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사 교육을 위한) 실기교육방법론

(교사 교육을 위한) 실기교육방법론 (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진규 金振奎
서명 / 저자사항
(교사 교육을 위한) 실기교육방법론 / 김진규 著
발행사항
서울 :   학이당,   2009  
형태사항
416 p. : 삽화 ; 27 cm
ISBN
9788984201606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15-416
000 00639camcc2200229 c 4500
001 000045555102
005 20120623134446
007 ta
008 090921s2009 ulka b 000c kor
020 ▼a 9788984201606 ▼g 93370
035 ▼a (KERIS)BIB000011786730
040 ▼a 211062 ▼c 211062 ▼d 211009
082 0 4 ▼a 371.3 ▼2 22
085 ▼a 371.3 ▼2 DDCK
090 ▼a 371.3 ▼b 2009z5
100 1 ▼a 김진규 ▼g 金振奎 ▼0 AUTH(211009)124894
245 2 0 ▼a (교사 교육을 위한) 실기교육방법론 / ▼d 김진규 著
260 ▼a 서울 : ▼b 학이당, ▼c 2009
300 ▼a 416 p. : ▼b 삽화 ; ▼c 27 cm
504 ▼a 참고문헌: p. 415-416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9z5 등록번호 11155013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1.3 2009z5 등록번호 11155014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진규(지은이)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미국 University of Alabama 대학원(철학박사) 부천대학교 특임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학습지도의 실제 = 15
 제1절 학생분석 = 15
  1. 학생의 필요분석 = 16
  2. 학생의 흥미분석 = 17
  3. 학생의 의식분석 = 18
  4. 학생의 자료분석 = 22
 제2절 교육과정의 분석 = 26
  1. 유치원 교육과정 = 26
  2. 초ㆍ중등학교 교육과정 = 32
 제3절 현행 교과의 분석 = 46
  1. 교육과정과 교과서 = 46
  2. 단원전개과정 = 47
  3. 수업전개과정 = 50
  4. 단원분석과정 = 55
 제4절 학습지도의 과정 = 58
  1. 학습지도의 계획 = 58
  2. 장기학습지도계획 = 58
  3. 단기학습지도계획 = 62
제2장 학습지도의 이론 = 71
 제1절 학습의 본질 = 71
  1. 학습의 정의 = 72
  2. 지도의 정의 = 73
  3. 수업의 정의 = 75
 제2절 학습지도의 원리 = 78
  1. 학습지도 원리의 개념 = 78
  2. 학습지도의 제원리 = 79
 제3절 학습이론 = 82
  1. S-R이론 = 82
  2. 인지이론 = 92
  3. 기타 학습이론 = 98
제3장 교육방법의 본질 = 101
 제1절 교육방법의 개념 = 101
  1. 교육방법의 의미 = 101
  2. 교육방법의 범위 = 102
  3. 교육방법의 정의 = 103
 제2절 교육방법의 구조 = 104
  1. 학습추구의 과정 = 104
  2. 학습의 외적조건 = 105
  3. 학습의 내적조건 = 105
제4장 교수의 기초이론 = 123
 제1절 수업절차의 일반적 모형 = 123
  1. 일반모형의 요소 = 123
  2. 일반모형의 절차 = 124
 제2절 수업목표의 진술 = 129
  1. 메이거(Mager)방식에 의한 진술 = 131
  2. 그론룬드(Gronlund)방식에 의한 진술 = 134
  3. 블룸(Bloom)방식에 의한 분류 = 135
 제3절 학습과제의 분석 = 145
  1. 최종수업목표와 학습과제 분석 = 146
  2. 학습과제분석의 필요성 = 147
  3. 학습과제의 분석법 = 148
 제4절 학습경험의 선정 = 153
  1. 학습경험의 의미 = 153
  2. 학습경험선정의 일반적 기준 = 155
  3. 수업목표별 학습경험 = 157
 제5절 학습경험의 조직 = 159
  1. 학습경험 조직의 문제점 = 159
  2. 학습경험 조직의 기준 = 160
제5장 교수의 유형 = 167
 제1절 교수구조의 기본형태 = 167
  1. 일제학습 = 167
  2. 공동학습 = 168
  3. 개별학습 = 170
 제2절 교수모형의 유형 = 171
  1. 글레이저(Glaser)의 교수모형 = 173
  2. 캐롤(J. B.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 176
  3. 플렌더즈(N. A. Flanders)의 상호작용 모형 = 178
