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역사와 철학 = 2차 개정증보[판]](https://image.aladin.co.kr/product/1/50/cover/898251161x_2.jpg)
000 | 00000c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555298 | |
005 | 20180222112804 | |
007 | ta | |
008 | 060322s2009 ulk 001c kor | |
020 | ▼a 898251161X ▼g 93370 | |
035 | ▼a (KERIS)BIB000011564788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09 | |
082 | 0 4 | ▼a 370.9 ▼2 23 |
085 | ▼a 370.9 ▼2 DDCK | |
090 | ▼a 370.9 ▼b 2009z1 | |
245 | 0 0 | ▼a 교육의 역사와 철학 = ▼x History and philosophy of education / ▼d 박의수 [외] 공저 |
250 | ▼a 2차 개정증보[판] | |
260 | ▼a 서울 : ▼b 동문사, ▼c 2009 ▼g (2016 15쇄) | |
300 | ▼a 475 p. ; ▼c 24 cm | |
500 | ▼a 공저자: 강승규, 정영수, 강선보 | |
500 | ▼a 색인수록 | |
700 | 1 | ▼a 박의수, ▼e 저 |
700 | 1 | ▼a 강승규, ▼e 저 |
700 | 1 | ▼a 정영수, ▼e 저 |
700 | 1 | ▼a 강선보, ▼e 저 |
945 | ▼a KINS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505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50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694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722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722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6774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7865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8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212076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5058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505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6948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7221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57221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67744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7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117865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과학도서관/Sci-Info(1층서고)/ | 청구기호 370.9 2009z1 | 등록번호 12120761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교육철학의 다양한 관점과 이론을 소개한 책. 교육의 역사를 시대구분에 따라 통사적으로 기술하면서 당시 교육의 시대적 배경, 교육현상, 대표적 교육사상가, 그리고 교육사적 의의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번 개정증보판에서는 책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개정하고, 필요한 부분에 각주를 실어 충분한 설명을 제공하고자 했다.
교육의 역사와 철학을 서술하는 방법은 저자에 따라 각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을 1993년 처음 저술할 때에 우리 저자들은 교육의 역사를 통사적으로 기술하면서 각 시대의 교육사상가들을 소개하는 교육사상적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그리고 교육의 본질에 관한 학문인 교육철학을 기술할 때에는 전통적 교육철학과 현대교육철학의 다양한 관점에서 우리 교육의 올바른 방향을 이념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지난 15년 동안 매 학기 추가 인쇄하여, 그때마다 내용을 보완하고, 여러 차례에 걸쳐 잘못된 곳을 수정한 결과 다른 어떤 책보다도 완성도가 높은 책이라고 저자들은 자부하고 있다. 물론 이러한 모든 것들은 지난 15년 동안 6만여 권 정도가 판매될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보여준 독자들의 자극에 힘입은 바가 크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강선보(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한국교육학회 회장, (현)고려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마르틴 부버: ?만남?의 교육철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성인교육철학(공역), 죽음에 관한 교육적 논의(논문) 외 다수.
박의수(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육학 박사, (전)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 (현)강남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역서> 도산 안창호의 생애와 교육사상(저서), 루돌프 슈타이너의 교육론(공역), 율곡 교육사상의 인식론적 연구(논문) 외 다수.
