 초등 국어교육 개론서로서 그 몫을 또한 지니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uthor Introduc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머리말 1부 초등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기초 1장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이해 1.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주요 관점 = 3 2.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특성과 지향 = 9 3. 국어과 교육과정의 이해 = 17 4. 새 교과서의 단원 구성 원리와 체제 = 29 5. 국어과 교수ㆍ학습 모형 = 44 6. 국어과 교수ㆍ학습 설계 = 79 7. 국어과 수업 관찰과 분석 = 97 2장 국어과 교수ㆍ학습의 운영 방안 1. 국어과 협동학습 방안 = 123 2. 매체 활용 방안 = 133 3. 초기 문자 지도 방안 = 149 4. 독서 토론회 운영 방안 = 163 3장 국어과 교수ㆍ학습과 평가 1. 국어과 평가의 개념과 원리 = 175 2. 국어과 평가의 계획과 실행 = 185 2부 국어과 영역별 교수ㆍ학습 접근 1장 듣기ㆍ말하기 교수ㆍ학습 1. 듣기ㆍ말하기 교수ㆍ학습의 이해 = 201 2. 토의ㆍ토론 지도 = 219 3. 말하기 불안 해소 지도 = 232 4. 비언어적 표현 지도 = 239 5. 듣기 지도 = 247 2장 읽기 교수ㆍ학습 1. 읽기 교수ㆍ학습의 이해 = 257 2. 중심 생각 찾기 지도 = 272 3. 추론하기 지도 = 279 4. 요약하기 지도 = 285 5. 질문하기 지도 = 293 6. 독서 부진아 지도 = 301 7. 독서 동기 유발 지도 = 315 8. 도서 선정 방법 = 325 3장 쓰기 교수ㆍ학습 1. 쓰기 교수ㆍ학습의 이해 = 339 2. 설명문 쓰기 지도 = 359 3. 논설문 쓰기 지도 = 369 4. 일기 쓰기 지도 = 379 5. 받아쓰기 지도 = 388 4장 문법 교수ㆍ학습 1. 문법 교수ㆍ학습의 이해 = 403 2. 표준 발음 지도 = 413 3. 어휘 지도 = 424 4. 문장 지도 = 435 5장 문학 교수ㆍ학습 1. 문학 교수ㆍ학습의 이해 = 449 2. 동시 감상 지도 = 465 3. 동시 창작 지도 = 474 4. 동화 감상 지도 = 493 5. 아동극 지도 = 507 찾아보기 = 5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