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장 도시문화의 의의 = 11
Ⅰ. 도시의 개념과 본질 = 12
Ⅱ. 문화의 개념과 본질 = 14
Ⅲ. 도시문화의 정의와 특성 = 16
1. 도시문화의 근원 = 16
2. 도시문화의 정의 = 25
3. 도시문화의 구성요소 = 28
4. 도시문화의 특성 = 30
Ⅳ. 한국의 도시문화 현상과 과제 = 37
1. 도시문화의 실상과 피폐화의 원인 = 37
2. 도시문화 육성을 위한 과제 = 38
3. 세계화 시대의 도시문화 전략 = 41
2장 옥외광고의 의의 = 45
Ⅰ. 옥외광고의 정의와 특성 = 46
1. 옥외광고의 역사 및 발달사 = 46
2. 옥외광고물의 정의 = 48
3. 옥외광고물의 분류 = 50
4. 옥외광고물의 특성 = 54
5. 옥외광고물의 성격 = 55
Ⅱ. 옥외광고디자인 요소 = 57
1. 옥외광고의 시각적 요소 = 57
2. 옥외광고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요소 = 65
Ⅲ. 도시문화와 옥외광고의 관계 = 75
1. 도시공간과 옥외광고 = 76
2. 도시환경과 옥외광고 = 77
3. 도시경관과 옥외광고 = 80
4. 옥외광고가 도시문화에 미치는 영향 = 82
3장 한국의 옥외광고 현황 및 제도 = 87
Ⅰ. 한국의 옥외광고 현황 = 88
1. 옥외광고물 설치현황 = 88
2. 옥외광고물 정비ㆍ단속 = 91
Ⅱ. 한국의 옥외광고 제도 = 93
1. 법과 제도체계 = 93
2. 관리 및 행정체계 = 99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04
4장 외국의 옥외광고 현황 및 제도 = 109
Ⅰ. 미국의 옥외광고 = 110
1. 법과 제도체계 = 110
2. 관리 및 행정체계 = 111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13
Ⅱ. 유럽의 옥외광고 = 114
1. 법과 제도체계 = 114
2. 관리 및 행정체계 = 116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18
Ⅲ. 일본의 옥외광고 = 120
1. 법과 제도체계 = 120
2. 관리 및 행정체계 = 122
3. 사업 및 시민참여체계 = 125
4. 광역지자체 주관 광고경관시책 = 128
Ⅳ. 국가별 광고물의 특징 = 136
Ⅴ. 정책적 시사점 = 139
Ⅵ. 한국과 외국제도의 비교 = 141
1. 옥외광고 발생원인의 차이점 = 141
2. 한국과 외국제도의 비교 = 143
5장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정책사례 비교분석 = 149
Ⅰ. 분석의 틀 및 분석대상 사례의 선정이유 = 150
1. 분석틀 = 150
2. 민관협력의 유형화 = 151
3. 분석대상 사례의 선정이유 = 151
Ⅱ. 사례 1 : 서울 청계천 간판정비사업 = 152
1. 사업의 추진배경 = 152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153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57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60
5. 분석 및 평가 = 162
Ⅲ. 사례 2 : 부산 광복로 간판개선시범사업 = 166
1. 사업의 추진배경 = 166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167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70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72
5. 분석 및 평가 = 175
Ⅳ. 사례 3 : 안양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사업 = 179
1. 사업의 추진배경 = 179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180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82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86
5. 분석 및 평가 = 188
Ⅴ. 사례 4 : 파주시 간판이 아름다운 거리 조성 시범사업 = 192
1. 사업의 추진배경 = 192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배경 = 193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196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199
5. 분석 및 평가 = 200
Ⅵ. 사례 5 : 동탄신도시 아름다운 간판시범거리 조성사업 = 204
1. 사업의 추진배경 = 204
2. 사업의 현황 및 추진과정 = 205
3. 사업 참가자의 범위와 역할 = 208
4. 옥외광고디자인 가이드라인 = 210
5. 분석 및 평가 = 214
Ⅶ. 요약 및 평가 = 218
1. 요약 = 218
2. 민관협력 유형화 측면에서의 평가 = 219
6장 새로운 도시문화 조성을 위한 옥외광고디자인 정책 개선방안 = 223
Ⅰ. 옥외광고디자인 정책 개선방안 = 224
1. 옥외광고디자인 정책방향의 전환 = 224
2. 법과 제도체계의 정비 = 228
3. 관리 및 행정체계의 점검 및 보완 = 235
4. 주민참여 협력체계의 구축 = 244
Ⅱ. 시사점 및 향후 과제 = 249
1. 시사점 및 한계 = 249
2. 향후 과제 = 251
7장 참고자료 = 253
Ⅰ. 참고문헌 = 254
1. 국내문헌 = 254
2. 외국문헌 = 258
표차례 = 260
그림차례 = 262
사진차례 = 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