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글 = 4
제1편 신문제목
제1장 제목의 정의
1. 제목의 개념 = 88
1) 제목과 표제 = 18
2) 제목의 영문표기 = 20
3) 잡지제목과의 관계 = 20
4) 뉴스면과 간지면 = 21
2. 제목의 역활 = 21
1) 뉴스의 등급화 = 22
2) 홍보적 기능 = 27
3) 요약과 압축 = 27
4) 암시적 기능 = 29
5) 계도성 기능 = 31
6) 지면의 미화 = 31
제2장 제목의 형태와 종류
1. 제목의 형태 = 33
1) 주제목 = 33
2) 부제목 = 34
3) 원형제목 = 35
4) 변형제목 = 35
5) 객관제목 = 37
6) 주관제목 = 37
7) 대립제목 = 38
8) 중간제목 = 39
9) 문패제목 = 39
2. 제목의 종류 = 40
1) 한 줄 제목 = 41
2) 두 줄 제목 = 42
3) 직사각형 제목 = 43
4) 통단 제목 = 43
5) 좌우 끝맞추기 제목 = 44
5) 다이아몬드형 제목 = 45
7) 걸기 제목 = 45
8) 피라미드형 제목 = 46
9) 평행사변형 제목 = 47
10) 돌출 제목 = 47
11) 망치 제목 = 48
12) 꺾기 제목 = 40
13) 붙는 제목 = 50
14) 빗금 제목 = 50
15) 꾸밈 제목 = 51
16) 도형 제목 = 52
17) 측면 제목 = 52
18) 변동 제목 = 53
19) 혼동 제목 = 54
20) 흐름 깨는 세로제목 = 55
제2편 제목의 변천
제1장 초기의 신문제목
1. 길잡이식 제목시대 = 58
1) 한성순보 = 59
2) 한성주보 = 61
3) 독립신문 = 61
4) 협성회보 = 63
5) 황성신문 = 64
2. 다단성 제목등장 = 64
1) 매일신보 = 64
2) 주관제목의 서곡 = 71
3. 격동기의 동아일보 제목 = 72
1) 주관적 제목 = 72
2) 기사식 제목 = 76
3) 핵심적 제목의 탄생 = 79
4) 군더더기 제목 = 84
5) 효율적 한글 제목 = 93
6) 우왕좌왕 가로제목 = 107
7) 감성적인 제목 = 113
8) 컷사용 제목 본격 등장 = 114
9) 구어체ㆍ계도성 제목 선봬 = 116
10) 변환기의 40ㆍ50년대 = 119
4. 현대화 이끈 조선일보 제목 = 121
1) 토씨ㆍ띄어쓰기 제목 = 121
2) 감동적인 제목 = 124
3) 흥분의 3단통 제목 = 125
4) 자리잡아 가는 객관제목 = 126
5) 구어체 문장 본격화 = 127
5) 압축기능의 이단아 '꺾쇠' = 129
7) 정보화사회의 예고 = 129
8) 상황 전개식 표현 = 130
5. 체제ㆍ제목 혁신의 시대 = 133
1) 단간제와 가로신문 = 133
2) 재치 발랄한 제목 = 140
6. 2000년 밀레니엄시대 = 144
1) 변칙적인 조어의 난무 = 144
2) 전향적인 바른 제목 = 158
제3편 제목의 작성
제1장 제목의 기본
1. 보편타당성 원칙 = 178
1) 예의와 정중성 = 178
2) 박진감의 이면 = 180
3) 간결과 구체성 = 180
4) 평이와 리드미컬 = 181
5) 주어의 위치 = 182
6) 압존법의 존재 = 183
7) 재치와 감동성 = 184
8) 구어체가 호감 = 185
9) 적확한 단어찾기 = 186
10) 약어와 부호 = 186
2. 문장의 기본 = 188
1) 첫 행에서 확실히 표현 = 188
2) 한 행은 한 문장이 원칙 = 190
3) 시제를 바로잡기 = 190
4) 실수에 대비하기 = 191
5) 명사의 연속 피하기 = 192
5) 단어의 중복 피하기 = 192
7) 반대개념의 단어쓰기 = 193
8) 상투적 단어 피하기 = 194
9) 쉬운 용어 사용하기 = 194
10) 신조어와 억지조어 = 195
11) 호칭 바로쓰기 = 196
12) 올바른 숫자표기 = 197
13) 육하원칙 지키기 = 197
제4편 한글과 서체
제1장 한글의 특징
1. 서체의 고유성 = 204
1) 글자체의 종류 = 205
2) 본문 글자의 크기 = 210
3) 행간과 자간 = 211
4) 제목글자의 크기 = 212
제5편 제목작성 실무
제1장 제목작성의 요령
1. 좋은 리드ㆍ좋은 제목 = 216
1) 기사 충분히 읽기 = 217
2) 메모습관 기르기 = 217
3) 타지 파악하기 = 218
4) 기사 흐름입기 = 218
5) 제목 다시 돌리기 = 219
6) 기록성도 챙겨보기 = 221
7) 필수적인 문패달기 = 221
8) 제목을 암기해 두기 = 222
2. 제목작성의 유형 = 222
1) 대화체 어법 = 223
2) 단정체 어법 = 224
3) 비교체 어법 = 224
4) 동음이의 어법 = 224
5) 중복어 활용법 = 225
6) 반의어 사용법 = 225
7) 유행어 활용법 = 226
8) 속담ㆍ격언 대입법 = 226
9) 의문 어법 = 226
10) 조어기법 = 227
11) 감성기법 = 227
제2장 분야별 제목형태
1. 단신기사 제목 = 232
2. 1단기사 제목 = 233
3. 다단성 기사 제목 = 234
1) 정치기사 제목 = 235
2) 경제기사 제목 = 236
3) 사회기사 제목 = 237
4) 문화기사 제목 = 238
5) 체육기사 제목 = 239
4. 인터뷰기사 제목 = 239
5. 스케치기사 제목 = 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