정영수(지은이)
<약 력>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독일 Bonn대학교 교육학과 졸업(철학박사)/한국교육개발원교육사 ? 철학 연구실장/한국교육철학학회 회장/인하대학교 부총장/현재, 인하대학교 교육학과 명예교수 <저서 및 논문> 교육학의 이해(공저, 삼경사)/인간교육의 탐구(동문사)/교사와 교육(공저, 문음사)/정신과학적 교육학(학지사)/인간교육의 변증법적 고찰/페스탈로치의 노작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외 다수
강승규(지은이)
고려대학교 교육학과 졸업(1973) 고려대학교 대학원 졸업(교육학박사, 교육철학전공 1990) 우석대학교 교육학과 교수(1979~2013)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교환교수(1987~1989, 2001) 한국교육학회 이사(1991~1992) 미국존듀이학회 회원(2001~2002)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 상임위원(2004~2006) 전국대학원장협의회 이사(2006~2008) 우석대학교 대학원장(2006~2008, 2012~2013) 전북학교운영위원협의회 회장(2007~2010) 우석대학교 사범대학 학장(2010~2013) 전국사립사범대학장협의회 회장(2012~2013) 개인사진전시회 ‘따로 함께’ 2회(2019년 10월, 11월) 현 우석대학교 명예교수(교육철학) (사)한국사진작가협회 정회원(2016~) 예술인(사진가) 한국예술인복지재단(2022년 1월 1일 이후)

목차
목차 (제1부) 한국 교육사 = 15 Ⅰ. 교육사란 무엇인가? = 17 1. 교육과 역사 = 18 2. 교육사 연구의 필요성 = 19 3. 교육사 연구의 영역과 방법 = 20 Ⅱ. 원시사회의 교육 = 23 1. 시대적 배경 = 23 2. 원시교육의 특징과 유형 = 24 3. 단군신화와 교육 = 25 4. 원시교육의 역사적 의의 = 26 Ⅲ. 삼국시대의 교육 = 29 1. 시대적 배경 = 29 2. 유교·불교의 전래와 교육 = 29 3. 고구려의 교육 = 32 4. 백제의 교육 = 34 5. 신라의 교육 = 35 6. 삼국시대의 교육사상가 = 40 7. 교육사적 의의 = 42 Ⅳ. 고려시대의 교육 = 44 1. 시대적 배경 = 44 2. 관학 = 45 3. 사학 = 50 4. 과거제도와 교육 = 51 5. 고려시대의 교육사상가 = 54 6. 교육사적 의의 = 57 Ⅴ. 조선시대의 교육 = 60 1. 시대적 배경 = 60 2. 관학 = 62 3. 사학 = 69 4. 교육 법규 = 74 5. 과거제도와 교육 = 75 6. 한글 창제와 교육 = 80 7. 실학운동과 교육 = 82 8. 조선시대의 교육사상가 = 92 9. 교육사적 의의 = 96 Ⅵ. 개화기의 교육 = 99 1. 시대적 배경 = 99 2. 정부주도의 교육개혁 = 100 3. 민족 선각자들에 의한 교육 구국운동 = 104 4. 종교계의 교육활동 = 107 5. 개화기의 교육사상가 = 110 6. 교육사적 의의 = 118 Ⅶ. 주권 상실기의 교육 = 121 1. 시대적 배경 = 121 2. 일본 제국주의 식민지 교육의 전개 과정 = 122 3. 주권 회복을 위한 민족교육 운동 = 130 4. 교육사적 의의 = 136 Ⅷ. 해방 후의 교육 = 138 1. 시대적 배경 = 138 2. 미군정기의 교육 = 139 3. 대한민국의 교육 = 144 4. 북한의 교육 = 148 5. 교육사적 의의 = 153 (제2부) 서양교육사 = 155 Ⅰ. 고대의 교육 = 157 1. 시대적 배경 = 157 2. 그리스의 교육 = 158 3. 그리스의 사상가 = 162 4. 로마의 교육 = 164 5. 교육사적 의의 = 165 Ⅱ. 중세의 교육 = 167 1. 시대적 배경 = 167 2. 