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정치학 개정증보판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정치학 개정증보판 (1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용일 金容逸
서명 / 저자사항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정치학 / 김용일.
판사항
개정증보판
발행사항
서울 :   문음사 ,   2009.  
형태사항
558 p. : 연표 ; 24 cm.
ISBN
9788981684594
서지주기
참고문헌(p. 518-536)및 색인수록
000 00614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553518
005 20100805024131
007 ta
008 091009s2009 ulkj b 001a kor
020 ▼a 9788981684594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79.152 ▼2 22
090 ▼a 379.152 ▼b 2009
100 1 ▼a 김용일 ▼g 金容逸 ▼0 AUTH(211009)134076
245 1 0 ▼a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 : ▼b 지방교육자치제도의 정치학 / ▼d 김용일.
250 ▼a 개정증보판
260 ▼a 서울 : ▼b 문음사 , ▼c 2009.
300 ▼a 558 p. : ▼b 연표 ; ▼c 24 cm.
504 ▼a 참고문헌(p. 518-536)및 색인수록
945 ▼a KINS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9.152 2009 등록번호 1115490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9.152 2009 등록번호 11154901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용일(지은이)

한국해양대학교 교직과 교수이다. 사단법인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소장을 역임했으며, 서울교육발전계획 T/F 위원장(서울특별시교육청), 대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교육문화팀장, 교육부 정책자문위원회와 사학분쟁조정위원회 위원을 지냈다. 지은 책으로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2012, 공저), <교육의 계급화를 넘어>(2010), <지방교육자치의 현실과 ‘이상’>(2009) 등이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개정증보판 서문 = 3
초판 서문 = 9
지방교육자치의 정치 - 역사적 맥락
 서설 우리의 지방교육자치 어디에 서 있는가 = 19
  1. 깁고 누비는 과정 속의 지방교육자치제도 = 19
  2. 교육감의 위상과 선임방법을 둘러싼 논란 = 23
  3. 교육위원회의 위상과 교육의원 선출방법에 관한 논란 = 29
  4. 제도의 철학적 기반과 교육기본권 확충의 과제 = 35
 제1장 지방교육자치에 대한 맥락적 이해 = 39
  1. 서론 = 39
  2. 대표성과 교육정치학적 접근 = 41
  3. 새로운 세기 한국의 지방교육자치 = 47
  4. 결론 = 54
 제2장 미군정기 '교육자치 3법'의 정치학 = 57
  1. 서론 = 57
  2. '교육자치 3법' 제정의 정치과정 = 59
  3. '교육자치 3법'의 정치적 귀결 = 71
  4. 결론 = 81
지방교육자치의 주요 쟁점과 이론
 제3장 지방자치인가 교육자치인가 = 87
  1. 서론 = 87
  2. 권한의 중복과 지방교육행정의 비효율 = 89
  3. 행정의 효율성 제고와 교육자치의 '퇴보' = 98
  4. 결론 = 108
 제4장 교육위원회 구성에서 정당관여의 문제 = 113
  1. 서론 = 113
  2. 정당배제와 전문성 확보의 논리 = 115
  3. 대표성 확보와 정치적 기능의 정상화 = 128
  4. 결론 = 140
 제5장 지방교육재정과 교육자치제의 미래 = 145
  1. 서론 = 145
  2. 과도한 국고 의존과 지방자치단체의 낮은 기여 = 147
  3.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강화론과 교육자치제의 미래 = 157
  4. 결론 = 172
 제6장 지방의회와 교육위원회의 갈등과 대립 = 177
  1. 서론 = 177
  2. 교육청에 대한 시의회의 감사권 발동 결의 = 180
  3. 교육위원회의 감사 저지와 시의회의 감사 강행 = 190
  4. 결론 = 205
지방교육자치의 현황과 미래 과제
 제7장 지방분권론과 교육자치의 운명 = 211
  1. 서론 = 211
  2. 지방분권론 속의 교육자치제도 개편안 = 213
  3. 교육행정의 민주화를 통한 교육기본권 강화 = 224
  4. 결론 = 235
 제8장 '참여정부'의 지방교육자치 법률 개정안: 제도 통합론자들의 미봉책 = 237
  1. 서론 = 237
  2. 개정법률안 국회 상정의 경위와 주요 내용 = 239
  3. 개정법률안의 핵심 쟁점과 그 특징 = 249
  4. 결론 = 266
 제9장 교육감 주민직선제의 실천적 의미와 전망 = 271
  1. 서론 = 271
  2. 교육감 주민직선제 도입의 실천적 의미 = 273
  3. 주민직선제에 대한 잠정 평가와 전망 = 281
  4. 결론 = 289
 제10장 이명박 정부의 교육행정제도 개편과 민주진영의 과제 = 293
  1. 서론 = 293
  2. 국가의 재정 책임 전가와 시장주의의 전면화 = 295
  3. 민주진영의 과제: 교육행정의 실질적 민주화 과제 = 305
  4. 결론 = 322
의사민주화 조치로서 학교운영위원회
 제11장 교육행정개혁과 학교운영위원회 = 327
  1. 서론 = 327
  2. 교육행정개혁과 학교운영위원회 설치안 = 329
  3. 학교운영위원회의 정치학 = 341
  4. 셜론 = 354
 제12장 학교운영위원회 평가: 혼란, 오해, 방황 = 359
  1. 서론 = 359
  2. 교육행정개혁과 혼란의 징후 = 360
  3. 정치적 산물에 대한 오해와 적절치 못한 권한 부여 = 365
  4. 결론 = 379
 제13장 학교운영위원회 관련 법규 개정의 정치학 = 383
  1. 서론 = 383
  2. 개혁의제로서 학교운영위원회 성격의 변질 = 384
  3. 정치적 갈등과 학교운영위원회의 무력화 = 394
  4. 결론 = 405
지방교육자치 연표 = 409
참고문헌 = 518
찾아보기 = 537

관련분야 신착자료