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행정학 일반
제1장 행정의 의의 = 16
Ⅰ. 행정의 정의 = 16
Ⅱ. 행정개념의 변천 = 18
제2장 행정학의 특성과 행정이념 = 27
Ⅰ. 행정의 특성 = 27
Ⅱ. 행정학의 특성 = 32
Ⅲ. 행정이념 = 35
제3장 행정환경과 행정학의 접근방법 = 48
Ⅰ. 내부적 환경 = 48
Ⅱ. 외부적 환경 = 50
Ⅲ. 행정학 접근방법 = 61
제4장 행정학의 발달과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 = 75
Ⅰ. 행정학의 발달 = 75
Ⅱ. 행정학 패러다임의 변화 = 89
제5장 행정학의 주요 이론 = 98
제6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행정과학 = 117
Ⅰ.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 117
Ⅱ.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행정과학 = 136
제2편 정책론
제7장 정책과 정책학의 본질 = 150
Ⅰ. 정책의 정의 = 150
Ⅱ. 정책의 주요 이론 = 157
Ⅲ. 정책학의 본질 = 161
제8장 정책과정과 정책참여자 = 168
Ⅰ. 정책과정 = 168
Ⅱ. 정책참여자 = 174
제9장 정책형성 및 정책결정 = 179
Ⅰ. 정책형성 = 179
Ⅱ. 정책결정 = 184
Ⅲ. 정책결정모형 = 200
제10장 정책집행과 정책평가 = 213
Ⅰ. 정책집행 = 213
Ⅱ. 정책평가 및 변동 = 222
제3편 조직론
제11장 조직의 본질과 관료제 = 228
Ⅰ. 조직의 본질 및 현대 조직이론의 특징 = 228
Ⅱ. 관료제 = 234
Ⅲ. 애드호크라시(Adhocracy) = 239
제12장 동기부여 및 의사전달 = 245
Ⅰ. 동기부여 = 245
Ⅱ. 의사전달과 조직관리 = 252
제13장 리더십과 조직 갈등 = 258
Ⅰ. 리더십 = 258
Ⅱ. 조직 갈등과 조직발전 = 262
제4편 인적자원관리론
제14장 인사행정의 본질 = 270
제15장 인사행정제도와 중앙인사기관 = 282
Ⅰ. 공직의 분류 = 282
Ⅱ. 중앙인사기관 = 291
제16장 공무원의 임용 = 296
제17장 공무원의 능력발전과 단체행동 = 306
Ⅰ. 능력발전 = 306
Ⅱ. 사기앙양 = 312
Ⅲ. 공무원의 단체행동과 정치적 중립성 = 316
제5편 재무행정론
제18장 재무행정의 본질 = 322
제19장 예산과정 = 333
Ⅰ. 예산편성 = 333
Ⅱ. 예산심의와 집행 = 336
제20장 예산제도의 종류와 구매행정 = 342
Ⅰ. 예산제도 = 342
Ⅱ. 조세제도 = 349
Ⅲ. 구매행정 = 359
제6편 지방자치론
제21장 지방자치의 본질과 역사 = 364
Ⅰ. 지방자치의 본질 = 364
Ⅱ. 지방자치의 구성과 유형 = 369
Ⅲ. 우리나라 지방자치의 역사 = 375
Ⅳ. 지방자치의 이념 = 391
제22장 중앙집권과 지방분권 = 400
Ⅰ. 집권과 분권 = 400
Ⅱ. 신중앙집권과 신지방분권 = 408
제23장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과 계층구조 = 416
Ⅰ. 지방자치단체의 기관구성 = 416
Ⅱ.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 426
제24장 지방의회와 자치단체장 = 438
Ⅰ. 지방의회(의결기관) = 438
Ⅱ. 지방자치단체장과 집행기관 = 446
Ⅲ. 지방의회와 지방자치단체장의 관계 = 454
제25장 지방선거와 지방재정 = 458
Ⅰ. 지방선거 = 458
Ⅱ. 우리나라의 지방선거 = 464
Ⅲ. 지방재정 = 471
제7편 행정윤리 및 행정개혁
제26장 행정윤리 및 부패 = 484
Ⅰ. 행정윤리 = 484
Ⅱ. 행정부패 = 496
제27장 세계화와 행정변화 = 527
Ⅰ. 세계화의 본질 = 527
Ⅱ. 자유무역협정 = 532
Ⅲ. GATT(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 539
Ⅳ. 세계무역기구(WTO) = 542
제28장 행정개혁 = 545
Ⅰ. 행정개혁 = 545
Ⅱ. NPM과 New Governance를 통한 행정개혁 = 565
Ⅲ. 행정경영화의 전략 = 573
제29장 지식정보화사회에서 전자정부와 행정의 역할 = 581
Ⅰ. 전자정부 = 581
Ⅱ. 지식행정 = 590
참고문헌 = 597
색인 = 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