중세의 학교제도 = 168 3. 시민학교와 대학의 발생 = 169 4. 아퀴나스의 교육사상 = 170 5. 교육사적 의의 = 171 Ⅲ. 르네상스와 교육 = 174 1. 시대적 배경 = 174 2. 인문주의 교육 = 175 3. 에라스무스의 교육사상 = 176 4. 교육사적 의의 = 177 Ⅳ. 종교개혁과 교육 = 180 1. 시대적 배경 = 180 2. 종교개혁이 교육에 미친 영향 = 182 3. 루터의 교육사상 = 183 4. 신교의 교육 활동 = 184 5. 교육사적 의의 = 185 Ⅴ. 실학주의와 교육 = 188 1. 시대적 배경 = 188 2. 실학주의의 발달 = 189 3. 코메니우스의 교육사상 = 191 4. 교육사적 의의 = 194 Ⅵ. 계몽주의와 교육 = 197 1. 시대적 배경 = 197 2. 계몽주의 교육의 특징 = 198 3. 루소의 교육사상 = 200 4. 범애학파의 교육 = 208 5. 교육사적 의의 = 211 Ⅶ. 신인문주의와 교육 = 213 1. 시대적 배경 = 213 2. 신인문주의 교육의 특징 = 214 3. 페스탈로치 = 215 4. 헤르바르트 = 223 5. 프뢰벨 = 231 6. 교육사적 의의 = 238 Ⅷ. 현대의 교육 = 241 1. 시대적 배경 = 241 2. 신교육 운동의 전개 = 242 3. 아동중심의 교육사상 = 249 4. 현대교육의 전망 = 269 (제3부) 교육절학 = 271 Ⅰ. 교육철학이란 무엇인가? = 273 1. 교육과 철학 = 273 2. 철학의 기본 영역 = 275 3. 철학적 진리관과 교육 = 276 4. 교육철학 사조 = 278 Ⅱ. 자연주의와 교육 = 281 1. 개관 = 281 2. 루소의 교육론 = 282 3. 자연주의의 교육 = 287 4. 종합 = 291 Ⅲ. 이상주의와 교육 = 294 1. 개관 = 294 2. 플라톤의 교육론 = 295 3. 이상주의의 철학 = 298 4. 이상주의의 교육 원리 = 301 5. 종합 = 304 Ⅳ. 실재주의와 교육 = 307 1. 개관 = 307 2. 아리스토텔레스 = 308 3. 실재주의의 철학적 특징 = 311 4. 실재주의의 교육론 = 314 5. 종합 = 317 Ⅴ. 프래그머티즘과 교육 = 319 1. 개관 = 319 2. 듀이의 철학적 배경과 교육 = 320 3. 프래그머티즘의 철학적 기초 = 322 4. 프래그머티즘의 교육론 = 331 5. 종합 = 337 Ⅵ. 진보주의와 교육 = 340 1. 개관 = 340 2. 진보주의의 교육 원리 = 343 3. 킬패트릭 = 344 Ⅶ. 본질주의와 교육 = 349 1. 개관 = 349 2. 본질주의의 교육 원리 = 351 3. 브리드 = 353 Ⅷ. 항존주의와 교육 = 356 1. 개관 = 356 2. 항존주의의 교육 원리 = 358 3. 마리땡 = 360 Ⅸ. 재건주의와 교육 = 363 1. 개관 = 363 2. 재건주의의 교육 원리 = 365 3. 브라멜드 = 367 Ⅹ. 실존주의와 교육 = 370 1. 개관 = 370 2. 교육 목적 = 373 3. 교육내용 및 방법 = 375 4. 부버 = 379 XI. 분석철학과 교육 = 384 1. 개관 = 384 2. 분석철학의 두 입장 = 386 3. 교육학에의 적용 = 390 4. 분석철학의 의의 및 한계 = 392 5. 분석철학의 교육적 의의 및 한계 = 394 XII. 비판이론과 교육 = 398 1. 개관 = 398 2. 비판이론의 핵심 개념 = 399 3. 교육 목적 = 402 4. 교육내용 및 방법 = 403 5. 하버마스 = 405 XIII.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410 1. 개관 = 410 2. 포스트모더니즘의 기본 입장 = 412 3. 포스트모더니즘과 교육 = 419 4. 푸코 = 424 찾아보기 = 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