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5
Chapter 01 생리학적 접근과 분류 = 20
이 장의 목표 = 21
1. 자폐 스펙트럼 장애 분류 체계 = 24
정신장애 진단통계 편람(DSM) = 24
국제 질병 분류(ICD) = 28
사회적 및 의사소통장애를 위한 진단 인터뷰(DISCO) = 29
장애인교육법(IDEA) = 29
2. 출현율 = 30
3.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원인 = 31
원인의 귀속사 = 31
장애 발생 시기 = 35
뇌의 구조와 기능의 차이 = 36
환경적인 독소들 = 38
MMR 백신에 대한 귀인 전개과정 = 38
4. 생리학적 중재 = 40
약물 치료 = 40
식이요법 = 43
감각활동 = 45
5. 전문가들과 협력하기 = 48
논의를 위한 제안 = 51
Chapter 02 사정 = 54
이 장의 목표 = 55
1. 선별도구 = 57
유아기 자폐증 체크리스트(CHAT) = 58
사회적 의사소통 설문지(SCQ) = 60
바인랜드 사회ㆍ정서적 유아기 척도(SEEC) = 61
기질과 비전형적인 행동 척도(TABS) = 61
2. 진단과정 = 63
아동기 자폐증 평정 척도(CARS) = 63
Gilliam 자폐증 평정 척도(GARS) = 65
사회적 및 의사소통장애를 위한 진단적 인터뷰(DISCO) = 67
자폐증 진단 인터뷰(개정판)와 자폐증 진단관찰 스케줄(ADOS) = 67
3. 교육 계획과 중재를 위한 사정 = 70
교육 계획을 위한 자폐증 선별도구(ASIEP-2) = 71
심리교육 프로파일(PEP) = 71
청소년과 성인용 심리교육적 프로파일(AAPEP) = 73
기능적ㆍ정서적 사정 척도(FEAS) = 74
McGill 행동 계획 시스템(MAPS) = 75
4. 교육과정 중심 사정과 진보 점검 = 75
교육과정 중심 사정도구 = 77
기본 언어와 학습 기능의 사정(ABLLS) = 79
5. 계속적인 진보 점검 = 81
6. 프로그램 평가 = 85
논의를 위한 제안 = 86
Chapter 03 증거에 기초한 교육 실행 = 88
이 장의 목표 = 89
1. 왜 교육 전략을 수행해야 하는가 = 91
2. 중재는 언제 시작해야 하는가 = 92
3. '언제, 누가,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에 대한 주의 법은 무엇인가 = 94
4. 개별화 교육프로그램과 개별화 가족지원계획 = 95
낙오학생지법 = 97
5. 개별화 교육프로그램과 개별화 가족지원계획 팀에는 누가 참여하는가 = 98
6. 교수 장소는 어디인가 = 101
가정 = 101
통합환경 = 102
사회성 발달을 위해 일반 또래들과 함께하는 기회 = 103
일반교육과정의 조절을 통한 학업기술의 증가 = 104
독립성의 증진 = 106
특별하고 분리된 교육 프로그램 = 109
7.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110
8. 증거 기반 실제를 적용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은 무엇인가 = 115
장애인을 교육하는 사람들의 CEC 윤리철학 = 115
증거 기반 실제 또는 과학적 기반 실제 확인 = 116
9. 촉진적 의사소통의 평가: 증거의 지지가 없는 전략 = 119
증거에 기초한 선택과 '새로운' 전략 = 121
논의를 위한 제안 = 124
Chapter 04 응용행동분석: 기술 증진시키기 = 126
이 장의 목표 = 127
1. 응용행동분석의 이론적 기반 = 130
2. 응용행동분석과 자폐증의 역사 = 131
3. 윤리적 응용 = 134
4. 핵심 개념 = 135
강화의 원리 = 136
선호도 사정 = 138
동기화 시스템 = 140
자극 통제 = 142
표적행동 조작하기 = 147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 선택하기 = 152
일반화와 유지를 위한 계획하기 = 156