  4.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 모형 = 182
  5. 브루너(J. S. Bruner)의 교수이론 = 185
  6. 피아제(J.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187
  7. 오슈벨(Ausubel)의 유의미 학습이론 = 189
  8. 마시알라스(Massialas)의 탐구학습이론 = 191
  9. 한국교육개발원의 수업체제모형 = 193
 제3절 교수방법의 제 형태 = 194
  1. 칠판 이용법 = 194
  2. 강의법 = 196
  3. 문제해결학습 = 198
  4. 질문법 = 203
  5. 구안법 = 208
  6. 협동교수제 = 210
  7. 프로그램 학습 = 212
  8. 브레인스토밍 = 220
  9. 역할활동 = 221
  10. 워크샵 = 224
  11. 심포지엄 = 226
  12. 세미나 = 228
  13. 패널토의 = 230
  14. 대담토론 = 234
  15. 공개토론 = 236
  16. 소집단 분과토론 = 238
  17. 집단토의 = 240
  18. 컴퓨터 보조수업 = 243
  19. On-line 교육과 교수홈페이지 활용법 = 257
  20. 첨단 e-강의실 시스템 활용법 = 267
제6장 교수매체 = 273
 제1절 교수매체의 개념 = 273
  1. 교수매체의 의미 = 273
  2. 교수매체의 선택기준 = 214
 제2절 교수매체의 특성 = 275
  1. 교수매체활용의 일반적 원리 = 275
  2. 교수매체의 효과 = 277
 제3절 교수매체의 이론적 기초 = 278
  1. 호반(C. F. Hoban)의 이론 = 278
  2. 올센(E. G. Olsen)의 이론 = 279
  3. 데일(E. Dale)의 이론 = 280
  4. 킨더(J. S. Kinder)의 이론 = 281
 제4절 교수매체의 유형 = 282
  1. 간이매체 = 285
  2. 광학적 교재와 기재 = 289
  3. 음향적 교재와 기능 = 292
  4. 영상적 교재와 기능 = 293
  5. 자동화 장치 = 294
  6. 멀티미디어와 교육 = 296
 제5절 교수매체의 선정 및 활용 = 305
  1. 교수매체의 선정 = 305
  2. 교수매체의 활용 = 306
 제6절 교수매체의 발전동향 = 307
제7장 교육평가 = 313
 제1절 교육평가의 의미 = 313
  1. 교육평가의 정의 = 313
  2. 교육평가의 기능 = 314
 제2절 교육평가의 형태 = 315
  1. 평가기준에 따른 형태 = 316
  2. 수업과정 단계에 따른 형태 = 318
 제3절 교육평가의 방법 = 321
  1. 교육목적의 설정 = 321
  2. 평가도구의 선정과 제작 = 323
  3. 평가의 실시 및 결과처리 = 329
  4. 평가결과의 해석 및 활용 = 336
 제4절 평가도구의 구비요건 = 337
  1. 타당도 = 337
  2. 신뢰도 = 340
  3. 객관도 = 342
  4. 실용도 = 343
제8장 교사론 = 347
 제1절 교사의 위치와 기능 = 347
  1. 교사의 중요성 = 347
  2. 인간형성자로서의 교사 = 348
  3. 교육기술자로서의 교사 = 350
  4. 전문직업인으로서의 교사 = 351
 제2절 교사의 자질과 자기분석 = 352
  1. 교사의 자질 = 352
  2. 자기분석 = 356
 제3절 교사의 특성 = 362
  1. 교사-학생의 관계 = 362
  2. 직업적인 면 = 366
  3. 윤리적인 면 = 368
  4. 개인적 특질 = 370
 제4절 교사의 자기 및 학생평가 = 374
  1. 교사의 자기평가 = 314
  2. 교사에 대한 학생평가 = 314
 제5절 실기교사 = 375
  1. 실기교사 자격기준 = 377
  2. 실기교사의 무시험검정 = 378
  3. 실기교사 자격증 표시과목 = 380
  4. 실기교사 표시과목의 관련학과 및 기본이수 영역 = 381
  5. 실기교사 표시과목 해당 국가기술자격 종목 = 384
 제6절 교육실습 = 385
  1. 교육실습의 기초 = 385
  2. 교육실습의 목적 = 386
  3. 교육실습의 단계 = 387
  4. 현장실습 교육기관의 선정절차 = 393
  5. 현장실습록 양식 = 394
 제9장 학습지도안 실례 = 403
  1. 사회과 학습지도안 = 403
  2. 생물과 학습지도안 = 407
  3. 체육과 학습지도안 = 410
참고문헌 = 415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민지 (2023)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 (2023)
이병환 (2023)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
성신여자대학교. 인문융합연구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