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 어린이의 재발견)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 어린이의 재발견)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이해와 적용 (14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오종숙
단체저자명
아뜰리에 교육연구소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 어린이의 재발견)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이해와 적용 / 오종숙.
발행사항
파주 :   양서원 ,   2009.  
형태사항
334 p. : 일부색채삽도 ; 26 cm.
ISBN
9788959644827
서지주기
참고문헌: p. 331-334
000 00649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553853
005 20100805024400
007 ta
008 090819s2009 ggka b 000c kor
020 ▼a 9788959644827 ▼g 93370
035 ▼a (KERIS)BIB000011758404
040 ▼a 211006 ▼c 211006 ▼d 211009
082 0 4 ▼a 372.21 ▼2 22
090 ▼a 372.21 ▼b 2009z3
100 1 ▼a 오종숙
245 2 0 ▼a (교육과 어린이의 재발견)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이해와 적용 / ▼d 오종숙.
260 ▼a 파주 : ▼b 양서원 , ▼c 2009.
300 ▼a 334 p. : ▼b 일부색채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 p. 331-334
710 ▼a 아뜰리에 교육연구소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9z3 등록번호 11154940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2.21 2009z3 등록번호 1115494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오종숙(지은이)

저자는 학부과정에서 초등교육과 미술을, 두 차례의 석사과정에서 서양화와 유아교육을, 박사과정에서 교육철학 등을 공부하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아동 미술교육에 대한 연구를 계속해 왔다. 15년 전부터 이탈리아의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을 우리 교육현장에 꾸준히 실천해 가며 이 교육의 철학적 배경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계속해 오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레지오에밀리아 교육사상과 실천」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특히 저자는 이 교육의 순환성과 발현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전통의 탐구를 통해 이 교육이 해석학적 교육임을 재조명하고 있다. 서울대학교, 고려대학교,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강의해 오고 있으며 백석예술대학 아동미술과에 재직했고 삼성어린이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부설 어린이 미술관 등 우리나라 최초의 어린이 박물관과 미술관 개관에 참여했다. <어린이들의 자화상 프로젝트>, <유아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어린이를 위한 환경구성 Ⅰ, Ⅱ> 등의 저서가 있다. 또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라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아동대화의 대화다움에 대한 해석적 이해, 프로젝트 학습에서 상호주관성과 미술표현의 관계 등 아동들의 놀라운 힘을 실존 그대로 드러내는 연구를 하고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역사와 철학
 1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역사 = 14
  1. 역사적 배경 = 14
  2. 지역사회 중심의 조직 = 18
 2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 철학 = 20
  1.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에의 영향 그리고 극복 = 20
  2. 지향하는 가치 = 27
  3. 유능한 어린이 = 31
  4. 조우와 대화의 장소로서의 교육 = 34
  5. 실천을 통해 이론을 갖게 되는 교사 = 42
  6. 문화 창출의 장소로서의 학교 = 48
제2부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실제
 1장 교실에서의 일상 순간의 가치 = 56
 2장 교육과정을 대신하는 프로젝트 = 66
  1. 발현적 교육과정 = 66
  2. 프로젝트의 구성과 전개 = 69
  3. 레지오 에밀리아의 프로젝트 사례 = 83
  4. 프로젝트에서의 비평적 읽기 = 87
  5. 프로젝트에서의 교사의 지원전략 = 95
 3장 기록작업 = 99
  1. 귀 기울임의 실천으로서의 기록작업 = 100
  2. 학습과정의 가시화로서의 기록작업 = 101
  3. 해석과 평가 그리고 전문성 발달로서의 기록작업 = 102
  4. 삶과 교육의 통합으로서의 기록작업 = 105
제3부 실천을 위한 더 깊은 이해
 1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순환성 = 112
  1. 순환성에 대한 해석적 이해 = 113
  2. 순환성의 교육적 의미 = 123
 2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발현 = 134
  1. 발현에 대한 해석적 이해 = 134
  2. 발현의 교육적 의미 = 145
 3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일상 = 150
  1. 일상에 대한 해석적 이해 = 150
  2. 아동의 일상에 대한 이해 = 152
 4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의미 만들기 = 173
  1. 학습에서의 의미 만들기 담론 = 174
  2. 아동들의 의미 만들기에 대한 이해 = 177
 5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아동 대화의 '대화다움' = 191
  1. 대화에 대한 해석적 이해 = 193
  2. 아동 대화의 '대화다움'에 대한 이해 = 199
 6장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과 상호 주관성 = 214
  1. 상호 주관성에 대한 해석적 이해 = 215
  2. 아동들의 상호 주관성에 대한 이해 = 223
제4부 실천사례
 1장 일상의 순간들 = 246
  1. 입체, 평면을 연결하기 = 247
  2. 매체에 대한 새로운 해석 = 250
  3. 다리 달기에 대한 다양한 전략들 = 254
  4. 눈, 코, 입을 매다는 각기 다른 전략들 = 265
 2장 프로젝트 사례 = 275
  1.  "빗방울은 왜 떨어질까?" = 275
  2.  "초록 입술 나뭇잎" = 289
  3.  "이상한 공원" = 295
참고문헌 = 331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