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도시문화와 옥외광고디자인정책

도시문화와 옥외광고디자인정책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영윤
Title Statement
도시문화와 옥외광고디자인정책 / 박영윤 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예학사 ,   2009.  
Physical Medium
263 p. : 삽도 ; 26 cm.
ISBN
9788989668541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254-259)수록
000 00571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556132
005 20100805025625
007 ta
008 090915s2009 ulka b 000c kor
020 ▼a 9788989668541 ▼g 93540: ▼c \15,000
035 ▼a (KERIS)BIB000011786167
040 ▼a 211062 ▼c 211062 ▼d 244002
082 0 4 ▼a 659.1342 ▼2 22
090 ▼a 659.1342 ▼b 2009
100 1 ▼a 박영윤
245 1 0 ▼a 도시문화와 옥외광고디자인정책 / ▼d 박영윤 저.
260 ▼a 서울 : ▼b 예학사 , ▼c 2009.
300 ▼a 263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254-259)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659.1342 2009 Accession No. 15127995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영윤(지은이)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을 졸업하고 경기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전라남도 의회사무처 전문위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옥외 광고대상 심사위원, 옥외광고사 자격시험 출제윈원과 대한민국 좋은 간판상 심사위원을 역임하였고, 핸정안전부 지방행정연수원에서 옥외광고정책과정 강의를 하였으며, 현재는 한국옥외고아고학회 정회원, 금화학술연구회 회원, 한국사인문화협회 고문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1장 도시문화의 의의 = 11
 Ⅰ. 도시의 개념과 본질 = 12
 Ⅱ. 문화의 개념과 본질 = 14
 Ⅲ. 도시문화의 정의와 특성 = 16
  1. 도시문화의 근원 = 16
  2. 도시문화의 정의 = 25
  3. 도시문화의 구성요소 = 28
  4. 도시문화의 특성 = 30
 Ⅳ. 한국의 도시문화 현상과 과제 = 37
  1. 도시문화의 실상과 피폐화의 원인 = 37
  2. 도시문화 육성을 위한 과제 = 38
  3. 세계화 시대의 도시문화 전략 = 41
2장 옥외광고의 의의 = 45
 Ⅰ. 옥외광고의 정의와 특성 = 46
  1. 옥외광고의 역사 및 발달사 = 46
  2. 옥외광고물의 정의 = 48
  3. 옥외광고물의 분류 = 50
  4. 옥외광고물의 특성 = 54
  5. 옥외광고물의 성격 = 55
 Ⅱ. 옥외광고디자인 요소 = 57
  1. 옥외광고의 시각적 요소 = 57
  2. 옥외광고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 65
 Ⅲ.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의 관계 = 75
  1. 도시공간과 옥외광고 = 76
  2. 도시환경과 옥외광고 = 77
  3. 도시경관과 옥외광고 = 80
  4. 옥외광고가 도시문화에 미치는 영향 = 82
3장 한국의 옥외광고 현황 및 제도 = 87
 Ⅰ. 한국의 옥외광고 현황 = 88
  1. 옥외광고물 설치현황 = 88
  2. 옥외광고물 정비ㆍ단속 = 91
 Ⅱ. 한국의 옥외광고 제도 = 93
  1. 법과 제도체계 = 93
  2. 관리 및 행정체계 = 99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04
4장 외국의 옥외광고 현황 및 제도 = 109
 Ⅰ. 미국의 옥외광고 = 110
  1. 법과 제도체계 = 110
  2. 관리 및 행정체계 = 111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13
 Ⅱ. 유럽의 옥외광고 = 114
  1. 법과 제도체계 = 114
  2. 관리 및 행정체계 = 116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18
 Ⅲ. 일본의 옥외광고 = 120
  1. 법과 제도체계 = 120
  2. 관리 및 행정체계 = 122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25
  4. 광역지자체 주관 광고경관시책 = 128
 Ⅳ. 국가별 광고물의 특징 = 136
 Ⅴ. 정책적 시사점 = 139
 Ⅵ. 한국과 외국제도의 비교 = 141
  1. 옥외광고 발생원인의 차이점 = 141
  2. 한국과 외국제도의 비교 = 143
5장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정책사례 비교분석 = 149
 Ⅰ. 분석의 틀 및 분석대상 사례의 선정이유 = 150
  1. 분석틀 = 150
  2. 민관협력의 유형화 = 151
  3. 분석대상 사례의 선정이유 = 151
 Ⅱ. 사례 1 : 서울 청계천 간판정비사업 = 152
  1. 사업의 추진배경 = 152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153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57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60
  5. 분석 및 평가 = 162
 Ⅲ. 사례 2 : 부산 광복로 간판개선시범사업 = 166
  1. 사업의 추진배경 = 166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167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70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72
  5. 분석 및 평가 = 175
 Ⅳ. 사례 3 : 안양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 179
  1. 사업의 추진배경 = 179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180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82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86
  5. 분석 및 평가 = 188
 Ⅴ. 사례 4 : 파주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 시범사업 = 192
  1. 사업의 추진배경 = 192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배경 = 193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96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99
  5. 분석 및 평가 = 200
 Ⅵ. 사례 5 : 동탄신도시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 204
  1. 사업의 추진배경 = 204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205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208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210
  5. 분석 및 평가 = 214
 Ⅶ. 요약 및 평가 = 218
  1. 요약 = 218
  2. 민관협력 유형화 측면에서의 평가 = 219
6장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 개선방안 = 223
 Ⅰ. 옥외광고디자인 정책 개선방안 = 224
  1. 옥외광고디자인 정책방향의 전환 = 224
  2. 법과 제도체계의 정비 = 228
  3. 관리 및 행정체계의 점검 및 보완 = 235
  4. 주민참여 협력체계의 구축 = 244
 Ⅱ.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249
  1. 시사점 및 한계 = 249
  2. 향후 과제 = 251
7장 참고자료 = 253
 Ⅰ. 참고문헌 = 254
  1. 국내문헌 = 254
  2. 외국문헌 = 258
표차례 = 260
그림차례 = 262
사진차례 = 263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