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수 설계에 대한 기초적 이해
Dick과 Carey가 제시한 체제적 접근에 의한 교수 설계 모형 = 2
체제적 접근 모형의 구성 요소 = 11
교수 목표 규명 = 11
교수 분석 = 11
학습자 분석 및 상황 분석 = 11
성취 목표 기술 = 11
평가 도구 개발 = 12
교수 전략 개발 = 12
교수 프로그램 개발 및 선정 = 12
형성 평가 설게 및 실시 = 12
교수 프로그램 수정 및 보완 = 13
총괄 평가 설계 및 실시 = 13
체제적 접근 모형의 활용 = 14
체제적 접근 방법을 왜 사용해야 하는가 = 14
체제적 교수 설계는 어떤 교수 유형과 학생 집단에 적합한가 = 15
체제적 접근 방법은 누가 사용해야 하는가 = 16
제2장 초기 분석(FEA)을 이용한 교수 목표 규명
학습 목표 = 22
배경 = 23
개념 = 25
수행 분석 = 27
요구 분석 = 33
직무 분석 = 36
교수 목표의 명확한 진술 = 38
학습자, 상황, 도구 = 39
교수 목표로 확정하기 위한 판단 준거 = 40
예시 = 42
고객 서비스 제공 = 42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46
집단 토론 유도 = 47
제3장 교수 목표 분석
학습목표 = 58
배경 = 59
개념 = 60
언어적 정보 = 61
지적 기능 = 62
운동 기능 = 64
태도 = 64
인지 전략 = 65
Bloom의 교수 목표 영역 = 66
목표 분석 절차 = 67
목표 안의 단계 규명을 위한 몇 가지 제안 = 72
예시 = 74
지적 기능의 목표 = 75
운동 기능 목표 = 76
태도 목표 = 77
언어적 정보 목표 = 78
처음 시도해 보는 전형적인 교수 분석 = 79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81
제4장 하위 기능과 출발점 기능 분석
학습목표 = 88
배경 = 89
개념 = 90
위계적 분석 방법 = 90
절차적 분석 = 97
군집 분석 = 98
태도 목표의 하위 기능 분석 방법 = 99
영역들의 통합을 위한 분석 기법(통합적 하위 기능 분석) = 100
교수 분석 결과 그리기 = 101
출발점 기능 = 104
출발점 기능의 잠정적 특성 = 107
예시 = 109
운동 기능에 대한 하위 기능 분석 = 109
태도 목표의 하위 기능 분석 = 111
출발점 기능의 규명 = 114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115
지적 기능의 위계적 분석 = 115
언어적 정보 하위 기능을 위한 군집 분석 = 119
출발점 기능의 규명 = 119
제5장 학습자와 상황 분석
학습목표 = 132
배경 = 133
개념 = 135
학습자 분석 = 135
학습자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 138
수행 환경 상황 분석 = 139
수행 환경에서의 상황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 140
학습 환경의 상황 분석 = 141
학습 환경에서의 상황 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 = 142
공립학교 상황 = 143
교수 분석의 평가와 수정 = 144
예시 = 145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148
학습자 분석 = 148
수행 상황 분석 = 150
학습자 상황 분석 = 152
제6장 수행 목표 작성
학습목표 = 160
배경 = 161
개념 = 163
수행 목표 = 163
목표의 기능 = 165
목표의 구성 요소 = 165
행동의 도출 = 167
조건의 추출 = 168
준거의 추출 = 171
목표 작성의 과정 = 172
목표의 평가 =174
예시 = 175
운동 기능 = 175
태도 = 177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179
언어적 정보와 지적 기능 = 179
제7장 평가 도구 개발
학습목표 = 188
배경 = 189
개념 = 190
준거 지향 검사의 네 가지 유형과 활용 = 191
검사 설계 = 193
숙달 수준 결정 = 195
검사 문항 준거 = 196
숙달 준거 = 200
문항 유형과 수행 목표 = 200
객관식 검사 = 202
수행, 산출물, 태도 측정을 위한 대안적 평가 = 204
포트폴리오 평가 = 210
설계 절차와의 일관성 = 211
예시 = 215
운동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체크리스트 = 215
태도와 관련된 행동을 평가하기 위한 검사 = 216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219
언어적 정보와 지적 기능을 위한 평가 항목 = 219
설계 평가 = 223
제8장 교수 전략 개발
학습목표 = 236
배경 = 237
개념 = 238
전달 체제의 선정 = 239