목표와 관련된 자료의 수집과 시각화 = 157
5. 핵심 개념에 근거한 전략 = 162
비연속 개별시도 교수 = 162
우연 교수 = 164
중심축반응훈련 = 165
또래 및 부모와 협력하기 = 166
6. 실제 적용을 위한 핵심 개념 = 168
7. 실제를 위한 연구지원 = 169
논의를 위한 제안 = 171
Chapter 05 응용행동분석: 대체행동 가르치기 = 174
이 장의 목표 = 175
1. 행동 감소를 위한 응용행동분석의 발달 = 178
2.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 선택하기 = 180
3. 강화 = 181
소거 = 182
차별 강화 = 184
벌 = 185
4. 동기 조작 = 187
5. 자극-반응-결과 혹은 선행사건-행동-후속결과 = 188
6. 관찰과 측정 = 188
7. 핵심 개념에 근거한 전략 = 188
문제행동 예방하기 = 189
8. 기능적 분석과 사정 = 190
간편기능분석 = 191
기능적 행동사정 = 192
9. 가족과의 협력을 통한 기능적 사정의 실행 = 196
10. 교육자의 기능적 사정 실행 = 197
행동 중재 계획 = 200
11. 기능적 의사소통훈련 = 201
12. 자기관리 = 203
13. 토큰 경제 = 205
행동 계약 = 206
14. 전략의 결합 = 207
15. 실제에 투입할 핵심 개념 = 210
16. 행동 감소와 대체행동을 위한 응용행동분석을 적용한 연구 = 210
논의를 위한 제안 = 211
Chapter 06 발달적ㆍ사회적 관계 접근 = 214
이 장의 목표 = 215
1. 발달적ㆍ사회적 관계 접근을 위한 이론적 기초 = 217
교류적 모델 = 224
2. DIR/Floor Time 접근 = 225
DIR/Floor Time 접근의 발전 = 225
DIR/Floor Time 접근의 주요 개념 = 226
Floor Time의 주요 개념에 근거한 전략들 = 228
DIR/Floor Time 접근의 주요 개념에 대한 증거 = 229
3.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반응적 교수의 역사 = 230
반응적 교수의 주요 개념 = 231
반응적 교수의 주요 개념에 기초한 전략들 = 232
반응적 교수의 증거 = 233
4.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대상으로 한 관계발달중재의 역사 = 233
관계발달중재(RDI)의 주요 개념 = 234
관계발달중재(RDI)의 중심 개념에 기초한 전략들 = 236
관계발달중재(RDI)의 증거 = 237
5.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덴버 모형의 역사 = 237
덴버 모형의 주요 개념 = 238
덴버 모형의 주요 개념에 근거한 전략들 = 239
덴버 모형의 증거 = 239
6.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중심반응훈련 = 241
중심축반응훈련의 주요 개념과 연구성과에 기초한 전략들 = 241
7. 자폐 스펙트럼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SCERTS의 역사 = 242
SCERTS 모형의 주요 개념 = 242
SCERTS의 주요 개념에 기초한 전략들 = 244
8. 발달적ㆍ사회적 관계 접근의 주요 개념을 실제에 적용하기 = 246
9. 발달적ㆍ사회적 관계 접근에 대한 연구 = 248
논의를 위한 제안 = 250
Chapter 07 문화적 접근 = 252
이 장의 목표 = 253
1. TEACCH 접근에 대한 이론적 토대 = 255
구조화된 교수 접근 = 257
구조화된 교수의 역사 = 257
2. 주요 개념 = 259
관계보다 세부 내용에 집중 = 259
주의산만성 = 259
구체적 사고 대 추상적 사고 = 260
조직화 기술과 서열화 기술의 결함 = 260
일반화의 어려움 = 261
시간의 비전형적인 분별 = 261
학습의 차이 = 261