내용의 계열화와 군집화 = 241
교수 전략의 학습 요소 = 245
성숙도와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를 위한 학습 내용 요소 = 257
목표 유형별 학습 내용 요소 = 258
구성주의적 전략을 위한 학습 내용 요소 = 269
학습자 집단 구성 = 279
매체와 전달 체제의 선택 = 279
예시 = 286
교수 전략 개발 = 286
교수 전략 평가 = 290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291
인지 교수 전략 = 291
구성주의 교수 전략 = 302
제9장 교수 프로그램 개발
학습목표 = 316
배경 = 317
개념 = 318
교수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 전달에 있어서 설계자의 역할 = 318
전달 체제와 매체 선정 = 322
교수 패키지의 요소 = 326
기존 교수 프로그램 선택 = 327
교수 프로그램과 형성 평가 = 329
예시 = 333
교수 프로그램 개발 과정 = 333
교수 개발 절차 = 334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335
교수 전 활동 = 336
내용 제시와 학습 안내 = 338
학습자 참여 = 341
제10장 형성 평가의 설계 및 실시
학습목표 = 358
배경 = 259
개념 = 361
형성 평가 설게 = 361
형성 평가에서 내용 전문가, 학습 전문가, 현장 전문가의 역할 = 365
학습자와의 일대일 평가 = 365
소집단 평가 = 372
현장 평가 = 376
수행 상황에서의 형성 평가 = 378
선정된 교수 프로그램의 형성 평가 = 382
교사 주도적 교수 프로그램의 형성 평가 = 383
선정된 교수 프로그램과 교사 주도적 수업을 위한 데이터 수집 = 384
형성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고려 사항 = 385
교수 설계 과정의 문제 해결 = 388
예시 = 388
형성 평가 활동 = 389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395
일대일 형성 평가 과정 = 395
소집단 형성 평가 과정 = 397
교수 프로그램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를 평가하기 위한 도구 = 399
제11장 교수 프로그램 수정
학습목표 = 412
배경 = 413
개념 = 414
일대일 형성 평가로부터 얻은 데이터 분석 = 414
소집단 평가 및 현장 평가로부터 얻은 데이터 분석 = 416
데이터 검사 절차 = 422
수정 과정 = 424
선정된 교수 프로그램의 수정 및 교사 주도형 교수의 수정 = 426
예시 = 427
사례 연구: 집단 리더십 훈련 = 427
모든 검사의 목표별, 문항별 분석 = 428
모든 검사의 데이터 = 431
태도에 관한 데이터 분석 = 432
교수 프로그램 수정 방법 계획 = 437
제12장 총괄 평가의 설계 및 실행
학습목표 = 446
배경 = 447
개념 = 449
총괄 평가의 전문가 검토 단계 = 451
총괄 평가의 현장 평가 단계 = 454
형성 평가와 총괄 평가의 비교 = 459
예시 = 461
일관성 분석을 위한 데이터 요약 양식 = 461
내용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교수 프로그램의 완벽성, 정확성 평가 = 461
설계 분석을 위한 체크리스트: 교수 프로그램의 교수 전략 평가 = 463
유용성과 실행 가능성을 위한 양식: 전문가 판단 = 470
현재 사용자 분석을 위한 양식 = 470
부록 A 작문에 대한 초기 분석(Front-End Analysis)과 교수 목표에 대한 설계 측면의 판단 = 478
부록 B 작문하기 교수 목표에 대한 목표 분석 = 480
부록 C 출발점 기능 표시가 되어 있는 작문하기 목표의 선언적 문장 부분에 대한 위계적 분석 = 481
부록 D 학습자 특성, 수행 맥락, 학습 환경 분석 = 482
부록 E 하위 기능, 수행 목표, 평행 검사 항목을 포함한 평가표 설계 = 486
부록 F 목표의 계열화와 군집화, 사전 교수 활동 및 평가 활동을 위한 교수 전략 = 490
부록 G 내용 제시, 학생 참여 내용 요소를 위한 교수 전략과 그 전략에 근거한 수업시간의 할당 = 493
부록 H 구성주의 학습 환경을 위한 계획 = 498
부록 I 세션 1: 출발점 기능을 위한 동기적 교수 프로그램, 단원 목표, 평가 = 504
부록 J세션 2: 예비 시험; 신문기사 쓰기와 기사를 평가하는 데 '평가 점수표' 사용하기 = 509
부록 K 세션 3: 하위 기능 5.6부터 5.11까지의 사전 평가와 교수 프로그램 = 511
부록 L 집단별, 개인별 목표 성취 정도와 교수 프로그램에 대한 태도 = 518
부록 M 교수 프로그램 수정 분석 양식 = 524
용어설명 = 527
찾아보기 = 5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