신경행동적 양식의 차이 = 262
3. 주요 개념에 기초한 전략 = 262
물리적 조직화 = 262
스케줄 = 263
작업 체계 = 264
과제 조직화 = 266
4. 실제에 투입된 주요 개념 = 267
5. 구조화된 교수와 TEACCH 접근에 대한 연구 = 268
6. 다양한 문화의 가정과 협력하기 = 271
문화적 호혜주의 태도 = 273
7. 문화적 반응 방법으로 수업하기 = 277
다양한 학습자를 위한 수업 양식 채택하기 = 278
문화적 반응 교수 방법 = 280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교육과정 자료 = 282
8. 교육목표로서 정체성 발달 촉진하기 = 282
9. 문화에 초점을 둔 실제의 연구 지원 = 283
논의를 위한 제안 = 284
Chapter 08 의사소통 = 286
이 장의 목표 = 287
1. 언어발달 이론 = 289
2. 일반적인 의사소통 발달의 이해 = 290
3. 자폐증의 의사소통 문제와 지체 = 295
의사소통 강점 = 297
4. 의사소통의 중요성 = 297
문화적 유사성과 차이점 = 298
의사소통 목표를 선택하기 위하여 가족과 협력하기 = 299
5. 의사소통 상대로서 교육자의 기술 향상시키기 = 301
의사소통 상대방의 차이 = 301
잦은 기회 제공하기 = 302
학습자 동기 유발하기 = 303
의사소통 시도 알아차리기 = 303
일상생활 속에 의사소통 포함하기 = 304
감정과 즐거움 통합하기 = 304
의사소통의 지속성과 복잡성 정교화하기 = 305
6. 구어에 초점 맞추기 = 308
첫 음에서 음절까지 = 308
자폐증과 제2언어 학습에 대한 연구 = 310
7. 보완대체 의사소통 체계 사용하기 = 311
8. 비구어적 의사소통 결핍 다루기 = 317
9. 도전행동을 대체하는 기능적 의사소통 = 318
10. 복잡한 언어를 가르치기 위한 전략 = 320
11. 의사소통을 촉진하기 위한 증거 기반 학급 설계하기 = 321
논의를 위한 제안 = 322
Chapter 09 사회성 기술과 사회적 관계 형성 = 324
이 장의 목표 = 325
1. 사회성 발달 이론 = 327
2. 일반적인 사회정서 발달의 이해 = 328
또래와 형제자매의 상호작용 = 330
3. 자폐 스펙트럼 장애의 사회정서적 문제들 = 331
4. 타인과의 관계 형성의 중요성 = 335
5. 사회적 협력자로서 교사의 기술 촉진 = 336
6. 공동 주의하기와 사회적 참조 제시하기 = 337
7. 또래들에게 초점 맞추기 = 341
또래와의 사회적 놀이 기술을 가르치기 위해 행동 전략 통합하기 = 341
통합 놀이집단: 사회구성주의 접근의 사용 = 345
8. 대화기술 다루기 = 350
9. 사회성 기술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 추가적인 전략들 = 351
각본(script)과 각본의 소거 = 351
비디오 모델링 = 355
상황 이야기 = 355
10. 일터에서의 협력 = 359
11. 사랑과 결혼 = 361
12. 앞으로의 과제와 연구 문제 = 367
논의를 위한 제안 = 368
Chapter 10 지원 체계와 의무 = 370
이 장의 목표 = 371
1. 인적 자원의 부족 = 373
2. 효과적인 연수의 주요 요소 = 375
3. 교육자를 위한 연수와 관련한 관리자의 중요성 = 376
관리, 지도, 감독 지원 = 376
4. 체계적 접근을 위한 실행 = 379
5. 효과적 수행을 위한 시스템의 책무성 = 380
6. 효과적인 수행의 유지와 승인 = 382
7. 정책변화를 위한 가족의 주장 = 384
8. 중요한 파트너로서의 가족 = 389
9. 가족/전문가 협력에 대한 도전 = 391
10. 증거에 기초한 수행에 대한 부모의 추천 = 392
11. 수행을 위한 공동체 설립에 관한 낙관과 행동의 외침 = 394
논의를 위한 제안 = 395
참고문헌 = 397
찾아보기 =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